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2 Download: 0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Title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Th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radioactive wastes
Authors
임경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식
Abstract
In the conditions that there has been fric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local residents in terms of choosing a site for radioactive wastes disposal, it is required to make people understood what is radioactive wastes properly, a fundamental problem, although political efforts are needed from a broad view. So,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what direction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follow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analyzing what a student's perception will be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or without it. Also, it examines how students perceive radioactive wastes issue, how much concern and interest they have, and what students think they know about the issue, under the situation that students have been given environmental education independently in middle and high schools.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given to 479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at Seoul, Kyonggido and Incheon. The result was processed with a 10.0 version of SPSSWIN10.0 program to find frequency, percentage, and t-test valu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heard about radioactive wastes, but they have a great lack of experience in learning it. They have studied the content of radioactive wastes in society class most, and in science class more than environment class. Also, they usually get knowledge about radioactive wastes from not school but the mass media. Second, it is found that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tend to think they have more knowledge of it than others, and they have higher concern and interest. Also, they want to gather more information about it and show higher effectiveness of field study than others do. Moreover, regarding a student's knowledge on radioactive wastes, it i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have more knowledge than middle schoolers do, irresp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iences. It shows that students are getting more fragmentary knowledge from the surroundings, not practical knowledge from environmental education they had, as they are getting older.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 higher effectiveness of study than the high schoolers. Third, while high schooler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agree tha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 atomic power plant, it is found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need of building a radioactive wastes disposal site by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iences and by grade. Also, regarding the support of resident's demonstration, high schoolers without environmental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agree to it. Thus, we have to find the alternative policies for the increased effectiveness of radioactive wastes education, while trying to establish a new model of radioactive wastes education and develop a program. Based on the result, for the effective radioactive wastes education,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it need to specific, step-by-step education on radioactive wastes, that it need to develop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and learning materials, and that it need to increase a student's field study connected to related organizations. ;방사성폐기물처리장 후보선정을 두고 정부와 지역주민간의 마찰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그 해결책은 거시적인 차원에서 정책적인 노력이 요구되지만, 가장 근본적인 문제인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 부족으로 생긴 인식을 전환하는 해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환경교육이 독립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 학생들이 어떻게 느끼고, 얼마나 관심과 흥미를 갖고 있으며,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환경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서울, 경기도 및 인천에 취학중인 중·고등학생 47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SPSS 10.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test 등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들은 방사성폐기물에 대해 들어 본 적은 있으나, 학습경험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사성폐기물에 관한 내용을 들은 과목은 사회, 과학, 환경 순이었으며, 지식은 주로 대중매체를 통해 얻으며 학교 수업을 통해 얻는 정도는 낮은 편이었다. 둘째, 환경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고등학생들이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본인이 생각하는 지식정도, 관심 및 흥미도, 정보수집욕구, 현장학습 경험 등이 다른 집단에 비해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지식정도는 환경교육유무와 상관없이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환경교육으로 인한 지식의 증가가 아니라 학력이 높아지면서 주위의 경험으로부터 환경지식을 얻어 단순지식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학습효과는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자력발전소 건립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환경교육경험이 있는 고등학생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방사성폐기물처리장 건립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환경교육경험 유무의 차이와 급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성폐기물처리장건립에 대한 주민시위에 대해서는 고등학생이 더 많은 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교육경험이 없는 고등학생이 시위에 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과적인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교육을 위해 효과성 증대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방사성폐기물교육에 대한 새로운 모형정립과 프로그램개발이 동시에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의 결과로 방사성폐기물에 대해 구체적이고 단계적인 교육과 수준에 맞는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며, 지역사회 및 관련 단체와 연계한 현장학습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