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밀라노 컬렉션에 나타난 의상디자인의 색채 연구

Title
밀라노 컬렉션에 나타난 의상디자인의 색채 연구
Authors
이민정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복식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Color cannot exist separately and the effect of color is decided by the relations of similar colors. The harmony of color arrangement is the relations of color. It's the important key to create the aesthetic effect of color. Color is a major factor that creates images in fashion relating to three aspects-prediction, application and description. Color implies the wearer's preference, character and his/her cultural background. Color can be recognized differently by its situation. So it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to put some colors to other colors. So to speak, color design is the most important and it' the process to apply to the way in color arrangement. Color is an important element to decide sensitive value in the clothing design. The color arrangement is also essential element to decide the entire atmosphere and the images of their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color in a sensitive fashion closely and to introduce the technical models in which quantitatively show the character of color harmony, analyzing the trend of the clothing from 2001 S/S to 2003 F/W. It is also to systematize in the way of analyzing the colors. Through the whole processes, this study presents the trend of preferring colors, the character of color arrangement and the whole culture of color. Natural Color System reflects a new paradigm very organically and relatively. It is distinguished with so mechanical and absolute existing color system. The features of Natural Color System show the propriety that is important between colors and their relations for the study of color arrangement. This study was processed by a theoretical and virtual analys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I investigated Color System, color harmony, color arrangement and fashion with color. For the virtual analysis of datas, I looked into the works of popular and influential designers of Milian Colle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questionnaires. Concretely, they are Dolce & Gabbana, Max Mara, Anna Molinari, Gianni Versace, Giorgio Armani and Prada. I used 843 works that were shown on the web-site(http;//www.firstview.com) except for the check pattern designs and dyed works by gradation. First of all, I analyzed the using frequency with color abstraction of those subjects. I tried to find out colors on the whole using NCS, Nuance Categories by L.Sivik, which help to catch the color tone, distribution chart of the color tone and chroma at the sametime. I analyzed the trend of color arrangement considering a size proportion with color organization by color tone, distribution chart of color tone and color palette. I also applied the principle of harmony with 7 basic parts classified by Birren to Natural Color System. As for indication of color I basically used NCS and indicated LAB(L*a*b) for more understanding. Therefore, I estimated the whole process synthetically and catched the main features of Milian col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ranking is equally R group, Y group, B group in order in 2001, 2002, 2003. As you see, it is shown to be R group, Y group, B group, N group, G group in other of using color frequency for last 3 years. The proportion of G group is the lowest. We can see it is the lasting character for long time on the preceding result of those studies: The color character in the fashion collection for the first half in 1990's and the color character in the fashion collection for the second half in 1990's. Second, compared with the whole S/S season and F/W season, only N group of no color groups was higher than others and Y group, R group, B group and G group were high in S/S season. In S/S season, the frequency of G group was 3 times higher than in F/W season. Third, general color tones of Milian Collection were Light Grey of light no color groups, Dark Gray of dark no color groups and Clean & Strong of bright and strong color groups expressing high proportion for the last 3 years. On the contrary, it was shown to be Grey Clean & Bright, Deep and Greyish chromatic of vague color groups expressing low proportion. Forth, it was the highest to use 2 colors in the color arrangement and then it was shown to be three, four, many and five colors. Applying to the harmony theory of Birren, the proportion of White-Gray-Black with natural harmony having no relations with pure color was the highest. It was shown that Color-White-Black with harmony of the basic pure color, White