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3 Download: 0

드레이퍼리(Drapery)의 조형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Title
드레이퍼리(Drapery)의 조형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Authors
함봉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연
Abstract
Clothes are revealed during the process of dressing the two-dimensional materials onto the three-dimensional body, where a certain space appears that is formed around the structure of the body. Depending upon how the remaining space is treated and expressed, the silhouette of the clothes will vary. Drapery as well as pancho and caftan can be seen as examples of pleats that appear naturally in the course of wearing clothes. In other words, drapery is a fundamental element in the formative aspect of costumes. This study outlines the concept and features of drapery according to shapes of garments. It also deals with structure, presentation and types of drapery through historical review as well as formative analysis of modern costumes as application model. In addition, the age of Art Deco fashion is selected to be analyzed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rapery in those days may be identified. Viewed against such a theoretical backgrou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track and analyze formative character of drapery so as to present the motif applicable to modern costume design and facilitate the access to the application.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such as literature reviews on theses, pictures and magazines relating to costume development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Pictorial analysis and web surfing were another methods utilized. Moreover, pieces of costume were produced to show how to appl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rapery. Types of drapery were divided into three: drapery as a part of garment and as a detail decoration, or according to what kind of lines it takes, all of which were revealed in the sample pieces of costume. Drapery can be expressed not only in the part of a garment but also in the joined or mixed forms of more than two parts thereof. A diversity of drapery realized by application of detail decoration may in turn determine the structure of garment. When drapery is applied to the part of a garment and to detail decoration, it would be presented as wrinkles in straight lines, curves, or irregular lines. These types of line may undertake appearance of drapery, whereas a mix of them could be remained just as outlines of the garment.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reek costumes that are typical of drapery applications were represented during Empire Style era and Art Deco fashion era. Paul Poiret was one of the remarkable designers in the Empire Style era who was seeking simplified Greek drapery to embody modernism in fashion. Unique characters of Art Deco including simplicity, functionalism, sleek lines and eclecticism with traditions were reflected on to drapery during the times between 1908 and 1939. Features of drapery in Art Deco fashion can be briefed as follows: First, Greek drapery had been simplified to develop sleek lines in quest of simplicity in Art Deco style costumes. Second, freely flowing drapery took its form in Turkish pants and Japanese Kimono sleeved coat befitting to ethnic atmosphere favored by Art Deco designers. Third, rhythmic feelings out of various decorations even in the linear silhouette were matched with flowing drapery as well as served Art Deco's functionalism which allowed more freedom in body movement. Fourth, a new type of draper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bias cutting led to eclectic expression of Art Deco implemented in modern reconstruction of ancient formative beauty. As can be witnessed by Art Deco fashion era, drapery has more opportunities to be applied for and accessed to modern costumes by a lot of elements. Therefore, eight pieces of modern-style costumes were produced in an attempt to reveal the formative beauty of drapery through restructuring of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Art Deco motif by emphasizing or modifying local characteristics of garment including neck, sleeve, waist and hip.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costumes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how to handle the finishing of clothes, the process helps create different silhouettes. In short, partial application of wearing or folding the cloth around the body which is one of the main features of drapery may help lead to costumes with potential for more transition in forms. Second, darts and seams which are created in the course of dressing the two-dimensional clothes onto the three-dimensional body can also be masked through drapery. Lines are connected in order to create a form that in turn leads to voluminous and pleasantly fitting designs by which more simplified design and sleek lines can be pursued. Third, in cases of tightly-fitting costumes, partial extension or changes in clothing for the purpose of creating the drapery effect may be used for decorative purposes