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5 Download: 0

해비타트마을의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외부환경디자인연구

Title
해비타트마을의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외부환경디자인연구
Authors
주정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As the rapid growth of the cities the housing type has been changed from single housing to gathering housing. So it is being an universal type now. But many residents feel that they are isolated from society rather than feel the sense of unity because of the apathy and the alienation. Hence, as part of healing this society problem people have thought that the life related to their neighbor is important. So there are occurring some activities in the general parts of human life. Spacially the communal living based on community comes in to the spotlight as a solution of the problem. Also community is recognized as a method realizing theirs fixed place of residence where can be durable. this while there are few studies on community of the low-income brackets who are usually the weak in society. If there were, the plan of partially financial support is almost all. But fortunately estranged culture and the poor environment of housing, which the low-income brackets were experienced, have being changed. At present Habitat movement which goals the harmony of low-income brackets through community of a Habitat village and getting along with every brackets to recover good relation with neighbor is spreading in our society. These days the meaning of community is summarized in the consciousness of living together or the feeling of unity. The community consists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communal society and organism. It has some similarities to the organic body because the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each other. Spacially the organic character which is apt to continue and survive independently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s resembles the character of organic body. So I developed the outdoor environmental design of low-priced gathering houses which ba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 of organic body. This paper's contents consist of as follow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study are described in the first chapter. The definition of community and the low-income brackets through studying theory was explained in the second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general definition of low-priced gathering houses was described. Also the appropriateness and the reason why the objective site of study must be the Habitat village was explained through considering Habitat movement. And the basic direction of study indicated after examining Habitat villages and the problems of low-priced gathering houses in our country. In the fourth chapter some example of design and low-priced gathering houses in overseas countries was investigated to develope the design of communal facilities. Through reviewing some housing of England, in where the social housing was originated and America where there are various people and diverse classes, I introduced the ideal concepts for which the advanced nation are heading. And I investigates the function of community and the function which must be included in the communal housing through researching some co-housing of Western Europe and America. By considering these results I drew the basic frame of space program and show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in the gathering houses for low-income brackets. Lastly in the fifth chapter I extract the design concepts stemming from the progress of chapter 2 and chapter 3, and design the space after programing.;도시가 발달할수록 주거의 형태는 단독주거에서 집합주거로 옮겨가 현재는 집합주거에서의 거주가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점점 고층화되는 집합주거에서의 무관심과 소외현상으로 거주민들은 자기가 속해 있는 공동체, 혹은 집합에서 일체감을 느끼지 못하고 오히려 고립되어 있다고 느낀다. 이에 "함께 더불어 사는 삶"이 중요시되고 이를 위한 행동들이 인간의 생활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다. 특히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집단생활은 의식주의 세 가지를 모두 실현할 수 있는 해결방안으로 주목되고 있다. 또한 공동체는 지속가능한 정주지 최근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은 브룬트란트(Bruntrant)의 정의이후 세계적인 패러다임이 되어 가고 있다. 브룬트란트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미래세대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개발"이라고 정의하였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리우선언의 원칙과 생태시스템의 환경용량(carrying capacity) 중시, 예방적 접근(precautionary approach), 미래세대를 위한 기회의 보존 등의 원칙들을 포함한다. 지속가능한 개발의 추진과 아울러 주거지개발부문에서도 지속가능한 정주지의 개발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였으며, 1996년에는 해비터트 어젠다(Habitat Agenda)와 이스탄불선언이 UN 해비터트 II 회의에서 공표 되었다. 출처:http://www.ksdn.or.kr 실현을 위한 방법으로도 인정되고 있다. 그동안 공동체에 관한 연구 중에서 사회적 약자인 저소득층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있다 해도 해결책 역시 경제적 지원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다행히도 저소득층들이 지난날 경험했던 소외된 문화와 열악한 주거환경에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해비타트 마을이란 공동체를 통해 저소득층 가정에 화목을 주고 더 나아가 계층간의 화합을 통해 이웃관계를 회복하려는 해비타트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오늘날 '공동체'란 의미는 포괄적이고 '커뮤니티'란 용어와 혼용되고 있는데 선행연구를 통해 이는 '함께 있음의 의식' 또는 '일체감을 느끼는 것'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커뮤니티는 지역성, 공동체성, 유기체성을 그 구성요소로 하며 이 세 가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나타나는데 이는 생명체가 가지는 속성과 닮아 있다. 특히 주변 여건에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존속, 생존하려고 하는 유기체성은 생명체의 속성과 닮아 있다. 이에 생명체, 생명체의 기본인 세포가 가지는 조형적 특성을 이용해 저렴집합주택의 외부환경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 고찰을 통해 커뮤니티 및 저소득층의 개념에 대해 논하였다. 제 3장에서는 저렴주택단지의 일반적 정의를 논하고 해비타트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본 연구의 대상지가 해비타트마을 이어야 하는 타당성과 적합성에 대해 논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해비타트마을과 저렴주택단지의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서 진행될 연구의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디자인을 위해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해외의 저렴주택단지 사례를 조사하였다. 사회주택의 출발지인 영국을 비롯한, 유럽의 사회와 다민족, 다계층의 국가적 특성을 가진 미국의 사례를 검토, 현재 선진국의 저렴주택이 지향하는 바를 제시하였고 서유럽과 미국의 코하우징(CO-HOUSING) 사례를 조사하여 공동체주택들이 가져야 할 기능과 변화되고 있는 공동체의 기능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공간프로그래밍의 기본 틀을 마련하였고 저소득층을 위한 집합주택에서의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디자인의 진행과정으로 2장과 3장에서 연구된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컨셉을 도출, 공간을 프로그래밍화 하고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저렴주택단지의 계획에 있어 주택의 기능성보다 이웃관계를 위한 공간계획이 더 중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고, 앞으로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프로그램과 연계된 단지의 관리방법, 공동체 프로그램등의 연구가 더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