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초경(草莖)공예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Title
초경(草莖)공예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Authors
김희송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희
Abstract
Recently, our culture is in fullswing very well get out of Western thought. We have many case, used our tranditional applied formative, it is for our oriental image and design. However, we have any problem awaiting solution. the problem is how to using and take advantage of techniques, after that international worldwidelly make raise, following those rush indurstrial(craft) of preliminary tilling's technic, colors and shape are my paper's main aim. Nowadays, fashion is going to development skill ans own character and formative, also recognition with high elegant and value by the formative arts. I will try re-translation about oriental technic to presently(modern). here are the study and step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research notions of rush craft's and history documents inquiry after that, find possibility about make dress. Next, anallisys it's(rush craft) shape, color and look like. Third, find some cases of actual photos from designer. I made eight works using the technology of rush craft on the ground of abovemention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here are the conclusion come up with. Number one. Rush craft is one of Korean tranditional arts technology and it has development with korean history, also highly important cultural value for its lasting efforts for a long time to succeed and develop the trandition. We have to make an effort to create unique culture by more preserving, advertising and interpreting tranditional culture. Two, while it's making skill used just daily life objective, by this study I know can be show better look in shape of human's body. Three, illustration by the beauty of form ability. Four, I found that rush craft technology which is handicraft has the chance to be used for fashion with its uniqueness from handicraft. Five, tried so many time for find highest effect from it(Rush craft), and used lots of things. From that I could get possibility by new materials and think need more try and study. The conclusion from my study is as follows : We have to understand our history, idea, art, culture and religion first to introduce our tradition to modern fashion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simply reproducing of tradition in fashion and consider the re-creation of tradition to have the common sens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sm. ;최근 우리 문화는 서구 중심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우리 민족의 고유한 문화적 전통을 확립하려는 자성적 노력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현대 복식에 있어서도 우리 고유의 전통적 이미지를 담아내는 디자인을 창출하기 위하여 고유의 전통 공예의 조형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응용되지 않았던 우리 고유의 공예 기법 등을 활용하여 세계적인 디자인으로 발돋움 시켜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이에 한국 전통 공예 기법인 초경공예 중 완초공예의 제작 기법과 문양, 색채, 형태등의 조형성을 연구하고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지며, 이를 본 논문의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오늘날 패션은 기능미와 개성적인 조형미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예술적 조형미를 부여한 고품격, 고부가가치 패션의 중요성이 새로이 인식되고 있다. 이에 완초공예의 전통성을 알리는 한편 전통적 기법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새로운 디자인과 표현 기법을 창출시키기 위해 완초공예 기법의 표현 가능성을 조명하고 적용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의 연구와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경공예로서 완초공예의 개념과 유래를 문헌조사와 인터넷의 자료수집을 통해 알아보고 객관적으로 고찰하여 이를 의상제작에 도입하는데 있어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둘째, 완초공예의 형태, 색채, 모양 등을 완초공예의 제작기법, 문양, 색채,형태등을 분석하여 복식디자인에서 보여질 수 있는 조형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초경공예가 복식디자인에 응용된 사례를 디자이너들의 실물 사진 자료를 통해 분석하여 완초공예에서 보여질수 있는 복식디자인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완초공예에 응용된 제작방법을 활용하여 총 8점의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완초공예는 한국전통 공예 기법중 하나로 민족의 역사와 함께 발전하여온 문화적 가치가 높은 공예로서 전통의 계승과 발전은 오랜 시간의 노력 끝에 얻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우리 고유의 전통미의 발전을 위해 더 많은 전통 문화의 보존, 홍보, 재해석을 통한 독창적 문화 창조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완초공예의 제작 기법은 그동안 일상 생활에 필요한 소품의 제작에만 활용되어 왔는데, 이 연구를 통해 인체의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복식 소재로써의 기법으로도 활용,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복식의 조형미를 표현함에 있어 완초공예 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가 갖는 독특한 조형미를 표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완초의 제작 기법은 모든 공정 과정이 수공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으나 그로 인하여 그 만이 가질 수 있는 독특한 텍스츄어를 복식에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부여의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한국 전통 공예인 완초공예 기법의 예술적 가치를 복식조형에 접목시키는데 있어서 최상의 효과를 찾고자 코팅면사,린넨사,인조피혁사,연사등 현대의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완초공예 기법의 재현과 변용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소재로서의 가능성 또한 엿볼 수 있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의상에 있어서 전통의 현대적 활용과 세계화에 대한 대안 마련은 물론, 전통의 단순한 재현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현대 의상디자인에 우리의 전통을 올바르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의 역사와 사상, 예술, 문화, 종교 등의 전반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할 것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민족 고유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차별화된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경쟁력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이므로, 현재의 우리시대에 적합한 미의식이 세계 속에서도 공감대를 형성 할 수 있도록 전통의 재창조를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의 완초공예에 관한 연구는 제작 기법을 중심으로 하여 제작기법에 따라 나타나는 형태의 조형성을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 기법의 결과에 따라 나타나는 형태는 평면적인 것과 입체적인 형태의 조형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인체의 입체감을 나타내기에는 평면적인 형태를 취하는 제작기법으로 만든 소재를 입체적인 인체 위의 복식에 나타내기에는 다소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그만이 보여줄 수 있는 텍스츄어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또, 원형의 곡선은 입체의 곡선미를 살려줄 수 있으며 입체감을 줄 수 있는 짜임의 직조구조 또한 가지고 있어 앞으로 좀더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완초공예기법을 활용한 완초공예만이 보여줄 수 있는 독특한 조형미를 표현해 낼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으로서의, 가능성 또한 풍부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완초공예를 연구함에 있어서 소재, 색상 문양 등의 심도있는 연구 또한 이루어져 한국전통 완초공예가 갖고있는 조형미를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세계적인 디자인으로 발전되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