and Black was the lowest. Therefore, we can know that the distribution of stable harmony with successive brightness is high. Fifty, the character of color arrangement is as follow for each designers. In Dolce & Gabbana's collection, it was shown to be R group, Y group, N group, B group and G group in order. The frequency of G group was significantly low in this collection. The color arrangement of White-Gray-Black was the highest. That means there was the harmony of no dark color as similar as black having no relation with the size of white for all seasons. Generally we can find the comparison with brightness and darkness. In Max Mara's collection, it was shown to be Y group, R group, N group, B group and G group in other.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use of Y group and R group was remarkable. The color arrangement of Color-Shade-Black was high but Color-White-Black was never shown Generally dark color tone as similar as black with the color arrangement of similar color tone. In Anna Molinary's collection, it was shown to be R group, N group, Y group, B group and G group in order. The color composition with 2 or 3 colors arrangement was relatively simple. The proportion of White-Gray-Black was the highest in color arrangement but the proportion of Color-White-Black and White-Tint-Color was very low. In Giani Versace's collection, it was shown to be R group, B group, Y group, N group and G group in order. The proportion of N group was the lowest compared with other designers. Tint-Tone-Shade was the highest but Tint-Shade-Tone-Gray was the lowest in color arrangement. The highest color Tint-Tone-Shade expresses well-polished images and the harmony of various pure colors with adding black or white. He usually used complementary colors so expressed more colorful, powerful and much clearer color arrangement. In Giorgio Armani's collection, it was shown to be B group, N group, R group, Y group and G group in order. Compared with other designers the proportion of B group was the highest. White-Gray-Black in color arrangement was the highest but Color-White-Black was never shown. We can find the distribution of light color as similar as no color group and dark color as similar as no color group every season and every year. The color arrangement of similar color tone showed almost of White and Black color arrangement. In Prada's collection, it was shown to be R group, Y group, N group, B group and G group in order. As you see, the proportion of B group and G group was low. Color-Shade-Black was the highest but White-Tint-Color and White-Tone-Shade were low in color arrangement. We can find the harmony of light color, dark and deep colors. I analyzed virtually the character of color with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color through this study. I think it will be a useful material to understand the preferring trend and culture of color with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regional characters of color in international fashion collections. ;색채는 환경 속에서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색채의 효과도 단색보다는 인접색과의 관계 속에서 결정된다. 색채조화의 배색 문제는 색채와 색채간의 관계, 즉 색의 미적 효과를 창출하는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 패션에서의 색채는 예측(prediction), 적용(application), 표현(description)의 세 가지 측면과 관련되어 이미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착용자의 기호나 성격, 문화적 배경을 표현한다. 또한 색채는 디자인요소 중 인간의 시각에 가장 먼저 반응 하는 요소이기도하다. 색은 색이 보여지는 여건에 따라 실재와는 달리 지각이 되므로 배색 시 색이 놓여지는 위치와 면적 인접색의 종류를 세심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즉, 색채계획의 핵심은 색채디자인이며 색채디자인은 배색의 방법을 적용하는 과정이다. 색채는 의상디자인에 있어서 브랜드 감성가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며 배색은 디자인 전체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제품의 이미지를 결정짓는다. 본 연구는 2001년 S/S부터 2003년 F/W까지, 3년 동안 6시즌, 밀라노 컬렉션에 나타난 의상디자인의 색채 경향을 분석적 방법에 의해 제시함으로써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색채 특성을 규명한다. 또한, 색채분석방법의 체계화 및 색채분석연구의 모형을 제시하고 나아가 지역별 색채선호경향 및 배색특성, 총체적인 색채 문화를 규명함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도구인 자연색체계는 다분히 기계론적이고 절대적이었던 기존의 색채체계와는 구별되는 유기론적이고 상대적인 뉴패러다임을 반영한다. 따라서, 자연색체계의 특징은 색채를 색채와의 관계성 속에서 나타내고 있어 관계성을 중시하고 있음에 배색 연구에 타당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먼저 이론적 연구 부문에서는 색체계, 색채조화와 배색, 패션과 색채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밀라노 컬렉션의 비중있는 디자이너이면서 국내에도 인지도가 높은 디자이너의 작품을 대상으로 그 색채 특성에 관련해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의 선정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구체적으로 돌체 & 가바나(Dolce & Gabbana), 막스 마라(Max Mara), 안나 몰리나리(Anna Molinari), 지아니 베르사체(Gianni Versace), 지오르지오 아르마니(Giorgio Armani), 프라다(Prada)이다. 