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0 Download: 0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Title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Authors
김지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형
Abstract
범죄가 일반인들 사이에는 흔치 않은 경험인 것에 비해 '범죄에 대한 두려움(fear of crime)'은 일반인들 사이에 널리 확산되어 있으며, 그것이 야기하는 부정적인 사회적 결과 때문에 학문적·정책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대한 실태조사와 연구들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수준과 그에 대한 반응을 결정하는데 있어 가장 강력하고 일관된 변인은 '여성(female gender)'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공식통계에서 전체범죄피해율을 살펴보면, 여성은 범죄피해위험이 가장 낮은 집단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여성은 공식통계상으로 볼 때 객관적인 범죄피해위험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범죄에 대해 두려워하는가?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있어 본 논문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해석과 의미의 문제를 포함하는 매우 복잡한 사회심리적인 현상이라는 인식하에 여성 자신의 목소리를 통해서 여성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어떤 방식으로 느끼고 경험하며, 그것이 갖는 구체적인 의미가 무엇인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양적 연구방법과 함께 질적 연구방법(포커스 그룹 인터뷰)을 사용하였다. 또한 여성의 사회적인 위치와 일상적인 경험은 남성과는 다르다는 성인지적 관점에서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주제를 다루기 위해서 가부장제 사회구조를 여성에 대한 남성폭력이 발생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구성되는 중요한 사회적 맥락으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형성하는데 있어 여성에 대한 남성의 일상적인 권력남용의 한 형태인 '성적괴롭힘 피해경험'과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재생산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제인 '성차별적인 사회화', 그리고 '전통적 성역할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주요하게 다루었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본 논문의 기본적인 가정은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여성의 불평등한 사회적 지위로부터 야기되며,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그에 대한 반응방식은 여성에 대한 사회통제기제로서 작동함으로써 여성의 불평등한 사회적 지위를 강화시킨다는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서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서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특징짓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핵심은 남성폭력에 대한 두려움 특히, 낯선 남성에 의한 성폭력에 대한 두려움이다. 여기서 여성의 성폭력에 대한 두려움은 강간과 같은 물리력이 가해진 성폭력에 대한 두려움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성적괴롭힘에 대한 두려움(특히, 낯선 사람에 의한 성적괴롭힘)도 여성의 폭력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중요한 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에게 있어 '위험', '안전' 혹은 '두려움'이라는 단어는 신체적인 해나 폭력보다는 성적인 침해나 성폭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성폭력에 대한 두려움은 여성존재의 핵심적인 부분이며 일상생활의 전반적인 상황에 걸쳐 지속적으로 경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에 대한 폭력범죄가 대부분 아는 사람들에 의해서 그들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공간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여성에게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공공장소에서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식은 여성이 피해를 피하기 위해서 안전한 장소라고 생각하는 집에 머무르거나 알고 있는 남성으로부터 보호를 받는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만들며, 이로 인하여 여성은 공공장소를 자유롭게 사용할 권리와 공적 영역에 참여할 기회를 제한받게 된다. 셋째, 자녀를 둔 기혼여성에게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개인적 두려움보다는 자녀의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한다. 많은 사회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가정 내 성역할 이데올로기가 건재하고 있어 어머니들은 자녀의 안전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어머니에게 주어져있고,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을 때 자기 자신에 대한 비난이나 타인으로부터의 비난을 두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기혼여성의 경우 자녀를 범죄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자신의 삶을 희생해가면서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혹은 신체적 안전에 대한 관심은 그들이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일상적인 전략들을 통해서도 드러났다. 여성은 그들의 실제적인 피해경험, 주된 생활영역, 연령, 동원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자원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범죄피해 및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대처하기 위해서 매우 다양한 전략들을 복합적으로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매우 관례화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대처전략을 보면, 여성은 적극적으로 주위환경을 변화시키기보다는 자신의 생활패턴과 활동을 구속하고 제한하는 방식으로 자기 자신을 변화시킴으로써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극단적인 형태의 회피행동(예 : 밤 시간에 외출을 자제하거나 어떤 활동을 그만두는 것 등)을 하기보다는 항상 주위를 경계하고 감시함으로써 특정 공간과 영역을 제한된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주도면밀한 자경(self-policing)의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묘한 행동적 적응방식은 여성으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심리적인 경계상태에 머무르도록 함으로써 여성의 심리적인 복지감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또한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과 그에 대한 반응방식은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여성의 삶에 대한 통제기제로서 작동한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여성이 공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남성이 공공영역 및 공공장소를 계속적으로 지배하도록 보장해준다. 둘째, 보호해줄 남성을 필요로 하게 만듦으로써 여성이 독립적인 존재로서 삶을 영위하지 못하게 만들고, 남성지배에 근거한 사회체계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셋째, 여성성과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전통적인 관념들을 강화함으로써 여성 스스로가 자신들의 삶을 제한, 통제하도록 만든다. 