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父母의 對人觀 및 子女觀이 子女養育行動에 미치는 影響

Title
父母의 對人觀 및 子女觀이 子女養育行動에 미치는 影響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rent's Human Relation and Attitude toward Value of Children on Types of Childrearing
Authors
李永愛
Issue Date
197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부모대인관자녀관자녀양육행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Degree
Master
Advisors
金在恩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심리학에서 연구된 價値觀, 인구문제에서 취급되고 있는 子女觀 및 아동심리학에저 다루고 있는 子女養育行動의 세 영역을 통합시켜 父母-子女間의 關係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基本前提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父母라는 變因이 複合要因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를 자세히 세분해서 규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었다. 여기서 본 연구는 부모의 대인관→부모의 자녀관→부모의 양육행동에 이르는 계열을 假定하고 그 相互關係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細分된 硏究問題는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대인관은 자녀양육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2) 부모의 자녀관은 자녀양육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3) 부모의 대인관 및 자녀관은 복합적으로 자녀양육행동을 어떻게 결정짓는가? 4) 부모의 대인관, 자녀관, 자녀양육행동은 부모의 성별 및 사회계층별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미 대인관 질문서, 자녀관 질문서 및 자녀양육행동 질문서를 사용하여 응답자의 반응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행동과학연구소에서 현재 수행중인 子女觀에 대한 6개국 공동연구의 副次的 硏究로 수행되었다. 표집은 意圖的 標集이었고 對象者는 부인의 경우 만 20~34세, 남편은 만 20~44세 사이의 夫婦로 社會階屑別로 도시중류 60부부, 도시하류 67부부, 시골 63부부를 面接調査 하였다. 면접에 소요된 時間은 약 1시간~1시간 30분 이었고 연구소에서 2日間 訓練받은 男ㆍ女 面接者가 1個組가 되어 대상자를 면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父母의 對人觀과 子女에 대한 價値觀은 각기 子女養育行動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2) 부모의 特定 對人觀과 特定 子女觀은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으며 이 두가지는 特定 子女養育行動과도 상관관계를 가진다. 3) 부모의 社會階層 및 性別에 따라 자녀관, 대인관 및 자녀양육 행동에 有意한 差異가 있었다. 4) 子女의 利點 및 不利點에 대한 응답자의 자유반응을 분석한 결과 역시 자녀관의 분석결과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취급되지 못한 制限點을 子女變因을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 자녀양육행동에 관한 질문서를 개선하지 못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意義는 다른분야, 특히 人口問題와 관련된 자녀의 가치 문제에서 發展된 模型을 父母-子女間의 관계에 適用시켜서 다른 변인과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려고 했다는 점과 子女에 대한 價値觀의 構造와 그 力動性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고 보겠다.;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from the integration of three separate studies which are value orientation in social psychology, value of children in demography and childrearing in child psychology. It has been discussed that parent variables in PCR which are very complicated should be specified. It is assumed that there might be a certain relationship among value orientation of parent, value of children and tpyes of childrearing. Based upon such assumption,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handled : 1) What effects does parent's human relation affect on types of childrearing? 2) What relationship does value of children have to childrearing? 3) What effects do the compound elements of parent's human relation and parent's attitude toward value of children affect on childrearing? 4)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parent's human relation, parent's attitude toward value of children and childrearing by parent's sex and social economic statu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s on value orientation, value of children and childrearing. The respondents were couples whose age are ranged between 20-34 for women and 20-44 for men. The total respondents were stratified into three social economic status groups so that the subtotal sample of each groups were 60 couples in urban middle, 67 couples in urban low and 63 couples in rural area. The coed interviewers visited each household to have an interview of each couple. It took more or less an hour to interview one responde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value orientation(especially human relation) and value of children of parents seem to be the determinants of types of childrearing. 2)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value orientation and specific value of chilren. Though the level of significance poses problems, we could also find that the value of children are somewhat associated with the types of childrearing. 3) It seems that value orientation in human relation, value of children and childrearing of parent are highly dependent on the social economic status and sex of respondents. 4) The results from the content analysis on open-ended question also confirmed the above mentioned findings. This study seems to have some limitations in its attempt and one of them was the exclusion of child variables such as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so on. It is noticed that the quesrionnaire on childrearing also deserves some modification in the near future. This attempt, however, seems to imply that we can, at least, investigate 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through adoption of value of children and value orientation which have developed in other fiel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