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특성불안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심의 조절효과

Title
특성불안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심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xiety and Internalized Shame : according to existence of traumatic experiences
Authors
이유미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특성화된 불안 성향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의 정서가 불러일으켜지는 사람들에게 자기자비심이 완충하는 효과를 보일 수 있는지 살펴보고, 외상경험의 유무에 따라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시사점을 얻는 것이었다. 이에 특성 불안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를 설명하고, 외상경험의 유무로 집단을 나누고, 최근 정서조절 방법으로 연구가 되고 있는 자기자비심이 조절 효과를 나타낼지를 검증해 보았다.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5개 대학, 강원도 및 충청도 소재 3개 대학 18세 이상 성인 남녀 780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의 유무, 특성 불안, 자기자비심, 내면화된 수치심에 관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72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변인들 간의 관련성과 방향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외상의 경험의 유무에 따라 외상집단과 비 외상집단으로 나누고, 특성불안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심이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을 가정하고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불안의 수준이 높을수록 내면화된 수치심의 수준도 높아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자비심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심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외상을 경험한 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서 특성불안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심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과가 미미하나 비 외상경험집단에 비하여 외상경험집단이 다소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기자비심의 수준이 높으면 특성 불안이 낮거나, 높거나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또한 특성 불안수준이 높은 경우, 낮은 경우보다 자기자비심이 내면화된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기자비심이 특성불안과 상호작용하여 특성불안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에 내면화된 수치심에 대해 더 두드러진 보호요인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비 외상경험 집단에서도 자기자비심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외상을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특성불안의 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내면화된 수치심의 정서가 불러일으켜졌을 때 자기자비심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는 상담 및 치료 장면에서 내담자가 개인의 특성화된 불안으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수치심을 겪고 있는 경우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상담자가 자기자비심을 정서조절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if self-compassion can show buffer action to people arousing emotion of internalized shame as an anxiety tendency specialized individually and obtain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by traumatic experiences. Therefore, it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xiety and internalized shame, divided groups with traumatic experiences and verified if self-compassion which is studied as the recent method of emotional regulation shows regulation effects.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self-reporting survey for existence of traumatic experiences, trait anxiety, self-compassion and internalized shame was conducted for 780 male/female adults at the ages of more than 18 in 5 universities in capital area and 3 universities located in Gangwon-do and Chungcheong-do.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data of 721 respondents was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answer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the research variables and degree of direc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injury group and non-injury group according to existence of traumatic experienc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verification under the supposition that self-compassion will show regul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xiety and internalized sham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tandard of trait anxiety was higher, the standard of internalized shame was also high. So, i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ut, it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Also,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mpassion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Second, groups who experience injury and don't experience it showed regulation effects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xiety and internalized shame. The results were insignificant, but group with traumatic experiences showed somewhat high explanation than group without traumatic experiences. Concretely speaking, if the standard of self-compassion was high, positive effects were made on all either trait anxiety was low or high. Also,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internalized shame were more in case of high standard of trait anxiety than low standard of it. It means that self-compassion can play roles of more outstanding protective factor for internalized shame in case of high trait anxiety than low trait anxiety through the correlation with trait anxiety. Groups without traumatic experiences showed regulation effects of self-compassion, so self-compassion made a positive effect when people with high standard of trait anxiety aroused the emotion of internalized shame although they didn't experience injury. Therefore, this research implies that counsellors can use self-compassion as a method of emotional regulation so as to relieve high standard of shame if clients experience it because of individually specialized anxiety in the scene of counselling and trea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