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9 Download: 0

데스틸의 조형 원리에 대한 이해와 실내환경 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Title
데스틸의 조형 원리에 대한 이해와 실내환경 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Understanding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De Stiji and its Application to Interior Design
Authors
권희선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데스틸조형원리실내환경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길홍
Abstract
기하학 형태는 오래전부터 미술의 주요한 수단이 되어 왔는데 주로 장식적인 문양의 기본단위나 회화나 조각의 원근법이나 구도의 기본틀의 역할을 하였을 뿐 순수미술의 조형 요소로서 수용된 것은 20세기의 추상미술을 통해서다. 이것은 특히 합리주의와 과학기술 문명에 대한 유토피아적인 신념의 표상이기도 하다. 1914년부터 1917년에 너델란드의 몬드리안도 수평, 수직선과 사각형의 평면이라는 그의 전형적인 형태 요소에 도달하계 되었다. 한편 네델란드의 다른 지성적 작가들과 건축가들이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시각환경을 창조하고자 데스틸이라는 그룹을 결성하고 전문잡지도 발간하면서 기하 추상의 노선을 지향하기 시작하였다. 결국 데스틸의 기본 목표인 '새로운 환경의 창조'를 성취한것은 건축부문이었으며, 건축에서의 성과가 데스틸 그룹의 활동 시기인 1920년대에는 뚜렷하지 않더라도 그들의 아이디어를 종합한 그 후의 세대들에 의해 미래의 환경을 창조케 해준 밑거름이 되었던 것은 확실한 일이다. 그들의 이념이야말로 유토피아적 사회에 이르게 하는 단 하나의 방법으로 굳게 믿었던 데스틸 그룹의 믿음은 그들의 창작활동의 원동력이 되었고 비록 유토피아는 오지 않았지만, 그들의 사고는 우리를 둘러싼 주위 환경의 여러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다. 한 시대의 사조를 연구함으로써 현대 또는 앞으로 미래에 다가올 예술 및 사회 문화에 있어 그 정당성과 그 본류에 대한 이해와 미래 우리문화를 개척하고 발전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리라 하는 의도하에 진행된 본 논문의 연구과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1) 데스틸 그룹의 조형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고찰로 성립배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발생의 당위성을 살펴본다. 성립에 영향을 미친 4가지 요인은 지역적 배경, 입체파의 영향, 라이트의 영향, 신지학의 영향이다. 이러한 발생배경을 바탕으로 몬드리안과 반되스부르그를 중심으로 조직된 데스틸 그룹의 진행과정을 통해 전개된 양상에 대해 이해한다. 2) 조형적 특징의 도출을 위해 데스틸 그룹을 주도했던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와 반되스부르그의 요소주의 그리고 이러한 이론들이 건축에 적용되며 나타난 건축적 특징을 알아본다. 기본 이념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단순성 · 추상성 · 시간성 · 보편성 3) 이러한 이론적 배경하에 실험적 적용단계로 직접 실내 공간 디자인을 전개한다. 디자인 단계는 우선 디자인 대상을 설정하고 환경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공간들을 구성하고 그 다음 앞에서 살펴 본 데스틸의 조형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여 이를 디자인 모티브로 하에 공간에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이미지를 스케치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직접 대상 공간에 적용한다. 이러한 주제와 연구방법에 하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나타난 현상적 결과들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기하형태를 사용하여 단순성과 추상성을 표현하였다. 2) 과감한 색채 계획을 통해 공간 구성 요소들을 회화의 한 벽면으로 사용하여 회화의 건축의 구분을 없게 하여 단일 예술 통합하였다. 3) 공간의분해와 구조물의 돌출, 융통성 있는 공간 구성, 색면의 파노라마식 변형을 통해 공간에 4차원적으로 시간이라는 개념을 첨가하여 시점을 한 곳에 고정시키지 않고 전체를 둘러 보면서 그 내적 구성에 자신을 투입시켜야만 인지되는 구조로 계획하였다. 4) 큰 개구부, 보이드의 사용, 평면의 방사형 팽창으로 내부 지향적인 닫혀진 공간 개념이 아니라 무한한 외부공간을 향한 열려진 공간 개념으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데스틸의 조형적 접근을 통해 디자인 사조에 대한 이해와 실험적 적용과정으로 우리 실정에 맞는 현재, 미래에 예견될 수도 있는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정당화 시킴으로써 실내 디자인 분야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 도움에 되고자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Geometrical form has been the important means in art for a long time but it just has played a role of the basis of ornamental patterns, the perspective of paintings, sculptures and composition. It is abstract art of twentieth century that accepted it as the formative factor of pure art. Especailly this is also the symbol of utopian belief about rationalism and the scientific technique of culture. Mondrian in Netherlands has reached his typical formative factor that is horizontal, vertical line and square plane from 1914 to 1917. In other hand, We other intelligent artists and architects organized the group De Stijl to create new visual environments which are proper for a new days and published professional journal and they started to head toward geometrical abstract line After all, it is the architecture part that accomplished 'the creation of new environments' which was the basic aim of De Stijl. Although the results of architecture were not eminent in 1920's when group De Stijl acted, it is certain that they were the basis which the new environments of the future could be created by their next generation who synthesized their ideas. The belief of group De Stijl that their belief was the only way to reach utopian society has been the motive power of their creative action. Though utopia did not come, their thoughts can be found in various sid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understanding of its justness in modern or future art, social culture and its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our culture by studying the trend of one time. The procedure is as follows. 1) As the theoretical examin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De Stijl environment, the justness of its origi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its formation background is examined. Four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formation were local background, Futurism, Theosophy, F.L.Wright. And from them, we understand about De Stijl Environment centered on Mondrian and Van Doesbrug. 2) For the elicitation of formative characteristic, Neo- Platticism of Mondrian, Efementalism of Van Doesbrug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shown by application of their theories to architecture which led group De Stijl are examined. The basic conception shown is as follows. * Simplicity * Abstractness * Dimension * Universality 3) Under this theoretical background, inner interior design is developed directly as the experimental application stage. In design phase, for the first, the object of design is established, environments are analyzed, the proper space for these is composed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De Stijl examined above is analyzed and then, the image which appears when the design motivated by these is examined.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se themes and method and phenomenal result shown is as follows: 1) Simplicity and abstractness were expressed using geometrical patterns. 2) The factors composing the space was used as a wall surface of a painting to eliminate the difference between painting and architecture through the daring color plan. 3) The composition was planed, which could be perceived only when oneself was incorporated into inner composition looking around whole without fixation of sight point adding time, the fourth dimensional conception through the decomposition of space, prominence of architecture, flexible space composition and the panoramic change of color. 4) The space conception opened to wide infinite outer space not closed toward inside was expressed using the large opening part, void and the expansion of radical lin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support the grope of new direction in interior design by re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design which can be expected in the future and justifying it as the understanding for trend of design and the experimental application procedure through the formative approach of De Stij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