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2 Download: 0

레비나스의 윤리사상 연구

Title
레비나스의 윤리사상 연구
Authors
김태순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명수
Abstract
20세기의 두차례의 세계대전, 좌우의 전체주의의 비인간성에서 레비나스는 어떻게 이런 일들이 일어날 수 있는가 라는 물음을 던지게 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문제제기 결과 그는 서구 철학의 존재론적 제국주의에서 그원인을 발견하게 되었다. 레비나스가 볼 때 서양철학의 존재론적 제국주의는 자아의 동일성을 중심으로 타자를 동일자로 환원시켜온 자기도취적인 자아론인 것이다. 따라서 레비나스는 이러한 존재론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서 참된 인간됨이 있음을 말하면서 타자가 처한 절박함, 긴박성속에서 자기 존재의 자리를 벗어나는 ou-topos의 윤리주체를 제시하고 있다. 레비나스의 이러한 문제의식을 따라서 이 논문은 자리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문을 엮어 나갔다. 그것은 자리없이 그저 있는 익명적인 있음으로부터, 주체의 자리잡기, 그리고 다시 자리를 벗어나는 윤리주체로의 이행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우토포스의 윤리주체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존재자로부터 존재를 구별했지만, 그에게 존재는 늘 존재자의 존재였다. 그러나 레비나스는 존재란 존재자와 분리되어서 존재자없이, 주체없이 그저 있는 익명적인 하나의 장임을 밝히면서, 그러한 존재는 하이데거의 無의 불안보다 더 근본적인 두려움, 공포라는 것을 말한다. 익명적 있음(Il y a)은 주체가 없는 것이기 때문에 시작과 끝을 맺을 수 없는, 어떤 부정으로도 무화시킬 수 없는 공포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익명적인 있음은 주체의 자리잡기를 통해서 극복된다. 존재자는 익명적 흐름을 끊고 하나의 기반 위에 스스로를 정립함으로써 존재를 지배한다. 존재자가 현재, 의식, 자리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소유하고, 주체로서 자리잡는 것이다. 그러나 존재자는 존재의 주인이 되지만 그것의 대가로 자기 자신을 벗어날 수 없다. 존재자와 존재의 관계는 자기 동일성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동일성의 구조 속에 있는 자아는 자기에게 연루되어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러한 존재에의 매임은 무기력, 피로, 권태의 현상학적 환원에서 드러난다. 주체는 이렇게 자기 동일성 속에 갇혀 있다는 점에서 홀로있음, 고독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주체는 자기자신에게 매이지만, 세계 안에서는 먹거리를 향유하고, 집을 짓고, 노동함으로써 일상적 삶을 살아간다. 향유는 삶의 에고이즘을 보여준다. 또한 주체는 세계속에서 요소의 무규정성에 맞서 자기 자신의 독립성을 실현하기 위해 집을 짓고 노동한다. 그러나 이런 주체의 경제적 삶은 타인에 대해서 귀를 갖지 않음으로써 자신의 자리를 구축하고, 자신의 존재유지(conatus essendi)에만 힘쓰는 삶으로 나타나게 된다. 향유의 행복속에서 주체는 자기 동일성의 짐을 잠시 잊을 수는 있지만, 자기 자신에게 매인 고독으로부터 결코 탈출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세계 속에서는 진정한 의미에서 타인을 만날 수도 없다. 세계안에서의 타인들은 매개를 통해서만 만나지는 옷을 입은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나는 타인을 만나고 싶지만 언제나 자기 자신으로 회귀함으로써 여전히 홀로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홀로 있는 자아에겐 그 자신을 탈출하여 낯선 곳으로 가고자 하는 형이상학적 욕망이 있다. 자기 자신에게 매인 주체는 자기에게 낯선 타자의 얼굴과의 만남을 통해서 자기 자신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헐벗은 타자의 얼굴은 자아가 자리잡음 가운데 평안히 안주하는 이기적 경제의 삶을 문제삼으며, 주체는 그 속에서 수치심과 상처를 받게 되는 것이다. 주체는 지향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감성의 직접성에서 그러한 타자의 명령으로부터 상처를 받으며, 고통을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상처받을 수 있음 속에서 주체는 비로소 윤리적 주체로 태어난다. 나는 타자에게 노출되어 있음에서, 그의 얼굴의 호소를 거절할 수 없으며, 오직 타자에게 응답할 수 있는 여유를 지닌 고유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나는 타자의 명령에 응답으로 책임을 짐으로써 자기 자신에 매인 고독으로부터 탈출하게 된다. 나는 나에 대해 있기 이전에 타자에 대해 있는, 타자로부터 있는 주체로서 타자에 대한 나의 책임성은 선험보다도 더 근원적인 것이다. 그래서 타자를 책임지는 주체는 그 책임이 나로부터 있지 않은, 절대적인 수동성속에서 타자를 책임지게 된다. 그것을 레비나스는 타자에 대한 볼모가 되는 것으로 말한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그러한 복종 속에서, 타자에게 종이 됨으로써 나는 비로소 참된 내가 된다. 오직 그러한 타자를 대속하기까지 하는 책임속에서만 주체는 자기 자신에 매인 악으로부터 초월하며, 존재와 다르게 될 수 있다. 존재는 자기 자신의 이익, 사심으로 얽혀있는 존재들의 관계로부터 벗어나는, 사심없음(de´s-inter-essement)속에서 고유한 주체가 되는 것이다. 오직 타인을 위한 책임으로 자신을 자리에서 끌어내리는것 속에서 당신앞에 응답하는 me로서만 나의 나됨이 있는 것이다. 타자에 대한 책임을 통해서만 나는 내 자리를 벗어나며 초월하게 된다. ou-topos자리를 벗어난 윤리주체의 의미는 거기에 있는 것이며, 나의 고유한 정체성이란 그런 것이다. 타인에 대한 책임에서 자리를 벗어나는 윤리적 주체가 됨으로써 초월이 발생한다는 것은 신학적으로 많은 영감을 부여한다. 