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중학교 3학년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Title
중학교 3학년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Authors
김효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구본관
Abstract
제7차 교육 과정은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 향상'을 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국어 사용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학습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지식의 교육은 교사가 단순히 전달하는 교육 활동이 아니라 국어 사용 현상에 대한 탐구 활동을 강조함으로써 학습자가 지식 생산 경험을 가지게 하고, 학습한 지식이 실제의 국어 사용 상황에서 활용되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 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국어 지식 영역에 대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중에서도 탐구 학습과 협동 학습에 주목하였다. 탐구 학습은 경험 과정을 통하여 의미를 찾아 내기 위해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 방법이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강조하는 교육 과정의 기본 방향과 부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협동 학습은 소집단 학습의 한 형태로 집단에 공동의 목표를 부여하여 동료 간의 협동적인 활동을 강조하는 학습 방식이나 소집단의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노력하여 주어진 학습 과제나 학습 목표에 도달하는 수업 방법을 의미한다. 집단 내의 학습자의 적극적인 협동 활동과 집단 간 경쟁과 보상을 통해 흥미 유발이 이루어지는 협동 학습은 특히 흥미를 일으키기 어려운 단원인 국어 지식 영역의 학습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두 모형을 자연스럽게 상호 연계한 혼합 모형을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학습에 적용시켜, 보다 흥미있고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학습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고, 이를 중학교 3학년 생활 국어 교과서 단원에 적용시킴으로써 모형의 실제성을 높이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협동 학습과 탐구 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협동 학습과 탐구 학습의 개념과 특징 등을 살펴 보고 국어 지식 영역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그 효과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재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협동 학습 및 탐구 학습에 대한 경험의 유무, 모둠 활동의 장점, 단점, 선호도 등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사전 실태 조사를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국어 지식 영역을 어렵게 생각하는 원인을 분석하여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과 사전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적용 가능한 협동 학습과 탐구 학습 모형을 고안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고안한 모형을 중학교 3학년 생활 국어 교과서 국어 지식 영역 단원에 적용하였다. 즉,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선정한 후 Ⅱ장에서 제시한 모형을 적용시켜 구체적 교수·학습 지도안 계획에 따라 실험 수업을 전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실험 수업을 전개한 뒤의 연구 결과를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그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중심으로 마무리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성취도 영역에서 협동 학습 및 탐구 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 집단의 학업 성취도가 통제 집단의 학업 성취도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협동 학습과 탐구 학습의 혼합 모형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 집단 간에는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특히, 사후 검사의 평균 점수가 실험 집단은 71.35점, 통제 집단은 64.78점으로 실험 집단의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보아,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본 교수·학습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국어 지식 영역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서도 전반적으로 실험 집단이 사전 실태 조사에 비해 실험 수업 후에, 좀 더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보상과 경쟁을 통한 협동 학습이 국어 교과와 국어 지식 영역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참여 가능한 수업 모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교사의 일방향적인 전달식 수업보다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학습자 위주의 참여 가능한 수업에 학습자는 좀 더 능동적인 반응을 보이고, 보상과 경쟁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으며, 나아가 교과목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국어 지식 영역 중에서 극히 일부분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협동 학습과 탐구 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에 있어서 그 효과 검증의 객관성 확보에 있어 부족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제7차 교육 과정의 궁극적 목표에 부합하며, 중학교 교실 수업 개선에 도움이 되는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 국어 지식 교육에서 협동 학습 및 탐구 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final purpose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m is to help students improve the ability to use the Korean language creatively. Also, it stresses that, in the education of the knowledge students need to know, the method should not just carry the knowledge to students but help students have experiences of generating knowledge through activities of exploring the phenomena of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 and be able to use the learned knowledge in real situations. This study, therefore, focused on exploring study and cooperative learning out of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area of the Korean language. Exploring study is the way by which students solve the problems for themselves to find out meanings from experiences. This coresponds to the fundamental approach of the curriculum emphasizing the student-centered and self-initiative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 kind of small-grouped learning, means the way to emphasize the cooperative activities among peers by giving the same objective to each group or to involve students in trying to attain the given learning tasks or learning objectives cooperatively in small groups. The cooperative learning that help students have interests in learning through active cooperative activities, competition among groups and reward can be the effective way in Korean knowledge education in which teachers usually have difficulties in arousing students' interes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through which students can learn the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with more interests and for themselves by applying the naturally mixed model of these two learning ways. Also, it tried to devise the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real classe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o enhance the praticabillity of the model by applying it to the unit included in the course for the third grade students, "Use of The Korean language in real lives". In Chapter II, exploring study and cooperative learning are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rough the study of related literatures. That is, the concepts and figures of these methods are studied, and their feasibilities and effects in the knoweldg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re also considered. And, the pre-condi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questionnaires concentrated on students' experiences, the preference,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exploring study in groups. Based on the research, the way how students can participate in class with interests is discussed by analyzing the reason why students feel the knowledge area of the Korean language is difficult.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the feasible model using cooperative learning and exploring study was devised. In Chapter III, according to the specific teaching-learning plan to apply the model suggested in Chapter II to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selected out of the third grade students the experimental class is developed. In Chapter IV,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s analyzed, focused on the effect i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and, in Chapter V, the result of this study is concluded, focused on its meaning and limitations.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achievement of learning, its degre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operative learning and exploring study were applied was meaningfully higher compared to its degree in the controlled group. The significance leve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both cooperative learning and exploring study were applied and the controlled group that those were not applied was 0.05.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averag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71.35) and the controlled group(64.78) in the post-tes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were proved to be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achievement degree in learning the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 in terms of the affective attitude of the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s a whole,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more positive changes,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This presents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reward and competition can give students positive affects for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s a subject and the attitude of the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Generally, this lesson was planned as the model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classes appropriate to their level, so it helped students be involved more actively in the student-centered class, have interests through reward and competition and change the attitude of the subject positively. This study deals only with the part out of the area of the Korean language knowledge, so it seems to lack the objectivity with regard to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cooperative learning and exploring study.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fundamental approach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devised the method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the knoweldge of the Korean Language to improve teaching methods in middle schools. Further studies on cooperative learning and exploring studies in the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specific and real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re requir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