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소설 창작교육 방안

Title
소설 창작교육 방안
Authors
최경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숙
Abstract
소설의 완전한 이해는 창작을 통해 가능하다는 전제와 문학 교육을 이항대립으로 보면서 한 쪽만을 다루는 기존 읽기 중심의 소설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방법이 창작교육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창작교육은 전문적인 작가를 양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창작교육이 아니라 창작교육을 통해 소설을 써 봄으로써 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교육에 관한 논의가 정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고 관심의 영역을 확장시켜 비정규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안학교의 교육과정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현행 정규 교육과정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일반학교와 이와는 다르게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안학교의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소설 창작교육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살펴 본 소설 창작교육 현장 지도 양상은 학생들의 소설에 대한 관심과 창작 욕구는 높은 데 반해서 실제 각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설 창작 방법과 절차는 체계적이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서사문 쓰기 양상을 통해 드러난 각 학교 학생들의 개인별 특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일반학교와 도시형 대안학교 학생들의 서사구조 분석을 통해 살펴 본 발달 양상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도시형 대안학교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폭넓은 소재를 선택하여 개성적으로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비하여 일반학교 학생들의 서사 내용은 대부분 비슷하였으며 이야기를 풀어 쓰는 상상력 또한 거의 비슷하였다. 이를 통해서 각 학교의 학생의 개별적인 특성과 교사의 개별적인 역량을 구체적으로 체계화시킬 수 있는 창작 절차와 방법 개발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소설의 수용과 창작을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Ⅱ장에서는 현행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작교육과 대안학교 교육과정과 창작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창작교육관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 후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창작교육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는 창작교육에 대한 체계화된 교육과정으로서의 기준으로 제시한 것이며, 앞으로 논의될 대안학교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현행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감안하여 살펴본 것이다. Ⅲ장에서는 소설 창작교육의 양상을 현재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에 재학중인 중학 수준의 학생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소설 창작의 학생 개별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각 학교 학생들의 서사문 쓰기 양상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본고의 소설 창작교육의 교수ㆍ학습 방법의 이론적 배경이 된 패러디 이론과 대화중심 작문 지도 이론을 살펴보았다. 패러디 이론은 소설의 수용과 창작의 통합 원리를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패러디 원리와 그에 따른 패러디 쓰기 절차에 대해 소개하고, 실제 창작을 위해서 대화중심 작문 지도의 전략과 구체적인 학습 모형을 소개하였다. Ⅴ장에서는 앞의 소설 창작교육의 양상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과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Ⅳ장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적용시킬 수 있는 소설 창작교육의 교수ㆍ학습 모형과 절차를 제안하였다. 소설 창작교육의 교수ㆍ학습의 원리를 살펴 본 후, 창작 준비단계로서 패러디 소설 쓰기를 설정하고, 창작 실제 단계로서 창작 과정에 따라 창작 전ㆍ중ㆍ후로 세분하여 각 과정에 따른 활동을 구체적으로 안내하였다. 또한 대안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용 가능한 소설 창작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창작교육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평가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Ⅵ장에서는 기존의 교육적 논의의 범위에 제도권 밖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을 포함시켜야 하며, 실제 창작 활동이 중심이 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밝혔다. 또한 창작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지속되어야 하며 특히 평가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Perfect comprehension of novel was approached in side called creation education as a method was able to overcome a existing reading-centered education in the binomial option between a proposition that is possible through creation and a literature education. The creation education is able to give a moment which enhance a comprehension of literature as student write a novel themselves, not but that it intends to bring special writer up. In this manuscript, the subject of study was a curriculum in alternative school being managed with irregular process as it was criticized that most discussion of existent education was achieved with formality course of study. It was examined an aspect about creating novel education, comparing a curriculum of alternative school which has operated autonomously with general school which has been operated by current formality curriculum. The research about creating novel education in school proved that novel creation method and formality in each school are not systematic enough in spite of students' interesting and creation desire regarding novel. Next, individual special quality of each school student was compared by writing description. narration structure analysis between general school and city styl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indicated that both students were developing by almost similar level. However, city styl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composed individual story in their own various experience and wide theme, on the other hand narration contents of general school students were mostly sismiar and vision used to solve story was also almost simirar. It meaned that the development of creation formality and method which can systematize students' individual special quality and teachers' individual capacity in each school was urgent. In this manusript, the plan that can integrate capacity and creation of novel was examined. Creation education emphasizing in current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examined in chapter 2. Creation education contents that is reflected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examined after concrete examination about how creation educational philosophy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change of a curriculum. This was suggested as a standard of systematized curriculum about creation education, and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to be discussed forward was examined in taking account of autonomous adminstration based on current curriculum. Parody theory, which has been a theoretical background of studying and teaching method of creating novel education in this manuscript, and conversation-centered composition guidance theory were examined in chapter 3. Parody writing process was introduced according to parody theory as a method that parody theory embodied acceptance and creation of integration principle in novel, and conversation-centered composition guidance strategy and specific studying pattern for practice creation were introduced. This aspect of creating novel education was analyzed, which based on research result to students and teachers of junior high school level in the present general school and alternative school, and description of each school students was compared to examine student individual special quality of novel creation in chapter 4. Teaching and study model and formality regarding creating novel education were suggested, which could apply o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pter 3 considering individual special quality of students and problem that detected through aspect of creating novel education in previous chapter, and the evaluation also was discussed in chapter 5. After teaching and studying principle of creating novel education was examined, writing parody novel was established as a creation preparatory stage, and then subdividing with creation before and after according to creation process as a real creation stage. What is more estimation plan that has been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creation education was examined. In this chapter 6, it was cleared that interest regarding curriculum of outside system should be included in extent of existent educational discussion, and the education in the center of real creative activity should be achieved. Moreover, specific study regarding creation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and especially study regarding estimation was serious and urg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