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and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itle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and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uthors
서춘평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주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국과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대해 듣기와 말하기 활동 중심으로 비교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이들 교과서들이 국가 영어 교육과정을 얼마나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이들 교과서에서 듣기와 말하기 활동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김 은주(2001)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중국과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들에서 듣기와 말하기 활동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과 한국의 교과서를 비교할 때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주로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JEFC(중국)에서 총 522개의 듣기와 608개의 말하기 활동이 있었으며 Doosan(한국)에서는 194개의 듣기와 329개의 말하기 활동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중학 영어 교과서에서의 듣기 부분과 한국 중학 영어 교과서에서의 말하기 부분은 국가 영어 교육과정의 요구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없었다. 중국의 경우 비록 듣기 활동이 수적으로 매우 많지만 진정으로 교육과정의 요구에 부합되는 활동은 비교적 적었다. 한국의 경우 "듣고 말하기" 활동이 너무 적어 교육과정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중국의 교육과정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말하기에 초점을 둘 것을 요구하지만 실제 교과서에서는 들은 내용을 다시 말하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중국의 말하기와 듣기 활동은 한국의 2배에 달하지만 대부분은 주어진 격식에 맞추어진 것으로 창의적인 활동이 매우 적어 한국의 교과서와 대조적이다. 특히 79.4%에 달하는 듣기 활동은 단순하게 들은 내용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어서 학생들의 창의적인 언어 사용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셋째, 중국과 한국의 교과서에서 말하기 활동은 주로 2인 혹은 그룹으로 된 학습이 주를 이루고 있어 듣기 활동과 대조적이다. 중국의 교과서에서 58%에 달하는 듣기 활동은 활동 주체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없었으며 한국의 교과서에서 94%의 듣기 활동은 개인적으로 진행하는 것이었다. 중국과 한국의 교과서는 자유로운 수업 분위기 조성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 활동이 비교적 많았으며 중국의 경우 반응 유형과 자극 유형이 단일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Doosan의 교과서는 JEFC에 비해 교육과정의 요구를 더욱 잘 반영하고 있으며 중국의 교과서 편집자들은 학생들의 창의적인 활동을 격려할 수 있는 내용을 더 많이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중국 영어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영어 교과서의 활동 유형별 선호도에 관련된 연구를 계속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presen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n China and Korea by analyzing the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how well the textbooks, JEFC for China and Doosan for Korea, have met eac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nounced by Chinese and Korean Ministries of Education, and how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are presented in the current textbooks. On the basis of Kim (2001)'s research, this modifies its purpose and focuses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find how well the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are presented in Chinese and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and wha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m. In this study, altogether 522 listening activities and 608 speaking activities in JEFC, and 194 listening activities and 329 speaking activities in Doosan a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listening part of JEFC and the speaking part of Doosan are not very well presenting the requirements i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a. In the neglecting of JEFC's listening activities, due to the large number of simple recitation, only a few activities were found to be relevant to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Doosan's speaking activities, although required in the curriculum, there are not many "speaking after listening" activities, which causes an unbalanced presentation of the curriculum. Secondly, after the frequency analysis, it was found that JEFC textbooks depend more on the audio-lingual method, although it is announced in the curriculum to focus on communication, and Korea's more on the communicative approach. JEFC textbooks have double the number of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ies of Doosan's; however, most of those activities are simple imitation rather than creative language uses. Especially 79.39% of the listening activities are just repeating of what students have listened to. Thirdly, in learning subjects in the speaking activities much stress is laid on pair/group work in both JEFC and Doosan, while more than 58% of the listening activities in JEFC have not given clear instructions about the learning subjects, and more than 94% of the listening activities in Doosan are referred to in individual student work. For the types of activities, most of JEFC's and Doosan's activities are controlled or closed, creating a great limit for students to practice more English freely in the classroom. For the types of response and stimulus, JEFC has a tendency of over simplification. In the end, from the results above, a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Doosan textbooks are more balanced in presentation than JEFC's no matter its relevance to the curriculum or in the actual presentation of the activities. Therefore, for suggestions, Chinese textbook writers should develop more creative activities that can motivate students and make students the center of the classroom. This study calls for further studies that explore various activities students prefer in the English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