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최미나-
dc.creator최미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6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3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632-
dc.description.abstractJungJae in court not only stands as a synonym of a court dance but also means to give all your talents and accomplishments. JungJae developed through peace of the nation to praise highly of the king's dignity ideologically performed mostly as a event in court. Looking through Jungjae in court's structure and it's course of transition you'll see that Jungjae contains national inclination that surpasses each pieces's individual expression of emotion, eastern philosophy of the principle of duality and the Five Elements in it's ceremony process and formation, obviousness in it's intention of contents, strictness in it's course of mollification. Among all of Jungjae in court, this is aimed for YunHwaDaeMoo (Lotus Flower Standing Dance)'s details, form and various elements through historical documents to give out information to help maintain and foundation of growth in succession and also to aid Jungjae's honest understanding, development and future research. For above the purpose, in the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its suggestions is suggested, in the second part the era and hand-down of YunHwaDaeMoo is looked though, and in the third part basic structure, background music and phrases through the historic documents 'Ko-ry-sa-ak-ji, 'Ak-hak-kwei-bum' and 'Jung-jae-moo-do-hol-ki' is described. These documents contains YunHwaDaeMoo's presentation process and dress which assists in regeneration it today. To simply arrange YunHwaDaeMoo's course of transition is followed. Background music wasn't handed down between middle and end of Chosun dynasty, reducing it to only 1 song out of 8. Among the dancers, first there were 2 Jookkanja and 2 Dongnyu in 'Ko-ry -sa-ak-ji', and 'Ak-Hak-Kwei-bum' then containing assist dancers the total number of people is 32 in 'Jung-jae-moo-do-hol-ki'. Traditional dance costume and accessories for the dance, such as flower shape of hat in 'Ko-ry-sa-ak-ji' and 'Ak-Hak-Kwei-bum' is changed to lotus flowers shape's hair costume after 'Jung-jae -moo-do-hol-ki'. Not only during court banquet but in Narye ceremony in court it's performed with crane dance (hakmoo) and masked dance (Cheoyongmoo) containing recreation and ceremony element and also it can be seen to deeply reflect our culture's emotional consciousness. As seen in historical documents YunHwaDaeMoo is still handed down today since Kory dynasty going through many changes. This shows high historic value of YunHwaDaeMoo as Jungjae in court containing our nation's sentiment and consciousness. But seeing crane dance (HakMoo) and masked dance (CheoYongMoo) which is considered as a combination of YunHwaDaeMoo being 40th and 39th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giving them a strong foundation in preservation of the orignal form and growth in succession, YunHwaDaeMoo isn't getting enough research. Therefore historic document research must be made first to hand down Jungjae and also a devoted multilateral work in reconstruction should be promoted. ;궁중(宮中)정재(呈才)는 우리나라의 전통무용 중 하나인 궁중무를 지칭하는 대명사로 춤뿐만이 아니라 모든 재예(才藝)를 드린다는 의미를 갖는다. 정재는 국가의 평안과 발전, 왕의 권위를 칭송하기 위한 이념적 표현 수단으로서 궁중의 행사를 위주로 행하여졌다. 궁중정재의 구조와 그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정재는 개개의 작품이 독자적인 감정표현을 초월해 민족적인 성향을 지니며 의식절차 및 구조자체에 음양오행(陰陽五行)의 동양철학 사상이 깃들어 있다. 춤추는 모습은 정중하고 우아하면서도 깊이 있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내용에 있어서 목적과 의도가 분명하다. 형태와 구성이 잘 정리되어 있으며 연희과정에서는 기. 승. 전. 결의 엄격한 격식과 절차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궁중정재 중 연화대무(蓮花臺舞)에 관하여 그 내용과 형식 및 제반 요소들을 시대별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연화대무의 원형 보존 및 계승발전 토대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제공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더 나아가 궁중 정재의 올바른 이해와 발전 및 차후 연구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본론에서 연화대무의 기원과 전승과정을 학무와 처용무를 연계하여 살펴본 뒤, 3장에서 시대별 문헌인『고려사악지』, 『악학궤범』, 『정재무도홀기』을 통해 구성과 형태, 반주음악 및 구호 등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들은 연화대무에 대한 상연 절차와 복식, 의물 등이 기록되어 오늘날 이를 재현시키는데 중요한 자료로 자리 잡고 있다. 문헌들에 나타나 있는 연화대무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악은 조선중기를 거쳐 후기로 오면서 제대로 전승되지 못하여, 8곡 사용하던 것이 후에는 1곡만으로 단순 · 축소 되었다. 무원에 있어서는 『고려사악지』, 『악학궤범』에는 죽간자 2인, 동녀 2인이었다가 『정재무도홀기』의 기록에는 대무를 포함하여 구성인원이 32명으로 된다. 복식 및 무구는『고려사악지』, 『악학궤범』의 합립이 『정재무도홀기』이후 연화관을 썼다. 궁중 연회때 뿐만 아니라 궁중 나례의식의 경우 학무 · 처용무와 함께 합설로 추어짐으로써 연회시 오락적, 의식적인 요소뿐 아니라 우리민족의 정서적 의식세계가 깊이 내재,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연화대무는 문헌상의 홀기를 근거로 할 때, 그 내용과 형태가 변모되면서 고려시대부터 현재까지 전승되어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연화대무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의식이 내재되어 있는 궁중정재로서 그 역사적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화대무와 합설로 추어지는 학무와 처용무 등은 이미 각각 무형문화재 제 40호와 제 39호로 지정되어 있어 이에 대한 원형보존 및 계승발전을 위한 토대가 구축되었는데 반해, 연화대무에 대해서는 충분한 문헌 조사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정재를 전승하는데 있어서 문헌 조사연구 작업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며 문헌연구와 더불어 문헌에 충실한 재현 작업이 다각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도목차 = ⅵ 표목차 = ⅶ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연화대무의 이론적 배경 = 4 A. 연화대무의 기원 = 4 B. 연화대무의 전승과정 = 6 Ⅲ. 시대별 문헌에 나타난 연화대무 = 16 A.『고려사악지』(高麗史樂志) = 16 1. 형태와 구성 = 17 2. 반주음악 및 구호 = 21 3. 복식 및 무구 = 24 B.『악학궤범』(樂學軌範) = 25 1. 형태와 구성 = 25 2. 반주음악 및 구호 = 30 3. 복식 및 무구 = 33 C.『정재무도홀기』(呈才舞蹈笏記) = 36 1. 형태와 구성 = 36 2. 반주음악 및 구호 = 42 3. 복식 및 무구 = 46 Ⅳ. 결론 = 66 참고문헌 = 69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04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연화대무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시대별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dc.format.pageix,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무용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