나의 나됨은 하나님앞에서 나의 자리를 뜨는데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나님은 헐벗은 타자의 얼굴을 통해서 우리에게 말을 걸어오며, 그리고 그에 대한 응답, 타자를 책임지는 응답속에서 하나님은 증언된다는 점에서 레비나스의 사상은 기독교윤리의 예언자적 사명을 환기시키고 있다. ; In the 20th century, such as the violence of The World War, Fascism and Nazism, Levinas raised a question that what could be happen. As a result, he found that theses scandal come to ontological imperialism of Western thought. Western philosophy has most often been an ontology: a reduction of the Other to the Same by interposition of a middle and neutral term that ensures the comprehension of being. The ontological imperialism of Western philosophy manifests itself in different forms, but the hidden purpose is always to find a means of offsetting the shock of alterity. And also ontology is topology. That is, ontology found on the site. The site denotes 'my place in the sun' and the Da of Dasein, Heidegger's term for man insofar as he asks the question of the meaning of the Being of beings. Therefore Levinas projects to depart from the ontology, ontological site. Levinas describes a development which leads from the anonymity of the il y a to the hypostasis of consciousness and finally to the subject's encounter with something utterly alien and unable to be assimilated. Whereas Heidegger had insisted that Being is always the Being of beings, Levinas sought access to Being independent of beings. For Levinas, the relation of beings to Being not as something given, but as an accomplishment. So Levinas wanted to show that there is existence without existents, what he called the il y a (there is). The il y a names an anonymous, impersonal existing(exister: the verbal form is important here) before the constitution of the individuated human subject. It is presence within absence, the sound you here when everything is silent, Being without beings, the fullness of what is empty. One knows it from the vigilance of insomnia. But at this stage there is no consciousness to experience this paradoxical state of existence. Because the consciousness emerges from the anonymity of the il y a. Consciousness, position, the present, the "I", are not initially existents. They are events by which the unnameable verb to be turns into substantives. They are hypostasis. It signifies the suspension of the anonymous Il y a, the apparition of a private domain, of a noun. Through taking position in the anonymous there is a subject is affirmed. A being, a subject, an existent arises in impersonal Being, through a hypostasis. In positioning itself on a base the subject encumbered with being gathers itself together, stands up and masters all that encumbers it. The relation between existence and an existent consists in the mastery the existent exercises on existence, but also in the weight of existence on the existent. Because it appears the identity of the "I", the relation between the ego(moi) and self(soi). That is, the identity is enchainment to oneself, it is the impossibility of getting rid of oneself. The burden of existing, being in its weight! This fact is revealed by the analysis of fatigue and effor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In this point, a subject is solitude. But to subject, life is sentience, enjoyment and nourishment in a world. It is jouissance and joie de vivre. Life is love of life and love of what life lives from the sensible, material world. Enjoyment appears the egoism of life. In enjoyment I am absolutely for myself. Egoist without reference to the Other, I am alone without solitude, innocently egoist and alone. In other hand, the subject made a site(lieu) and a home(maison) in a world. Dwelling is the very mode of maintaining oneself. "at home" is not a container but a site where I can. And also the maintaining oneself ,identification, the body, the home, labor, possession, economy, is the way of the same. It is the transmutation of the other(autre) into the same. I am at home with myself in the world because it offers itself to or resists possession. What is absolutely other does not only resist possession, but contests it, and accordingly can consecrate it. The Other(autrui) with an alterity that is not assimilated by the same. Desire is desire for the absolutely other. Besides the hunger one satisfies, metaphysics desires