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사회복지관에서의 수퍼비전 인식에 관한 연구
- Authors
- 이은주
- Issue Date
- 2004
- Department/Major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양옥경
- Abstract
- 수퍼비전은 사회복지사가 속한 기관의 정책과 절차에 따라 질적ㆍ양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198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양적성장과 질적 발전을 이룬 사회복지관은 2000년도 후반부터 자활후견기관이 설립되면서부터 바야흐로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의 특성과 지역주민의 다양한 문제나 욕구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 실천의 장으로 확대되면서 수퍼비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여기서 수퍼비전은 기관의 중간관리자인 수퍼바이저와 실제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의 긍정적인 관계 속에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 상호간의 자기인식을 통한 적절한 수퍼비전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수퍼비전은 사회복지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직접적인 서비스이지만 클라이언트대해서는 간접적인 전문적 서비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사회복지관 수퍼비전 체계확립을 위하여 수퍼바이저인 간부사회복지사와 수퍼바이지인 사회복지사간의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사회복지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퍼비전의 만족도 등을 파악하여 사회복지관의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수퍼비전 확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Middleman&Rhoders의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에 대한 구조를 토대로 Kadushin의 수퍼비전 3대 기능인 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수퍼비전 내용을 질문지로 재구성하여 서울에 위치한 가형종합사회복지관 36개 사회복지관의 일반사회복지사와 간부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 현황, 사회복지관에서는 진행되는 수퍼비전의 실제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인식정도,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 및 문제점, 조사대상의 일반적 사항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 328부 중 244부가 회수되어 76%가 회수율을 보였으며 이중 조사가 불충분하거나 작성자가 사회복지사가 아닌 질문지 8부를 제외한 236부(사회복지사 175부, 수퍼바이저 61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10.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백분율(percentage), t검증(t-test), 상관관계분석(Pearson's 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조사기관의 대부분이 공식ㆍ비공식 형태의 수퍼비전을 실시하고 있었다. 수퍼비전을 진행하는 기관의 경우 매일 실시하거나 주 1회 이상 진행하는 횟수가 가장 보편적이었다. 수퍼비전의 형태는 수퍼바이저에 의한 개별수퍼비전이 주를 이루었고 서면이나 기록보다 구두로 진행하는 수퍼비전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었다. 기관에서 진행되는 수퍼비전의 장애요인으로는 사회복지사나 수퍼바이저의 업무과다로 인한 시간부족이 가장 큰 요인으로 밝혀졌다.
수퍼비전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간의 인식차이는 연결기능에서 수퍼바이저가 수퍼바이지보다 더 긍정적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 양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서비스 전달기능의 하위 기능 가운데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 모두는 업무수행에 대해 구두 또는 서면 피드백제공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전문적 요건에 어긋나는 기관정책에 대해 도전하는 기능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수퍼바이저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통합기능에서 수퍼바이저가 수퍼바이지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수퍼바이지의 통합기능에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퍼비전에 대한 인식은 수퍼바이지(일반 사회복지사), 수퍼바이저(간부 사회복지사)간의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수퍼바이저인 간부 사회복지사가 자신들의 수퍼바이지보다 수퍼비전 기능에 대한 인식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해 현재 주고(받고)있는 수퍼비전에 대해 수퍼바이지가 수퍼바이저보다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족하지 못한 경우도 20%정도 보여 수퍼비전의 만족도가 높은 편은 아니었다.
이러한 수퍼비전을 실시함으로써 수퍼바이지, 수퍼바이저 양집단은 업무의 효율성을 도모하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그러나 수퍼바이지의 경우 수퍼비전을 통해 만족감을 느낀 적이 없다고 말해 수퍼바이지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 모두 수퍼비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퍼비전이 필요한 이유로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 향상을 가장 중요한 점으로 응답하였다.
수퍼비전에 임하는 태도로 수퍼바이저가 수퍼바이지보다 더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현재 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퍼비전의 장애요인을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는 각자의 업무과중으로 인한 시간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제시하였다.
;Supervision has its ultimate purpose in offering the best service to clients with quality and quantity according to the policy and process of an organization Social welfare center bringing rapid growth in quantity since the wild 1980's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supervision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social worker expanding itself to the ground of practicing social welfare service.
It is important that supervision determines a proper goal through self-recognition. Of supervisor and supervisee who are a middle manager and a practicer at the front respectively, and with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the two. Proper supervision accomplishes professional and efficient work through improving the quality of social worker, and offers the best service to clients.
Accordingly,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for establishing the effective and specialized supervision system of social welfare center by indentifying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supervisor social worker and supervisee social worker on supervision practice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and effective supervision system in social welfare center.
For that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function and role of supervision (kadushin's the administrative educational, and supportive supervision,) based on the linkage, service-delivery, integrative functions which are Middleman and Rhodes three functions of supervision by restructuring it into a questionnaire with the subject of social workers and the staff social workers in the 36 social welfare center located in Seoul.
The contents of the survey are ① the present situ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supervision ②the practicing degree of linkage, service-delivery, integrative functions in social welfare center ③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f social workers and the staff social workers on the practicing degree of linkage, service-delivery, integrative functions. ④ the satisfaction about the supervision.
Collected materials are 244 copies returned from the total 328 copies - 76% collection rate, an 236 copies of them excluding insufficient questionnaires( social workers 175, staff social workers 61)are analyzed in analyzing materials frequency, percentage and t-test using SPSS/PC 10.0 are used.
The paper set up the two groups of social workers and the staff social workers have different recognition on the practicing degree of linkage, service-delivery, integrative function of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the half of all the institutions surveyed practice regular supervision, mostly once a week. Besides regular supervision, supervision is being done in times of reporting or approval, and individual supervision by supervisor and group supervision are the main ways. The reason of insufficient turned out to be the lack of time because of overwork.
Second, the difference of social worker's and the staff social worker's recognition on the degree of linkage, service-delivery, integrative function of supervision shows higher average distribution in the staff social workers than that in social workers, which means the staff social workers have more positive recognition, and the two groups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recognition on the practicing degree of linkage, service-delivery, integrative supervision.
Accordingly, social workers and the staff social workers have different recognition on supervision. The staff social workers have more positive recognition on the practicing degree of supervision in social welfare center than social workers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