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충래-
dc.contributor.author김정희-
dc.creator김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6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0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654-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비행의 관계 및 비행화 과정에서 자기통제력과 분노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 비행에 대한 개입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에 인접한 소년분류심사원의 입원생 전체 194명 가운데 설문조사가 가능한 남자 165명, 여자 21명 총 18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지 2부를 제외한 18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 청소년 184명 가운데 지난 1년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이 167명(90.7%)으로 청소년 대부분이 학대를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학대 유형 가운데 방임이 145명으로 가장 많이 경험하였고 학대 경험자 167명 중 139명이 중복학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분노 수준은 가끔 느끼고 있는 정도로 나타났다. 피학대 청소년이 지난 1년 동안 행한 비행행위를 살펴본 결과 전원이 범죄를 포함한 비행행위를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물비행을 제외한 폭력, 재산, 성, 지위비행에서 비행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지위비행을 가장 많이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피학대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대, 자기통제력, 분노, 비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손가정 청소년이 친부모 가정 청소년보다 학대를 좀더 경험하고 있었고 특히 신체, 정서학대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 분노, 전체비행, 재산, 성, 지위비행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이 높은 청소년 집단이 낮은 청소년 집단보다 분노, 전체비행, 재산, 성, 지위비행 수준이 높았다.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자기통제력, 분노, 비행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은 자기통제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고 비행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기통제력은 비행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은 분노, 비행과 각각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고 분노는 비행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학대의 하위요인인 신체, 정서 학대 및 방임과 자기통제력, 분노, 비행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대 유형간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대 유형 가운데 신체, 정서학대는 자기통제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방임이 자기통제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체, 정서학대 및 방임은 분노와 각각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신체, 정서학대 및 방임은 비행과 각각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비행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분노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통제력과 분노는 각각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나 비행에 대한 피학대 경험의 영향력을 감소시키는데 그쳤으므로 자기통제력과 분노는 피학대 경험과 비행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아동학대와 비행의 관계 연구에서 그 동안 아동기 피학대 경험에 초점을 두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을 중심으로 비행과의 관계를 연구하여 청소년기의 피학대 경험이 청소년 비행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변인이 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비행의 관계 연구에서 매개변인에 대한 연구가 그 동안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매개요인들 가운데 자기통제력과 분노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 비행에 대한 임상적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효과적인 청소년 비행 대책은 사후에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예방하는 대책일 것이다.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이 비행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청소년 비행 예방을 위해서는 피학대 청소년에 대한 조기 발견 및 개입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피학대 청소년에 대한 실태 파악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경우 신체적 학대보다는 방임이나 정서 학대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고 방임이나 정서 학대는 신체학대보다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여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피학대 청소년에 대한 조기 개입이 필요하겠다. 상담을 통하여 청소년에 대한 개별적 치료를 할 뿐 아니라 교육을 통하여 학대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이와 함께 피학대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교육과 상담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피학대 청소년의 결손여부나 연령에 따라 학대, 분노, 비행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이를 고려한 다양한 개별적 개입을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비행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분노가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피학대 경험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통제력을 높이고 분노를 낮추는 집단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비행 예방 및 비행청소년 교정에 있어서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된다. 여섯째, 비행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정기관에서 청소년의 재비행을 막기 위해 청소년의 환경조사시 학대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따른 개별 처우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심한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의 경우 사회복귀시 부모의 학대에 또다시 노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지역사회 내 아동학대 관련 기관과 연계하여 청소년과 그 가족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교육 및 상담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The link between adolescent maltreatment and delinquency has been established with some certainty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But what accounts for this link?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maltreatment and delinquency. Also, this intends to examine whether self control and anger mediate adolescent maltreatment - delinquency relationship. For this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given to 186 youths at juvenile classification & examination office. This study used data of 184 youths for final 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167 out of 184 youths at juvenile classification & examination office experienced in adolescent maltreatment. The frequency of maltreatment types is high neglect, emotional abuse, and physical abuse in order. Most of all, adolescent maltreatment types are concurrent. 2. Consider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167 youths, adolescent maltreatment i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family construct. In addition, anger and juvenile delinquency a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adolescent age. 3.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adolescent maltreatment is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 control and is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linquency. Also self control is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linquency. In addition, adolescent maltreatment is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ger and delinquency. And anger is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linquency. 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pport is found for the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self control and anger between adolescent maltreatment and delinquency. In sum thoug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research to sample and methodology, it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practice. First, this study can bring out some attention to adolescent maltreatment. Second, this study can verify whether self control and anger mediate between adolescent maltreatment and delinquency. Third, this study shows that comprehens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to diminish the negative impact of exposure to maltreatment should be developed. Fourth, delinquent and criminal youths that experienced maltreatment by parents or fosterer need to participate in program elevating self control or managing anger. Fifth, correction social workers must survey the history of the adolescent maltreatment to prevent recurrence of juvenile delinquency. Also they have to intervene delinquent and criminal youths that experienced maltreatment based on the view of family. Practicing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parents contributes to reducing adolescent maltreatment and delinquency. In addition, youths who are out of the juvenile correction institutes must be connected with specialists in community to prevent another maltreat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한계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학대 및 비행의 개념 = 6 1. 학대의 개념 = 6 2. 비행의 개념 = 11 B. 학대와 비행의 관계 연구 = 12 C. 학대와 자기통제력, 분노, 비행의 관계 연구 = 15 1. 학대와 자기통제력, 비행의 관계 = 15 2. 학대와 분노, 비행의 관계 = 17 D. 연구질문 및 연구모형 = 19 1. 연구질문 = 19 2. 연구 모형 = 19 Ⅲ. 연구방법 = 21 A. 자료수집방법 = 21 1.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21 2. 자료수집절차 = 21 B. 조사도구 = 22 1. 청소년기 학대 = 22 2. 자기통제력 및 분노 = 23 가. 자기통제력 = 23 나. 분노 = 24 3. 청소년 비행 = 24 C. 분석방법 = 25 Ⅳ. 연구결과 = 26 A. 연구대상 및 피학대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6 B.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자기통제력, 분노, 비행의 실태 = 28 1.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 실태 = 28 2.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분노 수준 = 30 3. 청소년의 비행 실태 = 30 C. 피학대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대, 자기통제력, 분노, 비행의 차이 = 31 1. 결손여부에 따른 차이 = 32 2. 연령에 따른 차이 = 33 D.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자기통제력, 분노, 비행의 관계 분석 = 34 E.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비행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분노의 매개효과 = 35 1.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검증 = 36 2. 분노의 매개효과 검증 = 37 Ⅴ. 결론 및 제언 = 40 A. 연구결과 = 40 1. 연구대상 및 피학대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40 2.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자기통제력, 분노, 비행의 상태 = 41 3. 피학대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대, 자기통제력, 분노, 비행의 차이 = 42 4.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자기통제력, 분노, 비행의 관계 분석 = 43 5.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비행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분노의 매개효과 = 44 B. 사회복지적 함의 = 45 C.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 46 참고문헌 = 48 부록 = 53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74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비행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기통제력과 분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