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부모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인지삼제의 매개효과 검증

Title
부모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인지삼제의 매개효과 검증
Other Titles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Cognitive Triad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Authors
전경화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의 관계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인지삼제가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탄력성발달에 영향을 주고 자아탄력성이 자기존중감과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에 영향을 미치며 자신의 삶에 대해서도 더욱 만족한다는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남여학생 159명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행동의 구성변인인 부모애착, 부모감독, 학대와 자아탄력성, 자기존중감, 세상에 대한 견해, 미래에 대한 희망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간의 관계에 있어 부모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뿐만 아니라 인지삼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최종경로모형에서 변인들 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간의 관계에 있어 청소년의 인지삼제 중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 미래에 대한 희망 변인이 각각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미래에 대한 희망 변인도 부모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에 있어 이들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지지적인 양육이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와 미래에 대한 희망을 통해 청소년이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부모양육의 질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세상에 대해서도 더욱 신뢰롭고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따라서 자신의 삶에 대해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미래에 대한 희망이 매개하는 결과를 해석해보면 부모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정적인 관계가 있으며 높은 자아탄력성을 보고한 청소년일수록 현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고 자신의 목표를 향해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삶에 대해서도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부모양육의 질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문제 상황이나 역경에서 더 빨리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자아탄력성이 높으며 이러한 청소년은 세상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미래에 대해서도 더 희망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상담 장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생애 초기, 부모양육의 질이 낮을수록 청소년은 타인과 세상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신뢰를 형성하지 못할 수 있으며 자신의 미래에 대해서도 비관하며 현실적인 문제 대처 능력을 키우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상담자는 청소년 내담자에게 상담자와의 기본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청소년 내담자가 타인과 세상에 대해서 적대적으로 지각하지 않도록 도와주며, 문제가 있을 때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자신에게 맞는 목표를 설정하고 어려움이 닥쳤을 때 구체적인 문제해결방략을 같이 생각해보고 실행할 수 있게 하여 미래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The Present study tested the mediating role of ego-resiliency and cognitive triad between the relationship of parenting behaviors with life satisfaction of youth.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parenting behaviors, ego-resiliency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The path model and medi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159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behaviors including parent attachment, parent monitoring and abuse, ego-resiliency, self-esteem, view of the world, hope and demographic informatio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supposed that the parenting behaviors had direct effect on cognitive triad as well as ego-resiliency of youth. Second, not only view of the world and hope for the future but also ego-resiliency, view of the world and ego-resiliency, hope for the futur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of youth. In summary, high quality of parenting significantly related to developing ego-resiliency, positive cognition about the world and the future. The implications for the counsel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rly in life, having lower the quality of the parenting style, basic trust for others and the world can not be formed and the youth would be raised pessimistically about their future. Basic trust in the counselors for adolescent clients, they are not to perceive as hostile to others when they have a problem. It also may be necessary to help young people set their goals and think about the difficulties in the specific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able to run in the future so that it can be perceived as posi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