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A STUDY OF ENGLISH SENTENTIAL COMPLEMENTATION

Title
A STUDY OF ENGLISH SENTENTIAL COMPLEMENTATION
Authors
김향련
Issue Date
197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ENGLISHSETENTIALCOMPLEMENTATION
Publisher
The Gu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Ewha Woman University
Degree
Master
Advisors
이홍배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cess of sentential complementation of English in terms of the generative-transformational theory of languag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 1) to examine the previous transformational treatments of English sentential complementation, raising critical questions as to the validity of the assumptions made in the previous descriptions; 2) to provide the ways of overcoming various shortcomings contained in the past works; 3) to present an integrated analysis in order to develop a descriptively adequate framework for English sentential complementation. In particular, Rosenbaum's analysis of complementation has been critically reviewed to a great extent; the main critical points treated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ordering of the rules concerned 2) a new vers on g It-Replacement 3) Rosenbaum's criteria for distinguishing verb phrase complementation from noun phrase complementation 4) the problem of the head pronoun It 5) embedded questions as complements 6) sources of complementizers 7) the determining factors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certain types of complements The important issue of the present stay, above all, is what determines types of complement sentence within a sentence. I have presented various arguments in order to show that the assumption that types of complements are entirely unpredictable syntactic variations is spurious. I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ypes of complements are determined by semantic elements of main verbs of sentences. To support the cone usior I presented the interrelations between factivity of verbs and gerundiviza Lion of complements, and emotivity of verbs and infinitivization of complements. ;이 논문은 변형 생성 문법의 이론에 의하여 영어의 補文化(sentential complementation) 과정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의 補文化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검토하여 이론에 맞지 않는 것들을 문제점으로 제시하고, 그 해결방법을 모색하며, 이러한 점들을 토대로 하여 영어의 補文化 과정을 가장 적절하게 記述해 내는 방법(framework)을 통합하는데 있다. 특별히 補文化 이론에 관한 Rosenbaum의 분석(1967)이 넓은 영역에 걸쳐 검토되었으며, 이 논문에서 주로 다루어 지고 있는 문제점들은 아래와 같다. 1) 관련된 변형 규칙의 적용순위 2) 새로운 형태의 It대치 변형 규칙 3) Rosenbaum이 설정한 명사구 補文化(noun phrase complementation)와 동사구 補文化(verb phrase complementation)의 구분기준 4) 선행하는 대명사 It의 문제 5) 문장속에 내포된 의문문 6) 補文素(complementizers)의 근원 7) 補文형태(type of complements)를 결정하는 요소 그런데, 이 중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한 문장내에서 補文의 형태를 결정해 주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이점에 대해서는 가장 대표적이면서도 서로 대립적인 두가지의 이론이 있는데, 그 하나는 補文의 형태가 전혀 예상할 수 없는어떤 구문론적인 변동(syntactic variations)에 의해서 정해진 다른것과 다른 하나는 補文의 형태가 주 문장의 동사(main verb)의 의미론적인 요소(semantic elements)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여러가지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前者의 이론이 실패한 점을 지적해 내고, 그것이 타당하지 못한 점을 밝혔으며, 補文의 형태는 순전히 주 문장의 동사가 갖는 의미에 따라 정해진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즉, 주 동사가 갖는 의미론적 차이(semantic differences)가 그 補文의 구문론적인 차이(syntactic difference)를 가져 온다는 것이다. 사실적인 술어(factive predicates)와 補文의 동명사화(gerundivization)의 관계, 그리고, 정서적인 술어(emotive predicates)와 부정사화(infinitivization)의 관계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이러한 나의 결론을 충분히 뒷받침해 주고 있다고 보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