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49 Download: 0

일제시대 신문에 나타난 정신질환자 사회표상

Title
일제시대 신문에 나타난 정신질환자 사회표상
Other Titles
Social Representation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Appearing in Newspaper Article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uthors
이방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정신질환자는 공격적이고 위험한 존재로 분리배제 되어야 한다’라는 사회표상은 한국인의 삶 속에 습속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여겨질 만큼 이들은 사회의 각계각층에서 차별을 받고 있다. 한국인들의 이와 같은 부정적 인식과 태도는 ‘사회구조적으로 형성된 것이다’라는 시각을 갖고, 한국에서 처음으로 국가차원의 정신질환자 격리시설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일제시대의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을 신문을 통해서 찾고자 하였다. 어떠한 현상이 특정의 사회표상으로 구성되어지기 위해서는 사회 속에서 반복적으로 회자되어야 하는 전제가 요구되어진다. 신문은 어떠한 현상에 대해 공중의 관심을 집중케 하고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시민이 ‘무엇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를 규정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더욱이 식민지 시기 신문은 공적지식을 생산해 내어 한국인들의 자아형성과 세계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어지고 있다. 이에 일제시대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당시 발간된 신문 중 한국인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되어진《매일신보》,《조선일보》,《동아일보》의 정신질환(자) 기사 총 1천 183건을 내용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신문의 의제설정이론을 내용분석의 기본틀로 삼았으며, 분석틀 내용은 ‘현저성전이’ 개념과 함께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에 관한 선행연구결과와《매일신보》를 사전조사(pilot study)한 결과를 근거로 구성되어졌다. 그리고 내용분석틀의 내용은 최종적으로 기사유형(행위기사, 특성기사, 관리방안기사), 기사형태(기사시작단수, 기사길이, 제목할애단수, 제목글자수), 취재원, 기사의 논조, 기사에 나타난 정신질환자의 인구학적 조건 등으로 구성되어졌다. 기사분석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랐다. 우선 기사유형을 분류하였다. 둘째, ‘현저성 전이’개념에 의거하여 기사빈도, 기사형태, 취재원에 따라 독자들에게 현저하게 전달된 기사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사회표상으로 보았다. 셋째, 기사의 논조를 확인함으로써 형성되어진 사회표상의 성격을 고려하였다. 《매일신보》기사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마이크로필름을 활용하여 수집되었다. 그리고《조선일보》와《동아일보》기사수집은 각사(社)가 보관하고 있는 기사 data base의 검색어 서비스가 이용되었다. 기사검색어로는 ① 일제시대의 정신보건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알게 된 시대용어 ② 정신질환자에 대한 현대 한국인들의 인식·태도 조사연구에서 나왔던 용어 그리고 ③ 신문에 나타난 정신질환자의 표상 혹은 개념 등을 조사하였던 선행연구 용어들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일련의 기준조건을 충족한 2명의 코더들과 함께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코더에게 코드북을 제공하고 반복적인 훈련과정을 거쳤다. 이후 신뢰도 계수측정의 결과 ‘코헨의 카파(Cohen's Kappa)’ 값 .70이었다. 기사빈도면에서 독자들에게 현저히 전달되었을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은 정신질환자의 직접 행위를 기사화한 ‘행위기사’에서 찾을 수 있었다. 정신질환자 ‘행위기사’는 총 1천 7건(85.1%)으로, 대부분이 사건사고 기사였던 관계로 행위주체자인 정신질환자의 성별연령들이 자세히 기재되어 있었고, 경찰취재원이 주로 사용되었다. ‘행위기사’에 나타난 정신질환자 개별행위는 기타를 제외하고 총 20개의 종류가 있었으며, 빈도순위는 엉뚱, 자살, 친족살해, 충동, 도망 순이었다. 이를 행위결과에 따라 ‘이해불가’, ‘폭력’, ‘죽음’, ‘이탈’이라는 4가지 범주로 나누었을 경우, 그 순위는 ’죽음‘ 510건, ’이해불가‘ 453건, ’폭력‘ 411건, ’이탈‘ 223건으로 집계되었다. 정신질환자 행위기사 중 기사빈도와 기사형태면에서 모두 강조되었던 사회표상은 ‘타인을 향한 공격성’을 지닌 ‘죽음’과 ‘폭력’에 대한 것들이었다. 정신질환자 ‘행위기사’에서 형성하였던 또 다른 사회표상은 ‘이해불가’ 범주에 해당하는 것들로 ‘엉뚱’하고 ‘충동’적인 모습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형성되었던 사회표상은 ‘이탈’범주에서의 ‘도망’과 ‘배회’였다. 이와 같은 행위기사는 결국 ‘타인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혹은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을 하는 자가 예측불가능한 행동을 하면서 돌아다님’이라는 사회표상을 형성하고 있었다고 보인다. 정신질환자 ’행위기사‘는 약 90%정도가 부정적으로 작성되어졌다. 즉, 정신질환자의 엉뚱하고 끔찍한 행위를 드라마틱하게 기술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마치 현장에서 관련 행위를 실제 관찰하는 것 같은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부정이미지화). 그리고 이에 대하여 위험한 행위 혹은 참혹한 행위 등과 같은 부정적인 판단을 내림으로써 신문과 동일한 인식을 유도하고 있었다(부정판단). 그러나 이들의 행위를 사회문제화 한 기사는 드물었다. 기사형태면에서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을 형성하고 있던 기사는 정신질환자 ‘특성기사’였다. 정신질환(자)에게 일반인 혹은 다른 병과 구별되는 특성을 부과하고 있는 ‘특성기사’는 총 71건(6.0%)이었고, 1920년대 중반부터 작성되어지기 시작하였다. 