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이충선제 서한범류 피리 散調의 선율 硏究

Title
이충선제 서한범류 피리 散調의 선율 硏究
Authors
이순민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이충선제 서한범류 피리산조의 선율 분석을 통하여 이충선제 서한범 산조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 산조의 실제 연주에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출현음의 진행방법을 중심으로 각 구성 음들의 기능을 파악하고 이충선제 서한범류 피리산조에서 쓰이는 음조직을 비교?고찰하겠다. 이충선제 서한범류 피리산조는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자진모리로 되어 있다. 이 중에서 피리산조의 깊은 맛이 담겨있는 진양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조> 진양조의 우조 선율의 구성음은 F, G, B♭, C, D음으로 나타났는데, D음을 제외한 G, F, B♭, C음에서는 농음이 나타났으며, F, B♭, G음에서는 퇴성이 나타났다. B♭음은 안정감을 주는 중요한 음이고, D음은 하행시 꺾어서 나타내는 모습을 보였다. <계면조> 계면조의 구성음은 C, D, E♭, F, G, B♭음으로 나타난다. C음은 동음인 C음으로, 3도 상행 E♭음으로, 5도 하행 F음으로 진행 되었으며, 길게 진행 될 때 는 농음을 하며 안정감을 주는 중심음의 역할을 한다. D음은 3도 하행 B♭음으로, 2도하행 C음으로의 진행이 나타났으며, E♭음에서 꺾어지는 꺾는 음이다. E♭음은 길게 농음 되어 진행되거나, D음으로 하행 진행되었으며 G음의 짧은 꾸밈을 받는다. F음은 길게 뻗다가 2도 하행, 2도상행의 선율 진행이 나타나며, B♭의 짧은 꾸밈을 받는다. G음은 4도 상행, 5도 상행, 2도 하행, 4도하행이 나타나는데, 비교적 안정적으로 농음 하여 진행되어 나타난다. B♭음은 2도상행시에 퇴성이 나타난다. 또한 다루쳐서 F음을 강조하는 경과음으로 보조음적 요소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이 이충선제 서한범류의 진양조 선율은 20장단의 우조와 18장단의 계면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음들의 기능적 특징은 위와 같음을 알 수 있다.;This treatise searches Ichungseonje Seohanbeom Sanjo's characteristic through Ichungseonje letter ordinary person Pirisanjo's melody analysis and there is the purpose that help in this Sanjo's actuality performance. Method of study grasps function of each composition sounds laying stress on progress method of appearance sound and compares sound organization which is used in Ichungseonje letter ordinary person Pirisanjo and will investigate. Ichungseonje letter ordinary person Pirisanjo is epicentrum, of into profiteering, Jungjungmori, shaman song, volunteering profiteering be. Analyzed Jinyangjo that deep taste of Pirisanjo is filled among this, and the result is as following. The component sound of Jinyangjo's Ujo melody appeared by F, G, B ♭, C, D sound, Nongeum appeared in G except D sound, F, B ♭, C sound, and Toeseong appeared in F, B ♭, G sound. B ♭ sound is important sound that give sense of security, and D sound showed state that break at going down and appears. The component sound of Gaemyunjo appears by C, D, E ♭, F, G, B ♭ sound. C sound progressed C sound, Eb sound by 3 sound goes up, F sound by 5 sound goes down, and did Nongeum that increase when is progressed long and acts role of center sound that give sense of security. D sound is going toward B♭ by 3 sound goes down, C sound by 2 sound goes down, and is sound that break that break in E♭ sound. E♭ sound is gone becoming Nongeum long, or going down was gone toward D sound, and receive short decoration of G sound. While F sound spreads long, 2 sound goes down, melody progress of 2 sound goes up, and receives short decoration of B♭. G sound appeared 4 sound going up, 5 sound going up, 2 sound going down, 4 sound going down, and appeared comparatively stably Nongeum. When B♭sound is gone 2 sound going up, Toeseong appears. Also, appear on assist melodical constituent that emphasize F at Duruchyeo. Letter ordinary person's Jinyangjo melody consists of Ujo of 20 lengths and Gaemyunjo of 18 length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each sound can know that is ditt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