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95 Download: 0

사회복지사의 재교육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복지사의 재교육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s
장경애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현재 우리나라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 및 전문성에 대하여 다양한 분야로부터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서비스 실천 현장에서 일하는 많은 사회복지사들에게 이러한 도전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재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은 사회복지사의 업무 즉,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자로서 수준 높은 서비스 전달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노력 및 결과를 가시적인 수치로 보여주는 개념이 될 수 있다. 자기효능감은 다양한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개념이나 본 연구에서는 재교육이라는 변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실태를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봄으로써 재교육이 자기효능감 즉, 사회복지 서비스 질과 전문성 향상의 측면에서 필수적이고 당위적인 요인임을 환기시켜 보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에 의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모집단은 총 93개 서울시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정규직 사회복지사로서 약 653명으로 추산되나 비비례층화법을 사용하여 총 271부를 우편 설문 조사하였으며 그중 63.1%인 171부가 회수, 사용되었다. 조사는 2004년 4월 21일부터 5월 22일까지 약 30일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84.8%가 재교육에 대한 '경험이 있다'라고 응답하였고, 만족도는 평균 3.65점으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 평균 참여횟수는 3.75회이며, 내부교육 경험자(74.5%)보다는 외부교육경험자(97.2%)가 더 많았고, 교육 종류는 강의·강연(35.2%), 세미나·워크샵(32.1%), 연수 34명(17.6%)순이며, 외부교육은 세미나·워크샵(45.5%), 강의·강연(31.1%)이 많았다. 교육내용은 프로그램 기획 및 행정(30.2%), 직접적 개입이론과 기술 78명(29.1%)에 관한 교육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 관심도는 평균 3.72점으로 높은 편이며, 재교육 받고 싶은 이유 중 개인의 자질 및 전문성 향상과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이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받았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관련하여 사회복지사의 평균 자기효능감은 5점을 만점으로 3.61점으로 중간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여 자기효능감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직위가 올라갈수록 높은 자기효능감 수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 특성과 관련해서는 재교육 경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재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동기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보다, 재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참가횟수가 많은 사람이 적은 사람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재교육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는 만족도, 참가횟수, 관심도, 동기(개인의 전문성 향상,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 필요한 정보수집, 타기관 직원 연계)등이었고,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는 경험유무, 외부교육 경험 유무였다. 재교육과 자기효능감이 상관계수 0.2~0.5사이의 다소 높은 상관관계 정도를 보여 재교육이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라고 판단할 수 있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 회귀모델별로 약 40~57%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재교육의 거의 모든 변수 즉, 내부(외부) 경험 유무, 재교육에 관한 개인관심, 참가횟수가 유의미한 설명변수로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함의는 첫째, 사회복지사의 재교육에 관한 여러 가지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기본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고, 부족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결과로서도 그 실천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재교육과 관련된 모든 변수 즉, 경험유무, 관심도, 만족도, 동기 등이 모두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재교육 경험이 있는 사람, 관심도가 높은 사람, 참가횟수가 많은 사람일수록 경험이 없거나 관심도가 낮은 사람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 재교육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교사의 효능감 연구에서 교육측면이 자기효능감을 높인다는 연구결과와도 일맥상통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교육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질 높은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의 재교육이 정기적이고 주기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실제적인 욕구(need)를 충족시키는 교육내용을 가지고 실시되어야 하며, 사회복지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다각적 측면에서의 활성화 방안모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al worker's self-efficacy and to find factors of reeducation that have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with designed questionnaire. Dependent variable was self-efficacy, independent variables was social worker's reeducation. Culture of community welfare center, personal history as a social work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controlled. The samples of 271 social workers selected from 92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A total of 18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inally 17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1 to May 22 in 2004 by mail.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an of self-efficacy was 3.61 out of 5.00. The general self-efficacy was 3.66 point and social self-efficacy was 3.55 point in average. These facts were above the middle point 3.00 and mean that the average self-efficacy level of social workers was generally high. Second, social worker's reeducation was appeared to directly related to self-efficacy. significant variables of reeducation were experience, satisfaction degree, frequency, interest in reeducation and motive of reeducation. Lastly, reeducation experienced workers have higher self-efficacy than inexperienced workers. High motive and interested in reeducation have higher self-efficacy than low. And many participation of reeducation has higher self-efficacy than few.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 as follows: Objective of reeducation of social workers is to improve the social welfare service in quality as social workers become more active and affirmative in performing their duties through the completion of the re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re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the demand of social workers in field, and the support system for reeducation participation should be prepa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