이 기사는 주로 정신질환자의 ‘발병원인’과 이들의 ‘증상’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있었다. 특성기사에서 활용된 주된 취재원은 ‘정신보건종사자’와 ‘정부당국’이었으며, 취재원에 따라 강조하여 전달하였던 내용이 달랐다. 정신보건종사자는 정신질환 발병원인을, 정부당국은 정신질환의 증상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체 특성기사 안에서의 빈도, 기사형태의 현저성 그리고 특성기사의 내용 등을 총체적으로 종합해 보면, 일제시대 독자들에게 가장 적극적으로 전달되었을 정신질환(자) 특성은 ‘정부당국’을 취재원으로 한 기사내용, 즉 ‘증상’이었다. 일제시기 정신질환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즉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으로 압축되었다. 선천적인 것은 ‘유전’에 의한 것으로 그리고 후천적인 것은 ‘날씨 및 계절’, ‘사회변화’, ‘신체질환’과 같은 ‘환경’에 의한 것으로 보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당시 신문에서 소개한 정신질환(자) ‘증상’ 또한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되어진다. 그 첫 번째는 초기 정신병 발병여부를 감별해내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은 1) 정신병자는 병인식이 없다는 것과 그로 인해 2) 진찰을 거부하고 복약을 거부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 ‘거절증’이라는 것이 생겨난다는 것 그리고 3) 초기 정신병 증상 관련한 것이다. 두 번째는 정신병에 걸린 자들의 증상 중 위험성 여부, 특히 폭력성을 감별해내는 것이었다. 신문은 다양한 증상들을 소개하면서 그들 간의 차이를 드러내는 중에 망상으로 인한 ‘광폭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 결과 특성기사가 형성하고 있던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은 ‘유전적 소인 혹은 환경의 영향으로 발병을 하게 되면 병인식이 없어 치료에 거부적이며 망상과 흥분 등으로 인해 광폭한 성향을 지니게 된다’가 된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질환자 ‘관리방안기사’와 유기적인 연관성을 맺고 있었다. 정신질환(자) 특성기사는 행위기사보다는 중립적으로 작성한 경우가 많았지만 그래도 여전히 기사의 71.2%가 부정적인 논조로 작성되어졌다. 그리고 기사를 부정적으로 작성하는 방식이 행위기사와 차이가 있었다. 특성기사에서는 정신질환(자)의 존재에 대해 부정판단을 내리고, 이것이 사회문제임을 명확히 기술하고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경향성은 정부당국을 취재원으로 둔 ‘증상’기사에서 많이 발견되어졌다. ‘관리방안기사’는 정신질환(자)를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소개 혹은 주장 등이 기재된 기사로 총 52건(4.4%)이 분석되었다. 이는 빈도측면에서는 ‘행위기사’보다, 기사형태면에서는 ‘특성기사’보다 현저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관리방안기사’ 자체가 당시 정신질환자 처우와 관련하여 중요한 사료로써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으며, ‘행위기사’, ‘특성기사’와 내용적으로 매우 유기적인 관련성을 맺고 있어 사회표상 형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일제는 ‘정신위생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전 조선인의 정신건강을 위한 처우방침을 강구하였으며, 그 처우방침의 범위는 유아기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의 인생주기 범위를 포괄하고 있었다. 그리고 정신질환에 걸린 자에 대한 주된 관리방안은 격리감금이었다. 당시 주장된 관리방안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되어진다. 첫째, 관리방안의 모든 기사가 정신질환자를 근대의료진으로 연계하는 것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우생학적 접근을 긍정적으로 여기고 있었다. 둘째, 취재원별로 강조하고 주장하는 관리방안 내용이 달랐다. ‘근대보건종사자’는 정신질환의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에 많은 주안점을 두고 있어, 주로 우생학적 접근을 주장하였으며 신규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었다. 반면 ‘정부당국’은 수용을 위한 제반시설마련과 법제도 마련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셋째, 일제시대 논의되었던 정신질환(자) 관리방안 중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었던 것은 정신질환(자)를 수용감금하기 위한 법제도와 제반시설 마련이었다. 각 관리방안의 내용에 따라 정신질환자 가족, 정신과의와 정신병원 그리고 국가가 맡은 역할 책임이 달랐다. 우선 가족은 자녀를 포함한 가족성원이 정신병에 걸린 것인지에 대하여 명확히 감별을 해내야 하는 일차적 책임을 지니고 있었다. 두 번째 역할책임은 가족성원이 정신병에 걸렸다고 판단되면 최대한 빨리 ‘정신과의(精神科醫)’에게 데려가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세 번째 역할은 가족성원이 위험하지 않은 정신병을 앓고 있는 경우, 이를 집에서 간호하는 것이었다. 신문에 나타난 정신과의(精神科醫) 역할은 분명하지 않으나, 기사내용상 ‘치료’보다 ‘진단’내리는 것에 더 많은 책임을 부여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반대로 정신병원의 역할은 위험한 정신질환자를 수용감금하는 것이라고 신문에 명확히 제시되고 있었다. 그리고 국가의 역할은 이들을 합법적으로 수용?감금할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이들을 수용할 제반 시설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정신질환(자) 관리방안 기사에서는 네 가지 주목할 사실을 발견되어졌다. 첫째, 초기 관리방안 기사에서는 정신질환자 관리를 위한 법제정의 필요성만 간단히 제기되었다. 그러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조선총독부는 강력한 정신질환자 수용법을 제정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제정하고자 하는 법의 명칭이 변화함에 따라 그 법의 대상인 정신질환자들은 점차적으로 위험스러운 존재로 변화되어갔다. 