View : 846 Download: 0

학령 초기 자녀를 둔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Title
학령 초기 자녀를 둔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in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Authors
엄은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는 학령 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등 어머니의 양육과 관련된 세 가지 변인들과 이러한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 어머니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가자는 한국 인천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자녀를 둔 166명의 어머니들과 일본 나고야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자녀를 둔 112명의 어머니들이다. 자료는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기보고식으로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PSI)를 김민정(2008)이 번안 · 수정한 척도를, 양육효능감은 Gibaud-Wallston과 Wandersman(1978)의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PSOC)를 김민정(2008)이 번안 · 수정한 척도를, 그리고 양육행동은 이선희(2012)가 개발한 초등학교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 검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단순/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 어머니들 간에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그리고 양육행동 가운데 온정, 개입 및 방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한국 어머니들은 일본 어머니들보다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을 보다 높게 지각하였고, 양육행동 가운데 온정이나 방임은 더 많이 보인다고 보고한 반면 개입은 덜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한국과 일본 어머니들은 모두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할수록 자녀에게 온정이나 논리적 설명과 같은 긍정적인 양육행동은 덜 보이는 반면, 개입이나 강압, 방임과 같은 부정적인 양육행동은 보다 많이 보였다. 셋째, 한국과 일본 어머니들은 모두 양육효능감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녀에게 온정이나 논리적 설명과 같은 긍정적인 양육행동은 보다 많이 나타낸 반면, 개입이나 강압, 방임과 같은 부정적인 양육행동은 덜 나타내었다. 넷째, 한국과 일본 어머니들은 모두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할수록 양육효능감을 낮게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일본 어머니들의 경우 모두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이 발견되었으나, 매개적 역할이 발견된 양육행동의 하위요인에는 양국 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한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온정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한국의 경우에서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논리적 설명 및 개입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한편, 한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강압 및 방임 간의 관계에서는 양육효능감의 어떠한 매개적 역할도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을 비교함으로써, 각 변인에서는 양국 간에 차이를 발견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는 양국 간에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발견된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은 세부적으로는 양육행동의 하위요인별로 양국 간에 다소 차이가 나타났으나, 양국 모두 부정적인 양육행동보다는 긍정적인 양육행동과 관련하여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이 더 많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령 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도울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with respect to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and 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A total of 166 Korean mothers and 112 Japanese mothers of 1st- to 3rd-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Both Korean and Japanese mothers were asked to complete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correlations, and simple/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mothers scored higher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warmth and neglect in parenting behavior compared to Japanese mothers. In contrast, they scored lower on intrusiveness in parenting behavior than Japanese mothers. Second, in both Korean and Japanese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warmth and reasoning and positively related to intrusiveness, coercion, and neglect in parenting behavior. Third, in both Korean and Japanese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warmth and reasoning in parenting behavior and was negatively related to intrusiveness, coercion, and neglect in parenting behavior. Fourth,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efficacy for both Korean and Japanese mothers. That is, Korean and Japanese mothers who were high in parenting stress had lower levels of parenting efficacy. Finally, parenting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samples. Specifically, maternal parenting efficacy was a partial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warmth in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samples. Also, in the Korean sample, maternal parent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reasoning/intrusiveness. However, parenting efficac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oercion/neglect in parenting behavior To conclud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n measures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but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ere similar across Korean and Japanese m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parenting efficacy w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in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sample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parenting behavior of Korean and Japanese mot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