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문제해결 상호작용 상황에서 어머니 행동특성과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문제해결 상호작용 상황에서 어머니 행동특성과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성희용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문제 해결 상호작용 과제에서 어머니 행동특성과 애착 안정성이 유아의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어머니 행동특성이 애착안정성과 유아의 행동특성을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30-42개월의 33명의 유아와 이들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어머니 행동특성과 유아의 행동특성은 Erickson, Sroufe와 Egeland(1985)가 고안하고 정지나(1997)가 번안한 4가지 과제를 어머니와 유아가 함께 해결해 나가는 상황에서 측정되었다. 각 과제는 어머니가 유아에게 새로운 과제를 지도할 때 보이는 다양한 행동과 유아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아가 수행하기에 다소 어려운 과제들로 구성된 것으로 이 과정동안 어머니와 유아가 보이는 반응들을 교수전략 평정척도를 통하여 어머니 행동특성, 아동행동특성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애착 안정성은 Waters와 Deane(1985)이 제작한 애착 Q-set의 개정판(Waters, 1987)을 이영, 박경자, 나유미(1997)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어머니 행동특성과 유아의 행동특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상관과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 행동특성이 애착안정성과 유아행동특성을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 분석을, 유아의 행동특성에 대한 어머니 행동특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Step-Wise 회귀분석을 SAS 8.01과 SPSS 10.0을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제해결을 위한 상호작용 상황에서 어머니 행동특성들과 유아 행동특성들 간에는 대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해결을 위한 상호작용 시 어머니의 유아에 대한 믿음이 크고 긍정적인 정서지지 표현이 많을수록 유아의 인내력이 많아지고 문제를 통한 긍정적 경험과 긍정적 정서정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문제해결을 위한 상호작용에서 애착안정성은 어머니 행동특성을 통해서만 유아행동특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안정성이 유아행동특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머니 행동특성이 완전매개 변인이 되고 있었다. 3. 유아행동특성들에 대한 어머니 행동특성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과제 상황을 잘 인내하고 지시에 잘 순응하며 회피의 경향을 적게 보여 과제를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하는 유아들의 행동특성은 어머니의 행동 특성 중 유아에 대한 믿음이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었다. 또한 과제에 많은 열정을 보이고 어머니에게 덜 의존하며 상호작용 중에 긍정적인 정서를 많이 나타내는 유아의 행동특성은 정서적 지지를 잘 해주는 어머니 행동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아이가 과제 상황을 통해 얼마나 긍정적인 경험을 가질 수 있느냐의 여부는 어머니의 자율성 허락의 정도가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문제해결 상황에서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행동특성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 어머니 행동특성변인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밝혀졌고 어머니 행동특성 중 유아에 대한 믿음과 정서적 지지, 자율성 변인이 유아의 과제 행동특성을 가장 잘 설명해 주어 문제 해결 상호작용 과제에서 유아의 바람직한 수행을 이끌어 내는데 큰 시사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attachment security on infant behavior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33 infants, 30 to 42 months of age their mother. Attachment was assessed using the Attachment Q-set (Waters, 1987)and mother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infant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through mother-infant interactions. Mother-infant interactions during Problem Solving situation that required the mother and infant work together were observed with the use of the Teaching Strategies Rating Scale (Erickson, Sroufe, Egeland, 198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infant behavior characteristics. With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s the mother showed stronger confidence and positively emotional support, infants tended to report higher persistence, more positive experience and affection toward mother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during Problem Solving situation. 2.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during Problem Solving situation, attachment security only with mother behavior characteristics has the effect on infant behavior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 behavior characteristics in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infant behavior characteristics was found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3. In Step-Wise Analysis, the mother's confidence to her infan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infant's higher persistence, compliance and lower avoidance. Moreover, the mother' emotional support has an effect on infant's higher enthusiasm, affection toward mother about Problem Solving situation and lower reliance. Lastly, mother's respecting autonomy to her infant has influence on infant's positive experience about Problem Solving situation. Consequently,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during Problem Solving situation, only when attachment security combine with mother behavior characteristics it has weighty influence on infant behavior characteristics. Confidence, emotional support, autonomy factors among mother behavior characteristics have strong power to effect on infant behavior characteristics. Therefore, such these factors have the prediction to induce infant's desirable accomplish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