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1 Download: 0
A Comparative Study of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s in Chinese and Korea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 Title
- A Comparative Study of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s in Chinese and Korea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 Other Titles
- 중국과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듣기 문항 비교분석 : 의사소통기능 및 언어처리과정과 세부 활동 중심으로
- Authors
- 류취
- Issue Date
- 2007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김영걸
- Abstract
- The NMET and the CSAT are the college entrance English examinations in China and South Korea respectively. Due to the similar English education backgrounds and the equal importance of the two examinations in these two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listening items in the NMET and the CSAT reflect their national curricula by analyzing the listening items in the NMET and the CSAT from the year 2002 to the year 2006. Moreover, the comparison between the NMET and the CSAT based on the criteria established by Van Ek, Wilkins, and Peterson is made. Specific concentration is given to communicative functions and the specific activities in the listening processing.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do the listening scripts in the NMETs and the CSATs reflect the Chines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on communicative functions respectively? Which communicative functions are the most favored? Which communicative functions are the least favored?
Second, how do the specific activities in the listening sections in the NMETs and the CSATs reflect the guidelines related to listening ability? Which specific activities are the most favored? Which listening processing is the most emphasized? Which specific activities are the least favored? Which listening processing is the least emphasized?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NMETs and the CSATs on communicative functions and the specific activities?
In order to answer these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listening scripts and also the listening questions of the NMET and the CSAT from the year 2002 to the year 2006 based on the criteria provided by Van Ek and Wilkins regarding th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Peterson regarding the listen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the NMET and CSAT listening items reflect their national curricula to a great degree related to communicative functions. Specifically, 80.49% of the communicative functions listed in the Chinese National Curriculum showed up in the listening section of the NMET from 2002 to 2006, and 89.13% of the communicative functions listed in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appeared in the listening items of the CSAT in the past five years. In the NMET, the category of intellectual attitudes (33.33%) was the most favored communicative function and the category of moral attitudes (2.56%) was the least favored. In the CSAT, the category of intellectual attitudes (34.61%) was most commonly found and the category of moral attitudes (1.67%) was the least.
Second, the activities in the NMET fulfilled all six of the requirements in the Chinese National Curriculum related to listening abilities.In the case of the CSAT, one out of the ten requirements in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was not achieved. The most favored specific activity in both the NMET and the CSAT was “find the specific information.” The least favored specific activity in the NMET was “find out the gist, main idea,” while the least favored specific activity in the CSAT was “find the way or deduce something by listening to the instructions.” In the case of listening processing, the NMET had the bottom-up listening processing the most frequently. On the other hand, the top-down listening processing was as the most favored in the CSAT.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listening section of the NMET and the CSAT on communicative functions, two common things were found. One was that both the NMET and the CSAT had the category of intellectual attitudes as the most favored communicative function. The other was that the moral attitudes category was the least favored function for the NMET and the CSAT. As for differences, the category of factual information exchange was not included in the NMET, but it was included in the CSAT with a large percentage.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NMET and the CSAT related to listening processing with Peterson’s list as the criterion, the specific activities in the CSAT reflected more items in Peterson’s list than the ones in the NMET.
In conclusion, although thi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CSAT better reflects the criteria established by Van Ek, Wilkins, and Peterson than the NMET, the listening items in both the NMET and the CSAT need to be improved in the aspects of communicative functions as well as specific activities in listening processing to be more close to those of native speakers.;본 연구는 2002, 2003, 2004, 2005, 2006 년도의 중국과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듣기 문항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의 틀로는 Van Ek 과 Wilkins 이 제시된 의사소통기능과 Peterson제시한 언어 처리 과정 및 세부 활동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어 듣기 문항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에 초점을 두었다. 첫째, 중국과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듣기 대본에 나와 있는 의사소통기능과 양국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의사소통기능이 잘 부합되었는가? 또한, 어떤 기능이 자주 제시되고, 어떤 기능은 덜 제시되었는가? 둘째, 중국과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듣기에 나와 있는 세부 활동이 양국 교육과정에서 듣기능력에 대한 지침이 잘 부합되었는가? 어떤 세부 활동이 자주 나타나고, 어떤 세부 활동은 덜 나타났는가? 어떤 언어처리과정의 비중이 크고, 어떤 언어처리과정의 비중이 적은가? 셋째, 의사소통기능과 세부활동에서 중국과 한국 간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중국과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듣기중에 나와 있는 의사소통과 양국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의사소통은 어느 정도 잘 부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중국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듣기는 Van Ek 과 Wilkins 이 제시된 의사소통기능과 Peterson제시한 언어 처리 과정 및 세부 활동을 80.94% 반영하고 있고 한국의 경우에는 89.13% 반영하고 있다. 중국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듣기에서 "지적 태도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난 반면, "도덕적 태도 표현"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듣기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둘째, 중국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중에 나온 듣기활동은 중국 교육 과정에 제시한 "여섯 개의 듣기능력”과 잘 부합된다. 한국의 경우,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 문항에 나온 듣기활동이 제7차 교육과정에 제시한 "열 개의 듣기능력” 중에 아홉 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양국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 문항에서는 "특정 정보 찾기”란 활동이 제일 많이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 문항에서는 "소재, 주제 찾기”란 활동이 가장 적게 나타났고, 한국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 문항에는 "지시를 듣고 길을 찾거나 추론하기” 활동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언어처리과정에서는 중국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 중에 "상향식 처리과정”이 제일 큰 비중이 차지하고 있는 반면 "하향식 처리과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의사소통기능에는 양국을 비교한 결과 두 가지 공통점이 나타났다. 그것은 지적 태도 표현기능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는 것과 도덕적 태도 표현기능은 가장 적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차이점으로는 "사실정보교환"이란 활동이 중국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에 없는 반면 한국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Peterson의 표준에 따라 비교해보면 한국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에서 나온 세부활동이 중국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에서 나온 세부활동 보다 더 Peterson의 기준에 가깝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한국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는 중국 대학입학시험 영어 듣기 보다 더 Van Ek, Wilkins, 및 Peterson의 기준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양국의 대학입학시험의 듣기 문항에는 영어 원어민이 쓰는 실제적인 “의사소통기능” 및 “듣기능력”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