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1 Download: 0

시편에 나타난 야웨 왕권사상

Title
시편에 나타난 야웨 왕권사상
Authors
명지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숙
Abstract
We confess Yahweh as our King, our God, in our lives as well as in worship and pray for Him to govern us. We might have prayed for Him to rule over us without grasping the clear meaning of His being our King and of His government. In order to believe in Yahweh we ne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He governs us. Thus, the Psalms is selected as the biblical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Kingship of Yahweh, especially Psalm 90 to 106 (Book IV), because the Kingship of Yahweh has been shown the most in Book IV. The Psalms has been studied with the Form-Criticism during the 20th Century. It solved many issues as the study revealed the situation in life (Sitz-im-Leben), Genre, and form of the psalms. But it requires a new methodolog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salms as a book. It is appropriate to use the Structure Analysis to understand Kingship of Yahweh which is shown in book IV of the Psalms. Therefore, in Chapter II, the new methodology to study the Psalms, especially the Structure Analysis, was examined after the thorough exploration of the previous study of the Psalms. In Chapter III, the meaning of the kingship of Israel is analyzed in order to discover the meaning of Kingship of Yahweh. A king who was enthroned after handing over the kingship in Israel was only a representative. He was a messiah and adapted son who was chosen by Yahweh. This is a unique concept of Israel which distinguishes from the concept of the ancient middle east which considers a king as one of the gods. For Israel, in their concept, the true governor is Yahweh alone. Then,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government of Yahweh? In Chapter IV, how the book of Psalm understood the kingship of Yahweh with the Structure Analysis was explor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salms was the literature that was written exquisitely in order to declare the Kingship of Yahweh. Particularly, book IV consisted of the introduction (Pss. 90-92), the main subject (Pss.93-100), and the conclusion (Pss. 101-106). In the introduction, the question of 'Who will rule over the king and the lost country, Israel?' was raised. The main subject serves as an answer to the introduction. Although it looks as if there was no king in Israel, it claims that the true King of Israel is Yahweh and explains that the situation that Israel was in is the result of breaking the covenant with God. In the conclusion, the reign of Yahweh is extended from Israel to every nation that acknowledges the Kingship of Yahweh. This structure of consisting of three parts, the introduction, the main subject, and the conclusion strengthens the Kingship of Yahweh progressively. Following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gship of Yahweh in book IV. 1) Yahweh is the only true Governor. 2) He reigns over the world for He is the Creator of the world. 3) He reigns over the world with righteousness and justice. 4) The suffering that Israel faces is because of their sin. 5) The sphere of reigning extends to all nations beyond Israel.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the kingship of Yahweh is fortified progressively in book IV of the Psalms. According to book IV, it is essential to have faith in Yahweh as a Creator and to meditate His law day and night in order to dwell under the reign of Yahweh. Therefore, Yahweh will reign over anyone who confesses Yahweh as their King and the lesson, Yahweh is the King, therefore, dwell in His reign, will be a message prevailing over space and time. ;야웨 하나님을 신앙하고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우리들은 예배에서, 그리고 삶에서 야웨 하나님이 우리를 다스려주실 것을 기도하며 찬양한다. 