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채색된 그림자

Title
채색된 그림자
Authors
이선주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순옥
Abstract
Whatever we conceive, we sense color and live within it. To that extent, color has saturated fundamentally inside our lives, and is a vital instrument for us to feel and perceive every object around us. Especially for the artist, color is the most universal tool to express his or her feelings, however, it is the most personal and intense method since everyone has unique and different sense of color and nobody shares the exactly same sense. The main factor that determines the way of expression in my work is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colors. Even the most beautiful color merely laid side by side cannot complete the beauty. Because colors influence each other and create their own relationship, and through that relation the color transforms itself and furthermore will be able to occupy the empty space around it. This nature of color is expressed in my work through the method of layering which leads to close combination of color, light and shadow. The space that becomes able to carry color through the light and the colored shadow that shows from this space are expressed in my work. First of all, color appears through the light and the light is responsible for every change of the color. In other words, the light has the power to bring change in color. The light combines with the color and determines the change of form and depth. The method I used in order to seek harmony in the light and color is by forming a unified space that is created though transparent and opaque color. In that space the color encounters light then forms new space, occupies other space, and creates a colored shadow containing light that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screen. That is to say, that color itself becomes a unified shadow. Also the layering has the tendency to eliminate the fragments and integrate the objects at the same time. This layering helps to shows the essential element inside a painting and hides the unnecessary factor and to complement each other. Also the layering vanishes the surface to empty space by absorbing the constantly changing surface obtained by repetition in space or creates new surface that could be seen in other view. To describe the following thoughts I would like to observe the relation of colors that Mark Rothko(1940-1970), who let a plane have a sense of space by contracting or expanding colors, had expressed through his works. I consult 「the Zur Farbenlehre」 of Johann Wolfgang von Goethe(1749-1832) and a concept of colors referred by Ludwig Wittgenstein(1889-1951) who said that 'an object without colors cannot be experienced'. In this way, I have proved the various colored images made from the light through the works of Dan Flavin(1933-1966) who emphasized the image of color reflected by dying a light over a wall. In the second section, to show the color and the shadow that come from the light, which is the origin of all existence, I found the ideas about a light of Louis Kahn(1901-1974) and the works of James Turell(1943- ) who has been known as an artist of the light by making spaces full of lights. And to illustr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olor and the light, I consult the stained glass that produces a new space of colors by accepting external lights. As advanced my work, I would like to refer a thought and works of Henri Matisse(1896-1964) who showed the relation between colored appearance of a different shape and a size In the third section, looking around the layer which is the main expression I study Agnes Martin(1912-) who have shown the spatial atmosphere expanded infinitely using a light color and line as well and Larry Bell(1939- )'s work which shows the color changed by a spectator's location. Finally, I explained my work from the basis of recent works in the last section which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a common theme.;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색을 느끼고 색을 보고 그 속에서 살아간다. 그만큼 색은 우리의 생활 속에 깊숙이 내재해 있으며, 우리에게 모든 사물을 느끼고 깨닫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이다. 특히 작가에게 있어서 색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함에 있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도구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어느 누구도 완전히 동일한 감각을 지닐 수 없는 가장 강렬한 개인적인 수단이기도 하다. 본인의 작업에서 표현을 결정짓는 것은 이러한 색들 사이의 관계이다. 색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그들만의 관계를 만들어나가고, 그러한 관계를 통해 스스로를 변형시키거나 더 나아가 비어있는 공간을 점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색일지라도 색들을 그저 나란히 놓는 것만으로 완성될 수 없다. 이러한 점은 본인의 작품 속에서 긴밀한 결합을 유도해내는 색면의 중첩이라는 방식과 빛에 의해 색을 지니게 되는 공간과 그러한 공간으로 인해 보이는 채색된 그림자로 표현되어진다. 우선 색은 빛을 통해서만 우리에게 인식되므로 색의 모든 변화는 빛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빛은 색을 변화시키는 힘을 지니고 있다. 빛은 색채와 결합하여 형태의 변화와 깊이를 좌우한다. 본인이 추구하는 빛과 색채의 조화는 빛이 투명하거나 불투명하게 만들어진 색을 통하여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공간 속에서 색은 빛과 조우하며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기도 하고, 공간을 채우기도 하며, 화면의 내부를 투과하면서 빛을 내재한 색을 지닌 그림자를 만들어나간다. 즉, 색 자체가 하나의 그림자가 되는 것이다. 또한 중첩은 대상의 부분들을 제거하는 속성과 동시에 대상들을 통합하는 속성을 가진다. 이러한 중첩은 그림 안에서 필요한 것은 보여주고 불필요한 것은 가려주면서 서로를 보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반복으로 얻어진 공간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면을 다른 면으로 흡수시킴으로서 빈 공간으로 사라지기도 하고, 다른 시각으로 보이는 새로운 면을 창조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생각을 풀어나가기 위해서 색채를 팽창 또는 수축하게 만들어 평면에 공간감을 부여한 마크 로드코(Mark Rothko, 1940-1970)의 작품을 통해 그가 풀어나간 색채들의 관계를 살펴보고자한다. 또한 색채와 빛의 관계를 이야기한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의 「색채론」(Zur Farbenlehre)과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1889-1951)이 색채와 공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색상이 배제된 대상은 경험할 수 없다'고 이야기하며 언급했던 색채개념을 참고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빛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색채의 이미지들은 빛이 투사되어 벽면을 물들임으로써 반영된 색채의 이미지를 강조한 댄 플래빈(Dan Flavin, 1933-1966)의 작업들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모든 존재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빛을 통해 생겨나는 색과 그림자를 이야기하기 위하여 루이스 칸(Louis Kahn, 1901-1974)의 빛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고 빛으로 가득한 공간을 만들어 빛의 작가로 알려진 제임스 터렐(James Turell, 1943- )의 작품을 찾아보았다. 또한 색과 빛의 관계를 풀어감에 있어 외부의 빛을 끌어들여 내부에 새로운 색의 공간을 연출하는 스테인드글라스를 참고하였고,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만들고 변형시키는 서로 다른 형태와 면적의 채색된 표면들 사이의 관계를 이야기한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 1896-1964)의 생각과 그가 작은 예배당에서의 보여준 스테인드글라스 작업들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 작업의 주된 표현방법인 중첩을 살펴보면서 얇고 연한 색의 물감과 선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가라앉은 색채와 은은한 빛의 존재, 명상적인 분위기로 무한히 확장된 공간적 분위기를 보여준 아그네스 마틴(Agnes Martin, 1912- )과 색을 지닌 투명한 유리를 중첩하여 사용함으로써 관람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지는 색과 모습을 보여주는 래리 벨(Larry Bell, 1939 - )의 작업을 참고하며 많은 도움을 얻었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작업을 설명하는데, 현 작업의 기초가 된 본인의 초기 작업 설명을 시작으로 작업이 가지는 공통된 사고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