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교육인식비교

Title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교육인식비교
Authors
최정문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eachers' and parents' perspective on the education focusing on Neo-liberalism. Thus, this paper searched how the neoliberalism educational policy enforcing in Korea was gaining the effect and the necessity in Korea education actuality really. Herewith, I wished to make the results as the part of process that considered and criticized about the model that Korea's educational policy should follow fundamentally. The recognition surveys for education were the educational easiness and equity, the private capital participation and the publicness of education, the introduction of competition principle in education and the consumer centered education, the country leading educational policy, and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operation that was based on the curriculum by level. And the survey additionally included the questions about the stand-alone private institutions and the academic standardization of highschools as well as the questions about the national standard and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he pursuit of educational easiness was exposed as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parents group all had the positive attitude. Thi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parents group all thought that not only the educational easiness elevation was necessary in Korea's education circumstance, but also was desirable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About the pursuit of educational equity, more positive reaction was seen in the students' parents group than the teachers group.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parents were seen the high reactions about the part that should offer the first opportunity of education to the poor, so they all were regarded to agree to the educational care about the weak socially. The realization about the pursuit of educational publicness was shown the reaction of the students' parents group positively than the teachers group. The students' parents group had the ideas that the form and the costs must be sought the educational publicness, but the contents must be taken the serious view of individual request sufficiency than publicness. About the private capital participation of education, the teachers group was shown the contradictory reaction generally while the students' parents group was shown the positive reaction. The definite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group and the students' parents group was detected by the competition principle introduction in the education. The teachers group was showed the contradictory sight in all questionnaires, and the teachers were shown the contradictory reaction while the students' parents were shown the positive reaction generally in the introduction of teachers estimation system in order to strengthen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responsibility. The recognition about the consumer centered education was generally appeared high in the students' parents group that was the consumer of education. About the country leading educational policy, the teachers were shown the contradictory reaction while the students' parents were shown the positive reaction. Also, about the recognition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operation, the teachers were shown the contradictory reaction while the students' parents were shown the positive reaction generally.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 points were confirmed as follows: First, the policy of educational easiness elevation for the competitive power of country should be executed at the same time to promote the policy of educational equity elevation on the whole. As we know the positive reaction of the policy for the educational easiness elevation and the educational equity elevation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parents, the two policies are very urgent in the circumstance of Korea education actuality. For the country competitive power elevation and the cultivation of capable men, the system for the educational easiness elevation such as the specific education for brilliant children should be prepared while the solidity support extension of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the social weak persons and the poor. Second, the latest lively discussion about the private capital participation of education has been continued and moved actually, but Korea educational circumstance is yet required seriously to strengthen the publicness of education. The public educational facilities or the budget expansion is necessary circumstances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public education. And the abroad education market's open or the private capital participation should look for the fitting method seriously in Korea education. Third, the competition principle introduction in education is necessary in some degree for the efficiency and the qualitative elevation of education. But putting the gradation in teacher's treatment and salary by the results of teacher's estimation or forming the budget for school by the results of school estimation is yet prematured in Korea