in the basic costume design stage. In other words, this allows the representation of costumes that are effective in terms of functions of drapery and yet maintain the functions or silhouette of the costume. This is in accordance with functionalism of Art Deco style. Finally, drapery can be used for express elegant and feminine impression as well as cheerful and sometimes dynamic image. Furthermore, it may deliver the emotions of ethnic leeway and ancient retro. Drapery in Art Deco age has adopted such features of developing ethnic preferences and eclecticism with traditions. The above conclusions show the extensiveness of expressing drapery, and it is expected that unexpectedly surprising outcomes may be borne of new attempts. Therefore, it may be significant to research forms and shaping methods of drapery in a way that has not been attempted. The thesis made use only of silk for explicit expression of drapery, yet there exists a need for continuing experiments on drapery using jersey, jean or even new fabrics. Furthermore, if standards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advantages of the plat pattern making and draping, this may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drapery and easier application of drapery to modern costumes. ;의복의 형태는 2차원의 재료를 이용하여 3차원의 인체에 입혀지는 과정에서 드러나며, 거기에는 인체의 형태를 기준으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 공간은 의복의 주름으로 드러날 수 있으며,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 실루엣(silhouette)은 달라지게 된다. 현의(Drapery)를 비롯한 관의(Pancho)와 전개의(Caftan)에서도 드레이퍼리(Drapery)는 나타날 수 있으며 인간이 의복을 착용하면 저절로 생겨지는 주름, 즉 드레이퍼리는 모든 의상 구성의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레이퍼리의 개념과 특징을 의상의 형태별로 구분하여 알아보고, 드레이퍼리의 시대적 고찰과 유형 분류, 실제 응용된 현대 작품의 조형적 분석을 통해서 드레이퍼리의 구조와 표현 방법 등을 연구하였다. 또 다양한 요소가 절충되어 있는 아르 데코 패션(Art Deco Fashion) 시대를 선택하여, 그 시대에서 보여지는 드레이퍼리의 특징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드레이퍼리의 조형성을 연구·분석하여 현대 의상 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는 모티프(motjf)를 부여하고, 그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복식사·문화사·관련 논문·화집·잡지 등의 문헌 조사와 사진 분석, 인터넷 사이트 검색 등을 이용하였고, 드레이퍼리의 조형성을 응용한 실물 작품을 제작하였다. 의복의 일부분으로의 드레이퍼리·세부 장식의 방법으로 표현된 드레이퍼리·선의 종류에 따른 드레이퍼리로 유형을 구분하고, 실제로 응용된 작품을 그 예로 제시하였다. 어떤 의복의 일부분으로도 드레이퍼리의 표현은 가능하며, 2종류 이상의 일부분이 연결되거나 합쳐진 새로운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 세부 장식의 응용에 따라 다양한 드레이퍼리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드레이퍼리가 의복의 구조를 결정지을 수 있다. 각종 의복의 일부분과 세부 장식으로 응용된 드레이퍼리는 직선·곡선·불규칙한 선을 가진 주름으로 표현된다. 이 선의 종류에 따라 드레이퍼리의 외관이 결정되며, 때로는 여러 형태의 선들이 외곽선 등 일부분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전형적인 드레이퍼리 형식의 의복을 갖고 있는 그리스 시대의 조형미는 엠파이어 스타일(Empire Style)시대와 아르 데코 패션 시대에 재현되었다. 특히 아르 데코 패션 시대의 Paul Poiret는 그리스풍의 드레이퍼리를 단순화시켜 의상의 모더니즘을 추구했다. 단순미·기능주의·유선형의 선·전통과의 절충주의 등 이러한 아르 데코의 특성을 보여주는 1908년경부터 1939년경까지의 의상, 즉 아르 데코 패션에서 나타나는 드레이퍼리를 연구하였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리스풍의 드레이퍼리를 단순화시켜 유연하게 흐르는 주름의 선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단순미를 추구하는 아르 데코의 특징적인 면을 보여준다. 둘째, 터어키풍의 팬츠와 일본풍의 기모노(kimono sleeve) 코트 등에서 보여지는 실루엣은 민속 의상에서 보여지는 것 같은 여유로운 드레이퍼리를 표현한다. 이는 이국풍을 선호하는 아르 데코의 성격이 반영된 것이다. 셋째, 직선적인 실루엣이지만 율동감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장식들로 유동적인 드레이퍼리를 나타내며, 신체 자유의 폭을 넓혀 기능주의를 표방하는 아르 데코와 일치하는 점이다. 넷째, 바이어스 컷팅(bias cutting)을 발견하여 드레이퍼리의 새로운 양식을 개발했는데, 이는 고대인의 조형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아르 데코의 절충주의적인 면을 보여준다. 위의 결과로 아르 데코 패션 시대에 드러나는 드레이퍼리는 다양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어 현대 의상 디자인으로의 응용과 접근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르 데코 패션 시대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fashion illustration)에서 모티프(motif)를 얻어 재구성하고, 네크(neck)·슬리브(sleeve)·웨이스트(waist)·힙(hip) 등 의상 구성의 부분적 특성을 강조 혹은 변형하는 방법으로 총 8점의 실물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복의 마무리를 다양하게 연출하면 그 방법에 따라 실루엣이 달라진다. 즉, 드레이퍼리의 가장 큰 특징인 두르거나 감싸서 입는 방법을 부분적으로 활용하면 형태의 전이가 가능한 의상이 되며, 유동적인 드레이퍼리를 연출한다. 둘째, 평면의 원단을 입체의 인간에게 입혀지기 위해서 파생되는 다트(dart) 및 봉제선을 드레이퍼리의 구성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 형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선들이 드레이퍼리로 융화되면서 볼륨감 있고 편안한 디자인을 전개하게 한다. 따라서 의상의 단순미를 추구할 수 있으며, 유선형의 선도 유출할 수 있다. 셋째, 몸에 밀착되는 유형의 의복에서 드레이퍼리 효과를 주기 위해 부분적으로 형태를 연장시키거나 변형시켰을 때, 그 부분은 기본 의복의 장식적인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즉, 기능이나 실루엣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드레이퍼리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의상을 재현할 수 있으며, 이는 아르 데코의 기능주의와 상통하는 부분이다. 넷째, 드레이퍼리로 우아하며 여성스러운 로맨틱한 이미지 뿐 아니라 경쾌하고 발랄하며 때로는 역동적인 이미지까지 표현할 수 있다. 또 민속풍의 여유로움과 고대의 복고적인 느낌까지 다양한 감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국풍을 선호하고 전통과의 절충주의를 표방하는 아르 데코의 특징을 반영한다. 이상의 결과로 드레이퍼리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구성 과정에서 변형이나 수정을 통하여 예상치 못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도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드레이퍼리의 형태와 방법들을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드레이퍼리의 효과가 잘 드러나는 실크 소재만을 사용하였으나, 저어지(jersey)·진(iean)·신 소재 등에서도 드레이퍼리의 실험은 계속 되어야겠다. 또한 평면 구성과 입체 구성의 장점을 살려 그 기준을 마련한다면, 드레이퍼리(drapery)를 보다 잘 이해하고, 현대 의상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