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자활지원사업 담당공무원의 개인적 특성 및 정부조직의 환경이 민관협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자활지원사업 담당공무원의 개인적 특성 및 정부조직의 환경이 민관협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정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The biggest change from the former protective system for life to the current national basic life assurance system as the core of Korean social welfare policy is giving opportunities and duties to work to the poor group, who are capable of working, while including them in the category of recipients of pensions.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is offering opportunities to work to recipients of pensions, who can work, under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within a local community. Some say that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private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activate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for which the government considers various plans.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ach private organization and the government, which becomes the basis in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differs depending on each local governments. The reason i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social welfare and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from each local government, support conditions and capacities among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the duty. Therefore, I would present contents of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in each self-governing district(Gu) and village(Dong) levels and say causes of difference in contents of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For this, I grasped realities of current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targeting 25 officials in charge of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from each social welfare section of 25 district offices in Seoul and 100 officials in charge of community from 4 village offices by an autonomous district, and analyzed which factor between individual properties related to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of public servants in charge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brings the difference in contents of cooperation. The survey results responded by 94 among total 125 survey respondents are following: 1. When requesting service objects, most of respondents consult with the person in charge from a private organization and overall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organization for requesting service objects goes on smoothly. 75.0% assures autonomy of private organization in using the supported budget to more than a certain level. Though privileged trust for business and the connection with local resources such as lease of public properties and self-support communities are not proceeded actively, most of them are accepted at the request showing the activation in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is needed beforehand. The consultative organization for self-support institution operated for mutual agreement and adjustment with private organizations doesn't observe the rule for the number of holding times for meetings and even its roles are passive conducting only in simple discussion and delivery level. Most of organizations use various methods in information exchange with private organizations, however, only formal information is exchanged such as contents of policies related to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and of survey of local community in most of the cases. 2. 63.8% of respondents majored in social welfare, and the average career of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is 4 years and a month and that of public servant in charge of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is 1 year and 6 months. The understanding degree is rather high for necessities in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an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The most troubling factor in conducting actively duties of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is indicated as a duty overload. 3. The members of organization, where respondents belong to, and seniors to respondents understand less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than that of a social welfare business. Overall institutional support degrees for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remain in low level, and especially there's a lack of devices forming the relationship network with private organizations and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in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4. Among contents of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level of duties, which public servants in charge can determine, differs depending mainly on individual properties of public servants in charge. Number of times contacting with private organizations for the request of objects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the public servant in charge majored in social welfare and understanding levels for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and for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The support level of material resources besides the budge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areer of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showing the longer the charging period for the duty, the higher the understanding degree for local resources, which finally leads to more smooth material resources support. The activities degree of the consultative organization for self-support institu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ging career for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and the understanding level in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Contents and methods in information exchange differ depending on the career and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public servant in charge. To higher the cooperation level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in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it is needed to obtain human resources taking full charge of only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continuously and to higher understanding levels for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an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with such as education. 5. Contents of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is different depending on organizational environment including understanding levels of seniors and the organiz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conditions. Among organizational environment, understanding levels of seniors and the organization along with individual properties of public servants in charge contribute to the difference in concrete contents in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and institutional support degrees contribute to the difference in overall activation degrees in cooperation duties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The number of consultation times with private organizations for the request of service objects differs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level, and consulting degree differs depending on the institutional support degree. Especially, it shows difference depending on the forming degree of the relationship network with private organizations and preparing degree for encouraging devices for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In the support of material resources, free lease of public properties and the lease connection with local resourc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seniors' understanding degrees, and the overall material resources support degree is different depending on overall sub items of institutional support degrees. Especially, like in the case of the request of service object it shows difference depending on forming degrees of the relationship network with private organizations an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and preparing degrees of encouraging devices. Activities of consultative organizations for self-support institu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support such as budgets, preparing the concrete guideline and preparing encouraging devices for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among institutional supporting degrees. In case of consultative organizations for self-support institution, it is imperative to draw up plans for institutional activation beyond seniors and organizational levels. Information exchange methods are different depending on seniors' understanding levels and the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level. The degree of information exchange is different