educational circumstance. Therefore, its introduction time or method should be very careful. Fourth, the state control of education was solidified for the education easiness elevation, but it is difficult to decide the educational policy by the necessity of the country only. When they decide the educational policy, it is desirable to examine as many sided views in country and school's situation that enforce the consumer standpoint and policy of the education. Fift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centerd in the educational course by level has desirable meanings, but it is not effective in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 actuality of education. Therefore, the examination of educational method by level that agrees with Korea education real condition is required in order to get the effective operation and results. When the above discussions are adjusted, the educational policy should not follow the universal paradigm blindly or should not seize in the ideology in order to execute the educational policy correctly in the educational spot. But we should be required to confirm the effort to execute the educational policy that is correct in Korea circumstance by applying to the educational spot and examining the actual efficiency. For this purpose, the government authority to carry out the educational policy is absolutely required to have the attitude to examine and prepare the method in the standpoint of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parents that not only have the decision of education institution but also have the educational subjects actually.;이 논문은 교육주체인 교사와 학부모 집단이 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을 신자유주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한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이 과연 한국교육현실에서 어느 정도 실효를 거두고 있는지, 그 필요성은 어느 정도 되는지 알아보고 근본적으로 한국의 교육정책이 따라야 할 모델에 대해 생각해보고 비판해보는 과정의 일환으로 삼고자 하였다.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는 교육의 수월성과 평등성, 민간자본참여와 교육의 공공성, 교육에서의 경쟁원리 도입과 수요자 중심 교육, 국가주도 교육정책, 수준별 교육과정을 기초로 한 제7차 교육과정운영이다. 그 외에 국가기준과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질문과 자립형 사립고와 고교 평준화에 대한 질문도 포함하였다. 교육의 수월성 추구에 대해서는 교사, 학부모 집단 모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와 학부모 집단 모두 교육의 수월성 향상이 한국의 교육상황에서 필요하고 국가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교육의 평등성 추구에 대해서는 교사 집단에 비해서 학부모 집단에서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빈곤층에 교육의 기회를 우선 제공해야 한다는 부분에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높은 반응을 보여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교육적 배려는 교사, 학부모 집단 모두 동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육의 공공성 추구에 대한 인식은 교사 집단에 비해 학부모 집단의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형식과 비용면에서는 교육의 공공성을 추구해야 하지만 내용면에서는 공공성보다는 개인의 요구 충족을 중시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교육의 민간자본참여에 대해서는 교사 집단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반응, 학부모 집단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육에서의 경쟁원리도입은 교사 집단과 학부모 집단의 확연한 의식 차이가 드러났다. 교사집단은 모든 문항에서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는데 교사의 전문성과 책무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사 평가제의 도입에서는 교사는 부정적인 반응, 학부모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수요자 중심 교육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교육의 수요자인 학부모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국가주도교육정책에 대해서는 교사는 부정적인 반응, 학부모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제7차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에도 교사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학부모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국가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교육의 수월성 정책과 동시에 전체적으로는 평등성 향상을 위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교사와 학부모의 교육의 수월성과 평등성 향상을 위한 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으로 알 수 있듯이, 실제 한국교육의 상황에는 두 분야 모두 매우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국가 경쟁력 향상과 인재양성을 위하여 영재교육 같은 수월성 신장을 위한 제도를 마련하면서 사회적 약자와 빈곤층에게 교육의 지원 확대를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최근 교육의 민간자본참여에 대해 최근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고 실제적인 움직임도 있지만 한국 교육 상황은 아직까지 교육의 공공성 강화가 더욱 절실하다. 공교육 강화를 위해 공교육 기관의 시설이나 예산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고 외국교육시장의 개방이나 민간자본참여는 한국 교육에 알맞은 방식을 찾아서 신중하게 도입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에서의 경쟁원리 도입은 교육의 효율성과 질적 향상을 위해 어느 정도 필요하다. 그러나 교사 평가 결과로 교사의 대우와 보수에 차등을 둔다거나 학교 평가의 결과로 학교에 대한 예산을 결정 짓는 것은 아직 한국교육 상황에서는 시기 상조이다. 그러므로 그 도입 시기나 방식에 매우 신중해야 한다. 넷째, 교육의 수월성 향상을 위해서 교육의 국가관리가 강화되었지만 국가의 필요만으로 교육정책을 결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교육 정책을 결정할 때에는 교육의 수요자 입장과 정책을 시행하는 국가, 학교의 입장에서 다면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 째, 수준별 교육과정이 중심이 되어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의 취지는 바람직하나 교육의 환경과 여건상 실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효율적인 운영과 효과적인 결과를 위하여 한국 교육 실정에 맞는 수준별 교육과정의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여 볼 때 교육현장에서 교육정책이 올바르게 실시되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패러다임을 막연히 따라가거나 이념에 편승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실제적인 효율성을 검토해보고 한국상황에 맞는 교육정책을 실시하려는 노력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정책을 행하는 정부와 교육기관의 결정뿐만 아니라 실제 교육주체인 교사와 학부모 입장에서 그 방안을 검토해보고 마련하려는 태도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