그렇다면 야웨 하나님이 우리를 다스리신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야웨가 우리의 왕이라고 했을 때 그의 통치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시편'이라는 성서본문을 연구본문으로 택했다. 구약성서에서 야웨의 왕권에 대해 보도하는 본문은 시편에 가장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시편은 다섯 권의 책으로 나누어졌는데, 그 중에서도 제 시편 4권에 야웨의 왕권을 다루고 있는 시들이 집중되어 있다. 특별히 93편, 97편, 99편에는 '야웨가 왕이시다'라는 뜻의 '□□□ □□□□'이라는 표현이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기도 하다. 따라서 야웨의 왕권을 연구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다섯 권의 시편 중에4권을 연구본문으로 택했다. 시편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양식 비평(Form-Criticism)적인 방법, 즉 각각의 시들을 삶의 자리에 비추어 그 기원과 기능을 발견하는 방법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야웨 왕권에 대한 시들의 '삶의 자리(Sitz-im-Leben)'는 왕위 등극식이 거행되는 이스라엘의 '축제'였다는 것과, 이 시들은 그 축제에서 제의문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렇게 양식 비평적인 방법에 의해 시편에 대한 많은 정보, 이를테면 각 시의 삶의 자리와 연대문제, 각 시의 장르에 대한 해답들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제의문의 기능을 했던 각각의 시들은 이제 문자화되어 시편이라는 한 권의 책으로 엮어지게 되었다. 이제 한 권의 책으로서 시편이 우리에게 전하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해석 방법이 요구된다. 즉 시편을 각각의 개별적인 시들의 단순한 수집물이 아닌, 잘 짜여진 문학 작품으로 보고 그 구조를 살펴보는 일이 필요한 것이다. 이렇게 구조를 살펴본다면 우리는 한 권의 책으로서 시편이 주는 의미를 보다 잘 읽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윌슨(G. H. Willson), 메이스(J. L. Mays), 맥칸(J. C. McCann), 하워드(D. M. Howard) 등의 학자들은 시편 4권이 야웨 왕권을 드러내기 위해 구조적으로 잘 짜여졌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구조분석'적인 방법에 의존하여 시편에 나타난 야웨 왕권 사상을 고찰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II 장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된 시편 연구사를 살펴보고, 시편 4권에 담겨있는 야웨의 왕권을 이해하는데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구조분석(Structure Analysis)'적인 해석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III 장에서는 야웨의 왕권을 살펴보기에 앞서 야웨 왕권과 지상왕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약성서에서 지상왕은 야웨가 그의 통치권을 위임한 대리자이며, 그의 아들이며, 야웨가 선택하여 기름부은 자였다. 따라서 지상왕의 왕권의 기원은 야웨로부터 온 것이며, 이러한 이스라엘의 왕권 개념은 왕을 신격화하는 고대근동의 것과 구별되는 이스라엘만의 독특한 사상이었다. 실제로 처음부터 야웨가 왕이셨으나 지상의 왕은 야웨의 대리인으로 삼으신 것이고 자신들의 진정한 왕, 그리고 영속적인 힘의 주권자는 바로 야웨 하나님이라는 것이 이스라엘의 왕권 개념이다. IV장에서는 이러한 야웨 왕권의 특성이 시편 4권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구조 분석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편은 전체적으로 야웨의 왕권을 선포하기 위해 정교하게 만들어진 문학작품인 것을 발견하였고, 특별히 시편 4권은 서론(Pss. 90-92), 본론(Pss. 93-100), 결론(Pss. 101-106)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견하였다. 서론에서는 '왕과 나라를 잃어버린 이스라엘을 누가 다스릴 것인가?'라는 문제를 제기를 하고 있다. 본론은 서론에 대한 해답의 기능을 한다. 즉 비록 이스라엘에 왕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진정한 왕은 야웨임을 선포하고, 이스라엘이 처한 상황은 그들이 야웨와 맺은 언약을 파기한 결과임을 상기시킨다. 결론에서는 야웨의 통치의 범위를 이스라엘 뿐 아니라, 그를 왕으로 인정하는 모든 나라에까지 확장시킨다. 이 '서론-본론-결론'의 구조는 야웨 왕권을 점층적으로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전체 시편 4권이 말하는 야웨 왕권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1) 우리의 진정한 통치자는 야웨 뿐이시다. 2) 그는 이 세상을 창조한 창조주이시기 때문에 이 세상을 다스리신다. 3) 그는 공평과 정의(righteousness and justice)로 이 세상을 다스리신다. 4) 이스라엘이 처한 고난은 그들의 죄 때문이다. 5) 야웨의 통치 범위는 이스라엘 뿐 아니라 전 세계로 확장된다. 결론적으로 야웨 왕권 개념은 시편 4권 안에서 점층적인 구조를 통해 강화된다. 그리고 시편 4권은 야웨 통치가운데 거하는 길은 그를 창조주로 인정하고 주야로 그의 법을 묵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야웨의 통치는 이제 야웨를 왕으로 고백하는 모든 사람에게 행해질 것이며, 시편이 말하는 '야웨가 왕이시고 그분의 통치가운데 거하라'는 교훈은 공간과 시간을 초월하는 메시지가 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