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0 Download: 0

간병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관한 연구

Title
간병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관한 연구
Authors
정명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The increasing siz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as well as the increasing inability for family members to administer proper care is made worse by a low supply of sick nurses and attendants in hospitals for the elderly. This study analyzes th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work satisfaction levels of caretakers at geriatric hospitals. After gathering data about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work satisfaction levels of caretakers at geriatric hospitals, this study: 1) analyzes the level of those attitudes and job satisfaction, 2) explores the affects of those attitudes on job satisfaction, and 3) understanding that relationship, proposes a preliminary outline that attempts to increase employe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200 surveys were distributed to nurses at six geriatric hospitals in the Seoul and Kyunggi districts between October 20, 2003 and November 11, 2003. Of the 192 surveys returned, 17 were discarded due to dishonest responses. Thus a total of 175 survey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General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experiential accounts of the elderly are abridged. First, when measured on seven-point scale (a higher number indicates greater satisfaction), the survey results average 4.23 points (generally between 3.5 and 4.5 points), indicating a slightly positiv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ore positive compared to national surveys. In general,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with the elderly with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mportant variables include education level, religion, training completion of nurses, and work experience. There w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volving experiences with the elderly, such as the nature of sharing the same living space and the relationship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 results of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became more negative with the increase in education level and certification. Attitudes about the elderly grew more positive from those of religious backgrounds, including Buddhism, Christianity, Catholicism, etc. In general, negative results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nurse's work experience.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re. Second, the overall average job satisfaction of those surveyed is 3.75 points on a 5-point scale. The two subcategories include 1) satisfaction with the job itself, averaging a high of 3.90 points, and 2) motivation to change or quit occupations, averaging 3.34 points.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experiences with patients,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variables including career motivation account for the differences between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the work itself. There is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with patients and job satisfaction. Subjectively, 1) the better the caretakers' health, 2) the higher the humanitarian reason to undertake such work, and 3) the longer the caretakers' work experience, the higher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in both subcategories of satisfaction with the work itself and the motivation to change or quit jobs. Additionally, overall and rank-specific job satisfaction increases with the strength of caretaker-patient relationships.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overall work satisfaction. That is, a better attitude regarding the elderly results in higher job satisfaction. Fourth,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s regarding the elderly, the higher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f the subcategory changing or quitting occupations. Common control variables include the health of the caretaker and caretaker- patient relationships when analyzing work satisfaction. Following are additional results regarding social welfare practice. First, education programs meant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the aging process as well as caretaker-patient relationships for prospective nurses and caretakers should be supplemented by the development of direct hands-on programs. Second, ample supervision should be allotted for caretakers to give and take feedback of work stresses and experiences with elderly patients to increase awareness as well as to ease work stress. The results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an increase of overall work satisfaction. Third, the current poor work atmosphere and need for better treatment of employees needs to be addressed. Fourth, there is the need for the recognition of the improvement of caretakers duties and roles. This is not exclusive to medical institutions and settings but should extend to all of society. This improvement would certainly lead to a strengthening of the caretakers mission as well as higher work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nurses workload can be relieved through the help of family members and guardians by aiding in the enhancement of the health of patients by directly helping at medical institutions or in volunteering efforts. The resulting atmosphere will be one of a collective appreciation for health caretakers and a definite increase in the work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nurses and caretakers for the elderly.;노인인구의 증가와 만성퇴행성 질환의 증가로 간병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하는데 반해 가족에 의한 노인간병과 보호의 기능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앞으로 간병인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서 건강상의 문제를 지닌 노인환자를 가족들을 대신해 보수를 받고 돌봐주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간병인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 수준을 알아보고, 실제로 노인의 태도가 업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의 관계규명을 통해 앞으로 노인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 및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 전환을 통해 업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ㆍ경지지역에 소재한 노인전문병원 중 설문조사에 응해준 6개의 노인전문병원 간병인 200명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 20일부터 11월 1l일까지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총 회수된 설문지는 200부 가운데 192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17부를 제외한 175부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일반적 특성, 근무환경적 특성, 노인관련 경험에 대한 기술분석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전반적인 노인에 대한 태도는 7점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냄)를 기준으로 할 때, 평균 4.23점으로 나타나 중립적인 범위(3.5∼4.5점)에서 약간 긍정적인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국내에서 진행된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간병인들이 타 연구조사대상자들보다 노인에 대해 다소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반적 특성, 노인관련경험과 노인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일반적 특성 변수 중에서는 학력수준, 종교, 간병관련 교육수료증 유무, 총 간병경력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노인관련경험 변수 중에서는 노인과의 동거경험의 질, 환자와의 관계의 질이 노인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학력수준이 높아질수록, 간병관련 수료증이 있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종교에 있어서는 불교, 기독교, 천주교, 기타 순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총 간병경력이 길어질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노인과의 동거경험의 질과 환자와의 관계의 질이 좋아질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전체 업무만족의 평균(5점 만점)은 3.75점으로 보통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 업무만족에 있어서는 업무자체는 3.90점, 이직의사는 3.34점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근무환경적 특성, 노인관련경험과 업무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일반적 특성 변수 중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간병일을 하게 된 동기에 따른 전체 업무만족과 하위영역 업무만족인 업무자체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환경적 특성에 있어서는 근무일수에 따른 전체업무만족과 하위영역 업무만족인 업무자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관련 경험 가운데 환자와의 관계의 질은 전체 업무만족과 하위영역 업무만족인 업무자체, 이직의사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보람있는 생활을 하기 위해 간병일을 하게 되었다는 동기를 가진 경우, 근무일수가 많을수록, 전체 업무만족과 하위영역 업무만족인 업무자체에 대한 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노인환자와의 관계의 질이 좋을수록 전체업무만족 및 하위영역 업무만족 모두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 업무만족 및 하위영역 업무만족인 업무자체, 이직의사 모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전체 업무만족 및 하위영역 업무만족(업무자체, 이직의사)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에 대한 태도가 업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체 업무만족과 하위영역 업무만족인 이직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변수들 가운데 주관적 건강상태와 환자와의 관계의 질이 모든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병인들이 노인 및 노화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토대로 노인에 대한 태도와 관계의 질을 개선시켜주기 위해서는 교육 프로그램 강화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간병인들에게 충분한 슈퍼비전을 제공하여 간병활동을 하면서 받게 되는 스트레스나 애로사항을 서로 공유하며 피드백을 주고받음으로써 스트레스 해소 및 노인환자와의 관계개선을 위한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는 시간을 가져야 하겠으며, 이는 결국 업무만족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현재 간병인들의 열악한 근무환경 및 처우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간병인의 역할에 대한 올바른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이것은 노인전문병원세팅의 의료진들뿐만 아니라 사회전체에 대한 간병인의 역할에 대한 인식개선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곧 간병인의 일에 대한 사명감과 업무만족에도 직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간병인은 가족이나 보호자를 대신하여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직접 돌보고 간호하면서 보건ㆍ의료활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간병인력의 한 사람으로서 인식하고 존중해주는 사회적 분위기가 함께 뒤따를 때에 간병인의 업무만족은 극대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