셋째, 당시 정신병자들을 처우를 살펴볼 때 일제가 이들을 범죄자로 간주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넷째, 당시 ‘정신병원’은 정신질환자를 수용?감금하여 사회방위를 지키는 일선 기관이었다. 이와 같은 정신질환자 관리방안 기사로부터 형성된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은 ‘광폭한 성질의 자가 배회하고 다녀 사회보안상 문제가 발생함으로 국가의 관리 하에 수용?감금되어야 한다’가 되었다. 일제시대 신문에 나타난 이상의 사회표상들은 일제가 정신질환자를 수용?감금하기 위한 정당성을 획득해 나가는데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즉, 일제시대 신문은 정신질환자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과 타인을 향한 공격적 행동 등을 자주 기사화함으로써 이들이 일반인과 다른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었다(labeling). 그리고 정신질환자의 차이가 나는 행동 중에서도 타인을 향한 공격성은 이들의 특성이라고 강조함으로써, 이들이 매우 위험스러운 존재라는 인식을 독자들에게 심어주고 있었다(stereotyping). 이후 신문은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에서의 생활을 사회문제화 하였으며, 이들을 가족으로부터 분리하여(exclusion) 수용시설에 입소시킴으로써 사회로부터 배제시켜나가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그리고 정신질환자 사회표상 형성과정에서는 ‘위험성’이 논의의 중심에 놓여있었으며, ‘위험성’의 정도에 따라 이들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역할 및 책임을 가족과 정신병의(精神病醫)가 있는 정신병원에 부여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을 내리기 이전에 신문에 나타난 정신질환자 사회표상 형성과정 중 점검되어야 할 부분이 있다. 그 첫 번째는 사회문제발달단계 이론에서 주장하였던 분리배제의 과정과 일제시대 정신질환자의 분리배제의 전개과정에는 순서상의 불일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Jeffrey et al.(1975)의 주장에 따르면 어떠한 현상이 문제라는 것에 대한 높은 동의가 사회적으로 이루어진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법과 제도가 마련되어지며, 공공기관이 설립되어진다. 그러나 식민지 시기에는 신문들이 정신질환자를 분리?배제할 필요성을 논하기 이전에 이미 일제에 의해 이들을 분리?배제할 법과 제도를 마련해놓고 있었으며, 이들을 수용할 시설을 구비해 놓고 있었다. 둘째, 신문이 ‘위험’이라는 부정적 표상을 정신질환자에게 점차 강도 높게 연결하는 배경에서 이들을 수용?감금할 법을 제정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포착되어지며, 동시에 일제가 전시체제로 돌입되어 시국이 어수선할 때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은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이 ‘인식이 태도를 유발한다’는 일반적 도식과는 달리 ‘태도를 이끌어내기 위해 인식을 수정하였다’라는 도식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보아도 무방한 상황이다. 즉, 정신질환자는 위험하기 때문에 수용시설에 감금되어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 국가의 필요에 의해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어지는 과정을 신문을 통해 밟아나갔다는 것이다. 이는 이 연구의 출발점, 즉 ‘정신질환자는 공격적이고 위험한 존재로 분리?배제되어야 한다’는 사회표상의 진실성 대한 문제제기를 해결할 연구지점을 안내해주고 있다. 일제시대 발간된 신문을 통해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을 확인한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함의를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정신질환자 낙인연구의 범위를 개인적 수준에서 구조적 수준으로 확대하였다는 것이며, 둘째, 정신질환자 사회표상 연구의 시점을 일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감으로써 현재 정신질환자 사회표상뿐 아니라 그 형성배경에 대한 보다 많은 논의를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셋째, 이 연구의 방법론은 양적 내용분석이었다. 그러나 내용분석틀에는《매일신보》의 기사텍스트를 사전에 조사한 결과가 포함되어져 있어 기존 선행연구의 단편적이고 서구적인 정신질환자 사회표상 조사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넷째, 이 연구가 정신질환자 사회표상을 이해하기 위해 신문을 내용분석하였으나, 그 내용을 보다 깊이 있게 다루기 위해서는 일제시대를 살펴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측면, 즉 일제시대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표상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대상중심의 역사연구’를 실행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사회복지계의 연구의 다양화를 창출하였다고 할 수 있다.;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raised about the authenticity of the social representation in Koreans that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re dangerous beings worth being excluded and separated. As a pre-step to deconstruct the representation, a contents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ocial represent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the first facilities to confine those with mental disorders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by means of examining the newspapers of the time. The contents analysis was based upon Agenda Setting Theory, which includes report types, report forms, report sources, report directions and demographical conditions of the mentally disordered that appeared in the newspapers. The materials examined were total 1,183 articles on the mentally disordered in the newspapers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uch as Maeil Shinbo, The Daily Chosun and the Donga Ilbo. The result of its reliability measurement reveals 70 of Cohen's Kappa.