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기호학적 접근에 의한 전시공간디자인 연구

Title
기호학적 접근에 의한 전시공간디자인 연구
Authors
김수지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중
Abstract
현대에 있어서 박물관의 역할은 기본 업무인 수집, 보관, 전시, 조사, 연구의 기능 뿐 아니라 교육과 휴식 등까지 그 기능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또한 앞으로 더 많은 이용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한 지역의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문화와 여가의 중심공간으로 작용할 것이다. 현대의 박물관개념과 역할은 종래의 고유기능을 사회적 의미와 교육적 역할 때문에 교육 보급활동, 지역사회의 봉사, 지도 연구 업무로 변화하고 있다. 사회와의 융화를 위한 활동과 관람객의 참여 유도로 대중화가 기본적인 목표로 이루어져야 한다. 자료중심의 전시에서 주제중심의 전시로 변환되어야 한다. 또한 박물관의 주기능인 전시에 있어서 박물관에서의 전시는 관람객들과 전시물과의 커뮤니케이션, 관람객들간 혹은 큐레이터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 박물관의 전시방법은 형식이나 전통적인 방식을 벗어 나야한다. 자유롭게 접근하고 생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관람객 스스로가 박물관의 주제와의 소통이 용이해야 한다. 물리적인 전시정보와 이미지의 전달의 속성 뿐 아니라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생겨나는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즉, 박물관디자인은 전시되는 공간을 디자인함으로써 지식을 형상화하고 구체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호학과 건축공간의 관계성을 고찰하여 기호학적 개념으로 환경디자인을 접근하려고 하였다. 또한 전시공간의 특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전시공간에서 필요한 공간과 인간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Ⅰ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박물관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을 알아보고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서 보완해야 하는 것을 조사하였다. 또한 기호학의 개념과 구조, 공간과 기호,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실제의 사례를 통해 기호학의 관점에서 분석 하여 공간이 내포하고 있는 기의와 그러한 기의를 표현하는 기표에 대해 조사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연구대상을 영화박물관으로 선정하고 공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의 필요한 디자인 개념을 수집하고 기능과 공간의 분석하여 공간 디자인안을 제시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대상지를 선정하고 그 대상지에 적용해야 하는 디자인 개념 즉 기의들을 설정하여 불륨 스터디를 통해 적용해 보았다. 도출된 공간형태에 전시공간으로서의 기능성과 기의 등을 고려하여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모형사례가 연구자의 의도했던 의미가 나타났는지를 그레마스의 기호사각형을 근거로 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전시공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접근 방법으로 기호학적 방법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호학적인 접근 방법이 건축공간을 개념적으로나 경험적으로 분석하는데 도움이 됨을 발견하였다. 환경에 대한 기호분석은 디자이너들의 의미 형성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공간을 객관적으로 디자인해 나가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In the modern times, a museum does not play its basic roles only such as collection, storage, exhibition, investigation, and research but also gives education and rest. It is also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local residents with more opportunities to use it and will remain a symbol of a local society and a central space for culture and leisure. Museum in a modern society has social and educational functions as well as its traditional unique ones. So, museum is conducting such activities as education diffusion, service to a local society, and guidance and research. Its basic goal of popularization should be achieved by its activities for harmonization with its local society and for attracting visitors. Its exhibiting activities should be changed from material-centered to subject-centered. Concerning its main function, materials should be exhibited in such a way that communication may be executed between exhibits and visitors and among visitors, and between curator and exhibits. Moreover, the exhibits in a museum should be displayed in other ways and methods than traditional ones. Museum should give visitors an environment where visitors may have free access to the exhibits and appreciate them seriously and where visitors may freely communicate with the subject of the exhibits. A space should be provided where physical information and images on the exhibition may be communicated and where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may be also communicated through mutual correspondence. In other words, museums should be designed and exhibits should be given a space in such a way that knowledge may have a concrete form and shape.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an environmental design to a museum from a semiological perspective after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miology and a construction space. It also purposes to express the most eff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an exhibition space and to propose a concrete design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pace and humans. This study composed of the following: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s of the study and its scope and methods. 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general theories of museums and investigates into what should be complemented for the design of museums. In addition, the author theoretically considers the concepts and structure of semiology, space and sig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miology and communication. The third chapter analyzes actual cases from the perspective of semiology so as to examine meanings and symbols of an exhibition space. The fourth chapter selects a movie museum as the object of the study, collects concepts for designs needed for organizing a space, analyzes its functions, and suggests a plan for space designs. Next, the author chooses a place and applies a design concept to the place through a volume study. The final draft of a space type is proposed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unctions and symbols of the exhibition space. Lastly, using the graphic tetragon of Gremas, the author tests the design model cases so as to confirm if they have realized his original inten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e that a semiological approach is the most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for an exhibition space. It is also found out that the semiological approach is helpful for analyzing the construction space in a conceptual and experiential way. Signal analysis of an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for designers to form the meanings of their designs and necessary for designing a space in an objective w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