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한부모 적응의 영향 변인 연구

Title
한부모 적응의 영향 변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Variables influencing single parents' adaptation : Based on Double ABC-X model of Mccubbin
Authors
김진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which resource factor effects on single parent's adaptation after separation. This study is aimed at surveying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parenting family and the individual, family relational, and social resources and their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se single parents. Ultimately this study is to survey the adaptation outcomes of the single parent and identifying factors that determine the adjustment level.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of 197 single parents who are accommodated by social welfare center, self-help promotion agency, and womens' civil communi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Double ABC-X model of Muccubbin which explains the process of family stress events, and verif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and the resources of single parents affect the level of single parents' adaptation. Resources factor includes individual, familiar relational, and social resources. Self-esteem scale, familiar relation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FMWB scale to measure single parental adaptation were use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show distributions and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s.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arents with at least a college education had higher self-esteem than the others. Higher levels of familiar relationship resources were associated with parents of small income and divorced single parents. Parents with at least a college education had higher level of social support than the other groups.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s with at least a college education and Catholic had higher level of adaptation. Higher incomes and the long duration of separation were relevant to higher adaptation. Also it was proved that separation by death effected on higher adaptation compared to other reason of separation. It was proved that in case first children were boys and higher grade, the single parents had higher level of adaptation. Third, All the resources variables except subordinate variables of family relational resource, emotion - intimacy variable and admission - respect variable, were correlated with single parents' adaptation. In particular, self-esteem resources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adaptation Four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monthly income variable, self-esteem variable, familiar relation resources variable, and social support resources variable to find out which variables effect on the single parents' adaptation, higher income was related to single parents's higher adaptation. it was also proved that higher self-esteem were related to single parents' higher adaptation. Subordinate variable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were related to single parents' adapta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ignificant familiar variables, monthly income, self-esteem resources, and material support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single parents' adaptation. When compared as standardized coefficient, in order of self-esteem resources, monthly income, material support were effected on parents' adjustment. This study had lots of discussions about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new programs to enhance self-esteem and policy of valid financial support for single parents were suggested. Also crisis counseling for divorced parents should be done for about initial 2 years to minimize high risk and help them to adapt well.;본 연구는 배우자 상실이라는 가족 위기 후에 한부모가 적응을 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하여 밝혀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우자를 상실한 한부모와 자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한부모의 개인심리적자원, 가족관계적 자원, 사회적 자원 및 그들의 적응 정도를 살펴 본 후, 한부모의 적응정도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자원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궁극적으로는 한부모의 적응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종합사회복지관, 자활후견기관, 여성 민우회를 이용하고 있는 한부모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모형은 가족 스트레스 상황시 적응과정을 설명한 Mccubbin의 Double ABC-X모델에 기초를 두어, 한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자원요인과 그들이 적응 수준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한부모가족의 자원요인은 개인심리적 자원, 가족관계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으며, 측정 도구는 자아존중감척도, 가족관계 척도,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였고, 한부모의 적응정도는 FMWB척도를 사용하였다. SPSS 12.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분석, T-test,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한부모가 가진 자원변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 대졸 이상의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관계적 자원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월평균 수입이 적은 집단이, 한부모가 된 사유가 이혼인 경우가 다른 사유에 비해서 가족관계적 자원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졸 이상의 학력이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서 사회적 자원점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자원정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대졸이상의 집단이 평균 39.10점으로 다른 집단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유의수준 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나, 다른 변수에서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가족관계의 관계를 살펴봤을 때 유의수준 5%에서 월평균 수입 변수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다른 변수에서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봤을 때, 학력에 따라서 대졸이상의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사회적 지지 점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살펴본 모든 변수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가족 적응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학력에 따라서는 대졸이상의 집단이 가족 적응이 좋았으며, 종교에 따라서는 천주교가 가족 적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수입별로는 수입이 높은 집단이 가족적응이 더 좋았고 한부모가족 기간이 오래된 집단이 가족적응이 상대적으로 좋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부모가 된 사유별로는 사별이 이혼 및 기타 사유에 비해서 가족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맏자녀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 한부모 가정의 적응정도를 살펴보면 맏자녀가 남자인 경우가 맏자녀가 여자인 가정에 비해 적응정도가 높았으며 맏자녀의 나이가 많을수록 한부모 가정의 적응정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중 월평균 수입에 따른 가족적응의 정도는 유의수준 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나 다른 변수에서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의 자원 요인들과 한부모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관계척도의 하위변인인 정서·친밀과 수용·존중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수준 1%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개인 심리적 자원의 경우가 적응정도와 가장 높은 양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넷째, 한부모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특성 중 한부모의 적응과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던 월평균 수입과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들을 설명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한부모의 적응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월평균수입은 한부모의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적응 수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한부모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적응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은 한부모의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사회적 자원의 하위 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가 한부모의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의미한 변인을 가지고 최종적인 다중회귀분석 결과, 수입과 개인 심리적 자원, 그리고 물질적 지지요인이 한부모 가정의 적응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준화계수를 비교해봤을 때, 개인 심리적 자원, 수입, 물질적 지지의 순으로 적응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가족의 적응을 돕기 위해서 사회복지사는 한부모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한부모가족의 물질적 지원을 위해 이를 위한 정책적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 대상의 위기상담이 활발히 이루어져 한부모가 스트레스 상황을 잘 극복하고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