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영식-
dc.contributor.author박선영-
dc.creator박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9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00-
dc.description.abstractCurrently, the mobile phone market is so equalized that we can’t even realize the differences of designs and technologies of each product. So, the market should develop high technology and premium products throughout the differentiations and high valued of materials. Thus, the strategic studies of emotional approaches to the colors and materials are required. To map out the emotional strategy, most of all, you should first design the procedure of easy communication by the cultural designs with consumers. The fact that the consumers purchase the products means that they share the cultural meanings of the products as well. The thesis analyzes the reasons why the receivers translate the same object as the different concept while communicating and why they show different preferences with the concept of Semiologie de la Culture.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 considered the theories of cultural dimensions of Hofstead and Edward Hall who studied about the unconscious culture and comparing the cultures and analyzed the structure and the meanings of Semiology. This thesis selected the Mobile Phone as the theme of the study, and executed the on-line survey to the twenties in Korean, China and Japan. To understand how the cultural difference affects to the consumers’ understandings of symbols in messages, here limits the range of study to the hardware design of the mobile phone and compares the references to the design factors by vision and tactual sense. As a result, the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are the most positive factor which decides the concept of the mobile phone, and by this, I could analyze the differences of preferences by the design factors with the Semiologie de la Culture. The summary of the survey is as below. First of all, Korea belongs to the collectivism, strong confusion dynamism and week uncertainty avoidance of Hofstead and high context culture of Edward Hall. This shows that these cultural differences affect to their collective feature which prefers the achromatic colors, red colors and various tones in the aspect of vision. In the aspect of the tactual design, they consider the weight, size and the sense of grip compared with other two countries. This shows that the people prefer the light and slim style gripped in a hand. Second, Japanese has an Individualism, strong uncertainly avoidance, and low context culture. So they prefer the soft and light tone colors. Since they like soft things, they prefer the smooth surface of products and several bright colors such as green, yellow, red and so on. However, they didn’t care about the size and weight. Third, Chinese shows the limited color preference, especially to the red colors, because of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collectivism, strong confusion dynamism and week uncertainty avoidance of Hofstead and high context culture of Edward Hall. They show the similar reactions to the weight, size and materials, but this may the reason they are accustomed with the models of Chinese mobile market. As they show the positive reaction to the small, slim and smooth mobile phone, I expect this thesis can be the reference. This thesis may have a meaning of building a methodological foundation of sharing messages between designers and consumers by understanding the translating process how the cultural difference affects to the product designing. I hope, in the future, that the design accords the user friendly software interface which considers the cultural differences with the vision and tactual hardware, s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roduct is according with the design strategy.;현재 모바일 폰시장은 디자인과 기술력의 편차를 느끼기 힘들 정도로 평준화되어, 이제는 소재의 차별화와 고급화를 통한 하이테크(High-Tech)제품과 프리미엄(Primium)제품을 만들기 위해 Color와 소재에서의 감성적 접근 방식의 전략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감성디자인 전략을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 소비자와의 문화적 디자인을 통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의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그 이유는,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한다는 것은 단순히 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라 제품이 지니고 있는 문화적 의미를 공유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디자이너가 의도한 제품의 메시지를 소비자가 제대로 읽어내고 그 메시지를 공유하면서 소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서로간의 의미를 함께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커뮤니케이션과정에서 