분석 대상 이미지는 다량의 정보를 담고 있는 웹사이트(http://www.firstview.com)의 자료들로 각 컬렉션에서 나타난 작품들 중 색채 분석의 어려움이 있는 교직물의 체크 패턴 디자인과 그라데이션(gradation)으로 염색된 사례 등을 제외한 총843점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우선 대상물의 색을 추출하여 색채 사용 빈도를 분석하였고 색상, 색조 분포 특성을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는 색상분포도, 색조분포도 구성을 기본으로 L. Sivik이 제시한 NCS 캐릭터리스틱 뉘앙스 에어리어(NCS Characteristic Nuance Area)에 적용시켜 영역별로 색채의 총체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색상, 색조분포도와 색채팔렛에 의한 색면구성으로 면적비를 고려한 배색 경향을 분석하였고 비렌이 분류한 7가지 기본 영역을 중심으로 조화의 원리를 자연색체계 위에 적용하여 배색 특성을 검토하였다. 색표기법은 NCS 색표기법을 기본으로 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Lab값 (L*a*b*)을 함께 표기하였다. 이에 따라, 전 색채 분석 과정에 대한 결과를 종합 평가하고 밀라노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 특성을 파악,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 2002년, 2003년, 각 연도마다 계열별 색채의 빈도 순위는 동일하게 R계열, Y계열, B계열, N계열, G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 3년간 나타난 색채 활용 빈도를 종합하면 R계열, Y계열, B계열, N계열, G계열 순이며 G계열의 비율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G계열은 '1990년대 전반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 특성'과 '1990년대 후반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의 특성'의 선행 연구 결과에서도 가장 낮은 분포로 나타나 G계열의 활용빈도가 가장 낮은 것은 장기간 지속되는 특성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전반적인 S/S 시즌과 F/W 시즌을 계열별 색채로 비교하면 무채색의 N계열만이 F/W 시즌에 높게 나타났고 Y계열, R계열, B계열, G계열은 S/S 시즌에 높게 나타났다. G계열은 S/S 시즌의 빈도가 F/W 시즌에 비해 거의 3배에 가까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3년간 나타난 밀라노 컬렉션의 종합적 색조는 무채색에 가까운 엷은 색조군인 라이트 그레이(Light Grey) 영역, 무채색에 가까운 어두운 색조군인 다크 그레이(Dark Grey) 영역, 유채색도가 높으면서 밝고 짙은 색조군인 클리어 & 스트롱(Clear & Strong), 딥 & 스트롱(Deep & Strong) 영역의 분포가 높았고 색채 특성이 모호한 그레이(Grey), 클린 & 브라이트(Clean & Bright), 딥(Deep) 영역과 색조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그레이쉬 크로메틱(Greyish chromatic) 영역의 분포가 낮았다. 넷째, 2001∼2003년까지 전체 디자이너에 나타난 배색수는 2색 배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3색 배색, 4색 배색, 다색 배색, 5색 배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렌의 조화이론에 적용하여 살펴본 결과 순색과 무관한 무채색의 자연스러운 조화인 White-Gray-Black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기본적인 순색, 흰색, 검정색의 조화인 Color-White-Black이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따라서, 명도의 연속으로 안정성있는 조화의 분포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각 디자이너별 색채와 배색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돌체 & 가바나(Dolce & Gabbana)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는 R계열, Y계열, N계열, B계열, G계열 순이였다. 여기서 G계열의 빈도는 다른 계열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배색은 White-Gray-Black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순색과 무관한 무채색의 조화가 나타났고 블랙에 가까운 어두운 색조와 화이트가 면적 크기에 상관없이 전체 시즌에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명도대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막스 마라(Max Mara)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는 Y계열, R계열, N계열, B계열, G계열 순이였고 다른 계열에 비해 Y계열과 R계열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배색은 Color-Shade-Black이 가장 높았으며 Color-White-Black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유사색조에 의한 배색에 블랙에 가까운 어두운 색조의 조화가 주로 나타났다. 안나 몰리나리(Anna Molinari)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는 R계열, N계열, Y계열, B계열, G계열 순이였다. 주로 2색, 3색 배색으로 색면구성이 비교적 단조로웠다. 배색은 White-Gray-Black이 가장 높았고 Color-White-Black, White-Tint-Color는 아주 낮은 비율이였다. 지아니 베르사체(Gianni Versace)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는 R계열, B계열, Y계열, N계열, G계열 순이였다. 여기서 다른 디자이너들에 비해 무채색인 N계열의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배색은 Tint-Tone-Shade가 가장 높았고 Tint-Shade-Tone-Gray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가장 높게 나타난 Tint-Tone-Shade는 색삼각형 중 가장 세련된 이미지가 연출되며 다양한 순색에 블랙 혹은 화이트를 첨가하여 만들어지는 색들 간의 조화가 나타났다. 또한, 보색을 주로 활용하여 강하고 선명하며 더욱 화려한 색채 배색이 나타났다. 지오르지오 아르마니(Giorgio Armani)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는 B계열, N계열, R계열, Y계열, G계열 순이였으며 다른 디자이너들에 비해 B계열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색은 White-Gray-Black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Color-White-Black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무채색에 가까운 엷은 색조와 무채색에 가까운 어두운 색조의 분포가 매 시즌, 매 해 전반적으로 나타났으며 유사색조의 배색 혹은 화이트, 블랙의 배색이 주로 나타났다. 프라다(Prada)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는 R계열, Y계열, N계열, B계열, G계열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서 B계열, G계열은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배색은 Color-Shade-Black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White-Tint-Color, White-Tone-Shade는 아주 낮은 비율이였다. 채도가 낮은 밝은 색조와 어두우면서 짙은 색조들의 조화가 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색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감성 시대의 디자인에 활용된 색채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추후 국제적인 패션 컬렉션들의 각 지역별 색채 특성을 분석하여 비교한다면 색채선호경향 등 색채 문화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되리라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