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reports, the social representation that must have been conspicuously delivered to readership could be found in 'the reports on behaviors' that featured direct behaviors of the mentally disordered. And the identified social representation is 'Someone with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s who causes deaths or can cause it on others is on the loose, showing unpredictable behaviors.' In terms of report forms, the reports that had formed the social representation of the mentally disordered are those about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disordered. And the social representation in the reports addressing the characteristics is 'When the person with a mental disorder is taken ill due to hereditary dispositions or environmental influence, they refuse medical treatment without any awareness of their disorders and tend to be violent owing to their delusions and excitement. The social representation found in 'reports on control directions' is 'Since people with violent dispositions are wandering about causing social security concerns, they should be taken in and detained.' The above social representations found in the newspape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closely related to the wa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justified themselves for detention and imprisonment. That is, by frequently featuring ununderstandable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of the mentally disordered, the newspapers furing the time labelled them as different from 'normal' people. Besides, by emphasizing that aggression toward the others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disordered, the press stereotyped them as very dangerous and instilled the idea into the readers. Later, the media made a social issue of the mentally disordered living in the same community and made consonant efforts to exclude them from their families and commit them to facilities. Also, 'danger' was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on the mentally disordered in the process of the social representation being formed. Thus, they conferre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watching and controlling the mentally disordered according to the levels of 'danger' upon asylums with specialist psychiatrists.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on social representations by examining the newspape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irst, the study expanded the scope of study on stigmas on the mentally disordered from personal levels up to the structural ones. Second, the study offers materials for further and deeper study on the backgrounds of social representation formation as well as the current social representations of the mentally disordered by dating back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rd, the study also came up with the ways to complement the fragmentary and Western society centered social representation study on the mentally disordered. Fourth, the study contributed to the diversity of study in the Korean social welfare field by conducting 'subject-centered historical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