위에서 제시한 여성적 두려움의 특성과 여성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반응하는 방식은 여성이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실제적인 피해경험, 성차별적인 사회화경험, 타인의 피해경험 및 매스 미디어를 통해서 얻게 된 남성폭력에 대한 정보와 지식 그리고 이에 근거한 남성폭력피해위험에 대한 기대와 예측, 범죄, 피해, 피해자에 대한 지배적인 사회적 통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성적괴롭힘 피해경험, 성차별적인 사회화경험, 전통적 성역할 이데올로기는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형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첫째, 거리나 대중교통시설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여성이 느끼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그러한 장소에서 과거에 경험한 낯선 남성에 의한 성적괴롭힘 피해경험으로부터 야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괴롭힘 피해경험은 성폭력에 비해 사소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그러한 행동들이 갖는 성적인 특성 때문에 여성으로 하여금 성적으로 취약하다는 인식과 더 심각한 성폭력범죄로 이어질 것이라는 두려움을 불러일으키고, 그러한 행동들이 일어날 것으로 인식되는 상황과 장소에 있을 때 두려워하도록 만든다. 성적괴롭힘 피해경험이 있는 여성의 경우 다른 사람의 피해경험에 대한 정보와 위험한 것으로 인지되는 물리적·사회적 환경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결과는 이러한 사실들을 잘 보여준다. 둘째,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내용인 성폭력범죄에 대한 두려움, 공공장소에서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 자녀의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등에는 여성에게 부여된 적절한 성역할에 대한 통념과 범죄, 피해, 피해자에 관련된 우리사회의 지배적인 통념들이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지배적인 통념들은 여성이 그들의 객관적인 피해위험과 동떨어진 방식으로 범죄에 대해 두려워하게 만들고, 특정 공간, 특정 대상, 특정 유형의 피해에 대해 더 두려워하도록 만든다. 특히, 이러한 통념들이 강하게 스며들어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증폭시키는 것은 성폭력범죄였다. 여성은 피해자에 대한 비난과 같은 성폭력피해로부터 회복을 어렵게 만드는 문화적으로 정형화된 이데올로기적 요소들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성폭력범죄를 가장 두려운 범죄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측면에서 여성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자기 자신과 타인으로부터의 비난에 대한 두려움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두려움에 대한 학습이 여성의 사회화의 직접적인 내용을 구성하고 있으며, 두려움이 학습되는 내용과 방식이 남녀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과 남성은 어린시절부터 피해위험과 그들과의 관련성, 피해위험의 구체적인 내용, 피해위험에 대응하는 방식 등에 있어 상이한 메시지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들에는 전통적인 성역할 이데올로기들이 반영되어 있다. 여성이 교육받는 두려움에 관련된 사회화의 구체적인 내용은 성폭력의 지속적인 위험은 여자이기 때문에 불가피한 것이고, 위험은 집밖의 공공장소에서 낯선 사람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며, 그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여성 스스로가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부모들은 딸을 위험에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딸의 삶을 규제하고 제한한다. 여성에게 부과하는 제한은 의상, 행동, 라이프스타일, 섹슈얼리티 등의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회화의 내용은 여성이 다른 피해유형에 비해 성과 관련된 피해에 대해 더 취약하며 두렵다고 느끼게 만들며, 그들이 범죄와 피해위험에 대처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의의 및 함의를 갖는다. 첫째, 본 논문은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그들의 불평등한 사회적 지위로부터 야기될 뿐 아니라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여성에 대한 사회통제기제로서 작용함으로써 여성의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기능하기도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는 기존연구들이 범죄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권력구조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사회적 진공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하였던 것과는 달리, 여성과 같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 집단의 사회내의 불평등한 위치와 이를 영속화시키는 사회적 맥락과 제도를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본 논문은 한 사회 내의 지배적인 사회적·문화적 기대와 이를 세대를 통해서 전달하는 사회화과정 또한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형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개인적 피해경험에 대한 직접적인 결과일 뿐 아니라 그 사회의 문화적 코드나 공유된 신념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여성의 성적괴롭힘 피해경험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범죄에 대한 정보와 범죄나 무질서를 나타내는 환경적인 단서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높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서 1) 공공장소에서 낯선 남성에 대한 두려움은 기존논의들이 주장하듯이 성적인 위험에 대한 과장되거나 부정확한 정보에 기인하기보다는 공공장소에서 사회적 관계에 대한 여성의 실제적인 경험들에 근거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2) 기존연구에서 직접적인 피해경험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간의 관계가 모호하게 나타났던 것은 여성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피해의 실재와는 동떨어진 피해경험을 측정하고 그것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의 관계를 살펴본데서 기인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서 연구대상의 피해경험의 특성과 본질에 대한 정확한 이해로부터 출발할 때만이 연구대상이 느끼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피해경험의 역동성내에서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3) 범죄와 범죄피해가 여성에게 미치는 결과 및 효과를 논의할 때 범죄에 대한 객관적인 정의와 심각한 범죄와 심각하지 않는 범죄간의 구분에 근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엇을 범죄 혹은 피해로 생각하는가에 대한 연구대상자들의 주관적인 정의에 기초하여 그것들이 연구대상자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Fear of crime has been one of the major growth areas for both academic research and policy initiatives, because it has negative social consequences beyond a deep-seated sense of personal anxiety. Consistently across all studies female gender has been the best predictor of fear of crime. But when according to published crime figures, they are less likely than men to be victimized. Why women express