depending on seniors'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level along with the forming degree of the relationship network with private organizations among institutional support degrees. To make strong cooperation duties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it is needed to encourage the performance of duti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level, to enhance the chief's understanding in the conducting section of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and to enhance organizational support levels, while forming environment to enhance overall duty levels with institutional supports. This survey result shows that efforts in different levels are needed to activate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einforce capacities of public servants in charge but also to higher understanding levels for seniors in charge of supporting workers and organizational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form environment where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becomes possible with institutional supports. Advices to activate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for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are following: First, we should expand human resources only for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With a regular education, we must rais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for the necessity of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an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and for their duties. Moreover, we should let them charge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in the long term without changing duties. Second, we should expand material supports for organizational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When the budget, equipments and spaces are obtained, it's possible to conduct duties of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Third, we should activate the consultative organization for self-support institution. We should define roles and expand the authority for the consultative organization for self-support institution as an official consultative organization to let it perform as a practical conference group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Fourth, we should form the relationship network with private organizations. B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network including not only the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conducting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 but also other local private organizations capable of supporting, we could form more active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sector and proceed inter-institutional information exchange smoothly. Additionally, we should form a device to induce for private organizations within this relationship network to participate in the sponsoring business for self-support.;한국 사회복지정책의 핵심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이 이전의 생활보호제도와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근로 능력이 있는 빈곤층을 수급자의 범주에 포함시키면서 그들에서 근로할 수 있는 기회와 의무를 부여하는 것이다. 자활지원사업은 지역사회 내에서 정부와 민간의 협력 하에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들이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활지원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민간기관과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제기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이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자활지원사업의 기초가 되는 민간기관과 정부의 협력관계는 각 지방정부에 따라 상이하다. 이는 각 지방정부가 가지고 있는 사회복지 및 자활지원사업에 대한 인식과 지원상황,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들의 역량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서울시의 각 자치구 및 하위 동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민관협력의 내용을 살펴보고, 민관협력의 내용에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25개 구청 사회복지과의 자활지원사업 담당자 25명과 각 자치구별 4개 동사무소의 사회담당자 100명을 대상으로 현재의 이루어지고 있는 민관협력의 실태를 파악하고, 협력 내용에 차이를 가져오는 담당공무원의 자활지원사업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및 조직의 환경 중 어떤 요인이 협력 내용에 차이를 가져오는지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 125명 중 94명이 응답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 대상자를 의뢰하는 과정에서 응답자의 대부분인 민간기관의 담당자와 협의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었으며, 대상자 의뢰를 위한 민간기관과의 협력을 대체로 원할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지원된 예산 사용에 대해서 민간기관의 자율성을 일정수준 이상 보장하고 있는 경우가 75.0%이었다. 국공유재산의 임대, 자활공동체 등 사업 우선위탁 및 지역자원과의 연결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았으나, 요청이 있는 경우 거의 대부분 수용하고 있어 자활지원사업의 활성화가 전제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민간기관과의 공동협의 및 조정을 위한 기구로 운영되고 있는 자활기관협의체는 회의 개최 횟수에 대한 규정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수행하고 있는 역할도 단순한 논의 및 전달의 수준에서 소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민간기관과의 정보교류는 대부분의 조직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자활지원사업 관련 정책의 내용, 지역사회조사 내용 등과 같이 형식적인 정보를 교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응답자의 63.8%가 사회복지를 전공하였으며, 사회복지 담당경력은 4년 1개월, 자활지원사업 담당경력은 1년 6개월이다. 자활지원사업 및 민관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높은 편이었다. 민관협력 업무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는데 가장 장애가 되는 요소는 업무과중을 지적하였다. 응답자가 소속되어 있는 조직과 응답자의 상급자는 사회복지사업에 비해 민관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정도가 낮았다. 민관협력에 대한 제도적 지원 정도는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민간기관과의 관계망 형성과 민관협력의 참여를 독려하는 장치의 마련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민관협력의 내용 중 담당공무원 개인이 결정할 수 있는 수준의 업무는 주로 담당공무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 의뢰를 위한 민간기관과의 접촉 횟수는 담당공무원의 사회복지 전공여부와 자활지원사업 및 민관협력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예산을 제외한 물적자원의 지원은 자활지원사업 담당 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업무 담당기간이 길수록 지역자원에 대해 파악하고 있는 정도가 높아 물적자원 지원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활기관협의체의 활동 정도는 자활지원사업 담당경력과 민관협력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보교류의 내용 및 방법은 담당공무원의 경력 및 인식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자활지원사업의 민관협력 수준이 높아지기 위해서는 자활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전담할 수 있는 인력을 확보하고, 교육 등을 통해 자활지원사업 및 민관협력에 대한 이해의 수준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민관협력의 내용은 상급자 및 조직의 인식수준, 제도적 지원상황을 포함하는 조직의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조직의 환경 중 상급자 및 조직의 인식 수준은 담당공무원의 개인적 특성과 함께 민관협력의 구체적인 내용에 차이를 보였으며, 제도적 지원 정도는 민관협력 업무의 전반적인 활성화 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서비스 대상자 의뢰를 위한 민간기관과의 협의 횟수는 조직의 인식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협의의 정도는 제도적 지원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민간기관과의 관계망 형성정도와 민관협력 독려장치 마련 정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적자원의 지원은 구체적인 업무내용 중 국공유재산의 무상임대와 지역자원과의 임대 연결은 상급자의 인식정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전체적인 물적자원 지원 정도는 제도적 지원정도의 하위항목 전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서비스 대상자 의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민간기관과의 관계망 형성정도와 민관협력 독려장치 마련 정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활기관협의체의 활동은 제도적 지원의 정도 중 예산 등의 지원, 구체적 지침마련, 민관협력 독려 장치 마련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활기관협의체의 경우 상급자나 조직의 차원을 넘어서 제도적으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정보교류 방법의 다양성은 상급자의 인식수준과 조직의 인식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정보 교류의 정도는 상급자의 인식, 조직의 인식 수준과 함께 제도적 지원정도 중 민간기관과의 관계망 형성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민관협력 업무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조직의 수준에 맞는 업무수행 독려와 민관협력 수행 부서 책임자의 인식 향상, 조직 차원에서의 지원수준 향상이 필요하며, 동시에 제도적 지원을 통해 전반적인 업무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는 민관협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에서의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담당공무원 개인의 역량을 강화시켜야 할 뿐 아니라 실무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상급자와 조직자체의 민관협력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동시에 제도적인 뒷받침을 통해 민관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자활지원사업을 위한 민관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지원사업 전문인력을 확충한다. 정기적인 교육을 통해 자활지원사업 및 민관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업무 파악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 동시에 이들이 업무의 이동 없이 장기적으로 자활지원사업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조직의 민관협력을 위한 물적 지원을 확충해야 한다. 민관협력 수행에 필요한 예산, 장비, 장소 등이 확보되어야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활기관협의체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 공식적인 논의 기구로서 자활기관협의체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권한을 확대함으로서 실질적인 민관협의기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민간기관과의 관계망을 형성하여야 한다. 자활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정부 및 민간기관 뿐 아니라 지원할 수 있는 지역 내 다른 민간기관까지 포함하는 관계망을 구축함으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민관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기관간의 정보 교류도 원할히 이루어질 것이다. 동시에 민간기관이 이러한 관계망 안에서 자활지원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