the other beyond satisfactions. A desire without satisfaction which, precisely, understands the remoteness, the alterity, and the exteriority of the other. Subject finally escapes from it's being through the facing the Other. Nor is our transcendence a pursuit of non-being and death. Transcendence in us is desire for something else-for alterity. This alterity is not conceived by it and projected by it in advance. It opens from the outside in th face of another, in the other who faces. The face of the Other putting into question of myself- of my spontaneity, of my enjoyment, of my freedom. The first word of the face is the "You should not kill". There is a commandment in the appearance of the face, as if a master spoke to me.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face of the Other is destitute; it is the poor for whom I can do all and to whom I owe all. This charge is a supreme dignity of the unique. And me, whoever I may be, but as a "first person," I am he who finds the resources to respond to the call. The Other looks at me, I am responsible for him, without even having taken on responsibilities in his regard; his responsibility is incumbent on me. For Levinas, the subject arises in the response to the other's call. Because subjectivity is not for-oneself(pour soi); it is initially for-the-other( pour l'autre). Th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is the prior to a priori, to every memory, or beyond essence. Subjectivity goes to the point of substitution for the Other. It assumes the condition of hostage. Subjectivity as such is initially hostage; it answers to the point of expiating for others. It is precisely insofar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and me is not reciprocal that I am subjection to the Other; and I am "subject" essentially in this sense. The ethical relation takes place at the level of sensibility, not at the level of consciousness. Sensibility is the way of my subjection. This is a sentient vulnerability or passivity towards the other that takes place on the surface of skin, at the edge of the nerves. Ethics is lived in the sensibility of an embodied exposure to the other. The saying is my exposure to the other, my inability to resist the other's approach. Th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is the locus in which is situated the null-site or ou-topos of subjectivity. It means 'otherwise than being'. It is I who support the Other and am responsible for him/her. My responsibility is untransferable, no one could replace me. In fact, it is a matter of saying the very identity of the human I starting from responsibility, that is, starting from this position or deposition of the sovereign I in self consciousness, a deposition which is precisely its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I am "me" in the sole measure that I am responsible, a non-interchangeable I. I can substitute myself for everyone, but no one can substitute him/herself for me. Such is my inalienable identity of subject. So for Levinas, subjectivity is not the Ego, but me. That is, my first word is not Descartes's 'ego cogito'(I'm, I think), it is rather 'me voici!'(here I am! or see me here!), is the word with which prophet testifies to the presence of God. When in the presence of the Other, I response "Here I am!", this "Here I am!" is the place through which the Infinite or God enters into language, but without giving itself to be seen. Since it is not thematized, in any case originally, it does not appear. In this point, the subject who says "Here I am!" testifies to the God. The relation to God is presented as a relation to another person. In my relation to the other, I hear the word of God. The face of the Other is the way in which the word of God reverberat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