greater fear of crime than men do, although they are less likely than men to be victimized? This dissertation starts from this question. In exploring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dissertation is different from past conventional studies of fear of crime in two respects. First, unlike many of past studies of fear of crime use survey research methodology (especially, National Victimization Survey), this dissertation us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y. The qualitative methodology uses information from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irty randomly selected women aged 20 and over conducted in Seoul. These complementary qualitative methodology are aimed at gaining access to the way women construct and express their view and image of crime and fear of crime and the way women respond and treat to their perceived risk and fear of crime. Second, most studies ignore wider social structure in which male violence against women or fear of crime takes place. But, recent research has consistently produced evidence that social traits such as gender, age, race, ethnicity affect fear levels.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this is due to structural inequalities in society which affect the relation of such groups to power. Fear is thus seen in these power-based analyses as a consequence of individuals' unequal status. It has also been as having a role in perpetuating those inequalities. Responses to fear of crime by subordinate groups have been held to reproduce the patterns of dominance which produce inequalities. In the contexts of this argument, this dissertation sees female fear of crime not only as having a role in maintaining women's inequality, but as being provoked by the source of inequality itself(patriarchal society) in order to that it does so. Concretely, it considers sexual harassment victimization in public places, female socialization encouraged passitivity and discouraged risk-taking, and stereotypical gender role ideology about crime, victimization, and female victim as major variables in explaining the female fear of crime in the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The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past studies on female fear of crime have focused predominantly on fear of rape. However, this study shows how sexual harassment victimization considered by many to be less serious such as offensive comments or touches in the street, at work, and in school cause intimidation and fear of crime. These incidents also make women feel powerless and vulnerable, treated as objects. Many women live in a continuous state of apprehension, unable to be sure whether or not one of these small incidents in the street or at home may escalate into a more threatening situation. Second, warning about sexual molestation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socialization of girls. Warnings vary from vague insinuation to open comments on the dangers of rape and sexual molestation. The concrete contents of female socialization include that the constant threat of sexual violence is inevitable, part of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women can only protect themselves against rather than challenge. Thus female socialization may increase the perceived seriousness of sexual violence, leading to a heightened sense of weakness and vulnerability and provoking considerable fear of sexual violence even at lower levels of objective risk. Also this leads to the imposition of a code of unspoken rules about dress, behavior, lifestyle, sexuality, and female loyalty and passivity in relationships. Third, women's fear of crime can be, at least in part, explained by dominant images that reflect structural gender division and present women as comparatively vulnerable, weak, powerless, and passive and men as forceful, strong, powerful, and active. And women's fear of crime are strongly influenced by dominant ideologies regarding crime, criminal, and victims with in a social context and social institutions that permanently reproduce relations of dominance and subordination. Women are frequently portrayed as physically and socially vulnerable in relation to crime risk and as easy targets of crime and male violence. The way to women respond to fear of sexual violence demonstrates that it is seen as a public sphere problem and women take social and lifestyle precautions which are most costly in terms of personal freedom. Everyday reality of many women is that women live under a self-imposed curfew, feeling that it is dangerous to walk the streets of our cities after dark or to exercise our right to use public space. The way to women respond to fear of sexual violence also demonstrates that the fear of crime and specially the fear of male violence not only perpetuates the image that women are powerless, weak, and more vulnerable than men but also feeds into the notion that women and men are not entitled to the same righ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