수신자의 숨겨진 문화차원의 차이로 인해 동일한 대상에 대해서도 상이한 개념으로 해석하고 또 그 선호도의 차이를 보이게 되는 원인을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의식하지 못하는 문화의 개념과 그러한 문화를 비교하고 연구한 호프스테드와 에드워드 홀의 문화차원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고찰하고 그 안에 담긴 수많은 시각텍스트를 읽어내기 위한 기호학의 구조와 의미작용과정을 통한 해석의 틀을 마련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폰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한국과 중국, 일본의 20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요소의 선호도를 문화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호프스테드와 에드워드 홀의 문화연구모형을 이용하여 설문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즉, 문화적 차이가 소비자들로 하여금 모바일 폰에 담긴 기호의 메시지를 각기 다르게 해석하게 되는 의미작용과정을 파악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의 수도에 거주하는 20대 모바일 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폰의 하드웨어 디자인분야로 한정지어 시각적 촉각적 디자인 요소에 대한 선호도를 비교하는 내용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폰의 의미해석 과정에서 문화적 배경이 제품의 개념을 결정짓는 큰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로 인한 시촉각적 디자인의 요소의 선호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설문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호프스테드의 집단주의(Collectivism), 장기지향성(Long-term orientation), 불확실성에 대한 약한 회피성(Week Uncertainty avoidance)의 차원과 에드워드 홀의 고배경문화(High Context Culture)권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시각적 조형디자인 분야에서 색상과 배색의 선호도가 모던하고 은은한 감성의 무채색계열과 Red계열을 선호하였고 두 색상계열의 고채도, 저채도의 다양한 톤을 선호하는 집단적 성향을 보였다. 또한 촉각적 조형디자인 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두 나라에 비해 무게와 크기 그리고 그립감의 사용성을 중요시 여기고 있었는데, 이는 제품의 더 가볍고, 한 손에 쥐어지는 슬림형의 스타일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신기술과 신제품에 대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일본의 경우 개인주의(Individualism), 불확실성에 대한 강한 회피성(Strong Uncertainly avoidance)과 저배경문화(Low Context Culture)에 속한 문화적 특질로 인해 다양하고 부드럽고 가벼운 톤의 컬러를 선호하였다. 깨끗하고 부드러운 것을 선호하는 감성이 제품 표면의 매끄럽고 광택적인 소재를 선호하였으며 귀여움이라는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여 그에 어울리는 Green, Yellow, Red 톤의 컬러의 다양한 색상 선호폭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촉각적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는 가장 무겁고 큰 사이즈의 제품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슬림형의 필요성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중국은 집단주의(Collectivism), 강한 장기지향성(Strong Long-term orientation) , 불확실성에 대한 약한 회피성(Week Uncertainty avoidance)의 차원과 에드워드 홀의 고배경문화(High Context Culture)권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고정된 컬러 선호도를 보였는데 특히 고채도의 강한 Red 계열을 선호하는 매우 한정적인 선호폭을 보여주었다. 무게와 크기, 소재감에 있어서는 한 손의 부드럽게 열리는 작고 슬림한 형태에 모바일 폰에 대해서는 선호하지만, 실제 사용모델은 무겁고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화적 차이가 제품디자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의미해석과정을 이해함으로써 문화적 디자인에 대한 디자이너와 소비자와의 메시지를 공유하는 방법적 틀을 마련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향후 소프트웨어분야에서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시촉각적 하드웨어 디자인의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디자인을 보았을 때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계속 같은 메시지를 느낄 수 있는 진정한 문화적 디자인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통합적인 연구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 배경 = 1 1.2 연구 목적 = 2 1.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2. 문화와 기호학의 개념고찰 = 4 2.1 문화의 개념 = 4 2.2 기호학의 정의 = 6 2.2.1 기호학의 개념과 구조 = 6 2.2.2 기호학의 종류 = 10 2.3 디자인과 기호학 = 11 3. 비교문화의 모형연구 = 13 3.1 비교문화 = 13 3.1.1 비교문화의 정의 = 13 3.1.2 비교문화 연구의 필요성 = 14 3.2 비교 문화모형의 종류 = 15 3.2.1 에드워드 홀(Edward T. Hall)모형 = 16 3.2.2 호프스테드 (Geert Hofstede)모형 = 17 3.2.3. 문화적 차원에 따른 국가별 분석 = 20 3.3 비교문화모형을 이용한 디자인 비교분석 사례연구 = 22 3.3.1 문화별 맥도널드 광고디자인 사례 = 22 3.3.2 제품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례 = 26 4. 한중일 모바일 폰의 디자인 선호도 연구 = 28 4.1 연구모형 및 가설 = 28 4.1.1 연구 가설 = 28 4.1.2 연구대상 및 방법 = 30 (1) 연구대상 선정 = 30 (2) 방법 = 30 4.2 설문조사의 구성 = 31 4.2.1 선행 연구 = 31 4.2.2 내용구성 = 35 4.2.3 종합 = 43 4.3 연구 결과 및 가설 검증 = 44 4.3.1 모바일 폰에 대한 개인의식 분석 = 44 4.3.2 모바일 폰의 시촉각적 디자인의 선호도 비교결과 = 52 4.3.3 종합 = 64 5. 모바일 폰 디자인의 기호학적 분석 = 70 5.1. 모바일 폰의 문화 기호작용 = 70 5.1.1 일본의 문화기호작용 = 73 5.1.2 중국의 문화기호작용 = 74 5.1.3 한국의 문화기호작용 = 75 6. 결론 = 76 6.1 연구결과 및 논의 = 76 6.2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방향 = 78 참고문헌 = 79 부록 = 82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5605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45-
dc.title문화적 차이에 의한 모바일 폰 디자인 선호도의 기호학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국·중국·일본의 20대 사용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emiotic analysis of preference in mobile phone design on cultural difference : Between Korean & China & Japan user in twenties-
dc.creator.othernamePark, Sun Young-
dc.format.pagex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