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6 Download: 0

인간의 유희적 경험을 통한 Interactive Art 표현연구

Title
인간의 유희적 경험을 통한 Interactive Art 표현연구
Authors
김은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현정
Abstract
현대시대에 있어서 모든 분야의 기술의 발달은 인간에게 생활의 편리함과 안락함, 풍요로움, 여유를 가져다 주었다. 이러한 물질적, 정신적 풍요로움과 삶의 여유속에서 인간은 시간이 지날수록 자연스럽게 새로운 경험, 즉, 체험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게 되었고 특히, 삶의 향상과 정신 건강을 위한 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특히, 인간의 예술에 대한 체험욕구는 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미디어 아트의 등장으로 관객이 직접 작품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해서 영향을 미치거나 예술 작품속에서 관객이 직접적인 참여를 함으로써 인간의 체험욕구를 예술을 통해 어느정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점에서 미디어 아트는 기술매체 발달로 인하여 미디어의 매체적 속성을 예술과 결합한 예술의 한 형태이자 새로운 형식의 미술로써 인간에게 예술을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다 주었다. 모든 예술은 하나의 놀이, 즉 유희이다. 예술과 유희는 인간의 기본적인 정신활동으로 인간의 경험 속에 존재해 왔으며 자신이 경험한 감정을 불러일으켜 표현하는 것이다. 인간은 태어날 떄부터 본능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표현에 대한 욕구는 유희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예술과 유희는 몰두하는 행위속에서 자기만의 세계를 창조하고 질서에 맞추어 행동하며 사물들을 재배치 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러한 예술과 유희의 특징은 특히 미디어 아트속에서 잘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미디어 아트는 특히 기술적인 요소들과 미학적인 요소를 서로 융합하여 관람자에게 예술작품을 관조하는 수동적인 자세에서 탈피하여 예술 창작과정에 보다 친밀하고 상호대화적인 자세를 요구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인터렉티브 아트는 이러한 미디어 아트의 일원으로 관객들에게 참여와 인터렉션을 통해 예술작품과 관객간에 소통을 이루고 관객에게는 정신적이고 행위적인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여 새로운 예술적 경험과 즐거움을 가져다 주는데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현재의 미디어 아트는 관객과 작품과의 원활한 소통을 하게하고 즐거움을 가져다주기 보다는 작가의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의도나 지나친 기술의 부각으로 대중에게는 이해하거나 접하기가 어려워 낯설은 새로운 예술영역으로 여겨져 오면서 현재 미디어 아트의 의미와 목적을 상실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미디어 아트는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인 매체를 이용한 대중에의 파급효과가 큰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써 대부분 여론 조작, 권력에의 봉사 등 대중매체의 부정적인 효과를 이야기하는 입장을 취하며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미디어 아트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사회적이거나 정치적으로 비판적 의도를 지닌 개념의 작품일 경우 관객에게 긍정적인 사고나 즐거움을 가져다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소 작품에 대해 거부감이나 지루함을 느끼게 하여 관객과 의사소통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미디어 아트의 한 형식으로서 인터렉티브 아트를 통해 관객을 미디어 아트에 직접적으로 참여시키고 관객이 주체가 되어 작품을 통해 유희적 경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시대적으로 자기상실, 자기소외의 과정을 겪고 있는 시점에서 현대인들은 자신의 존재 가치에 대해서 불안감과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메말라 가고있는 현대인들의 정신을 회복시키고 유희요소를 예술에 접목하여 경험하게 함으로써 문화적으로 인간의 삶을 다양하게 하고 풍부하게 하며 삶의 활력을 가져다주는데 목적이 있다. 작품제작에 앞서 유희와 경험의 이론적 배경으로, 유희의 개념 및 특성, 역할, 경험의 정의와 해석을 바탕으로 본능적인 유희를 통해 예술 창작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미디어 아트의 설계 및 창작방법에 관해 고찰하였다. "Fluid Portrait"과 "A Picnic under the Blossoms"의 작품은 작품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무의식적 잠재의식에 존재하고 다양한 후천적 경험을 통해 친숙한 유체 이미지와 상징적인 꽃의 이미지를 사용한 인터렉티브 아트이다. 현실에서 직접 경험할 수 없는 방법으로 유체를 경험하는 유희의 과정을 사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실시간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기술 자체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터렉티브 아트에서 관객이 그들의 자아를 작품에 투영시키고 직접참여하여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의미를 나타낸다. 인터렉티브 아트를 통해 관객이 직접적으로 작품 속에 참여하여 인간의 유아기적 유희의 경험을 되새기고 즐거움과 흥미를 느낌으로써 현대인들의 유희본능에 대한 갈증을 해소시키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술적 요소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보편적인 유희적 경험을 통해 예술로의 접근을 쉽게 함으로써 대중에게 가까이 다가가고 이해하기 쉬우며 인간에게 즐거움을 제공해주는 작품을 제작하여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마음의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esents the design process of an artwork to offer a playful experience on an interactive environment that reminds memories of play. Interactive installation is a proper medium to be experienced by participating and interacting with it for the playful experiences. The artwork in this study illustrates how computer technology can inconspicuously stimulate the viewers to play and create things on their own reflections. The authors have been skeptical about the technically-oriented methods in modern media arts that frequently result in a mere feast for the eyes. To put an emphasis on art functions as play, the present artwork subtitled as "Fluid Portrait" and "A Picnic under the Blossoms" were designed and constructed to respond immediately to the viewer's activity such as touching and blowing by using their physical body. Nowadays, we are living in an abundantly provided material world but our mental health has become very weak. Uncertainty toward the future and periodically unstable situations bring people the need for healing of their mental health and play instinct. The citizens keep losing confidence in their identity and rarely discover the true meaning of life. Because of technical developments and change we demand to experience various and new situations. Reactively, the opportunity of being engrossed in oneself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n ever, but it can be attained by simply being oneself when one is playing. A rapid growth of new media and diversified media begin to develop interactive art as a new form of media art. In this study interactive art of new media art defines it as an interactive installation. Experiences of interactive art make people live more comfortably and pleasantly providing a playful environment. In interactive art audiences view or participate in an install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is demanded. This study focuse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xperience by John Dewey and involves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play and interactive installation such as participation, interactivity, activity, self-control and continuity. In addition to a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examples of interactive installations designed for the playful experiences. In this study, art can be seen as a form of play. It can also be said that play is a form of childhood art. When playing, one is fully engrossed and methodical in redefining objects to create one's own world, which is similar to the actions of an artist. Play is an expression of spontaneous activities of creation, and this sort of expression offers a higher level of artistic freedom. This study examined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a digital media art that helps to experience artwork through playful experiences. Our view was that, voluntary play actions was a form of art cre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 intentions of this artwork, we used fluid images for "Fluid Portrait", something that is familiar to us from subconscious experiences in the womb and acquired experiences after birth. In "A Picnic under the Blossoms" flowers were used as a symbolic image. Flowers connected with air sensors are used as an interface device, the audience can play with virtual flowers projected on the wall, blowing and manipulsating flowers. Computer graphics were used to make virtual water drops and flower images so that viewers could have a realistic experience, but not emphasized overly much. Instead, effort was made to express the original intention and general idea of the artwork by encouraging response and interaction through the image of the viewer reflected on the scre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