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컨템포러리 댄스에 나타난 '몸의 정치'적 재현방식 연구

Title
컨템포러리 댄스에 나타난 '몸의 정치'적 재현방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Methods of the ‘Body Politics’ Seen in Contemporary Dance
Authors
이지원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말복
Abstract
본 연구는 컨템포러리 댄스에 나타난 ‘몸의 정치’적 재현방식를 다루고자 하였다. ‘몸의 정치’란 푸코의 관점을 이론적 토대로 몸의 기능과 외형에 의해 차별받고 억압받는 규범적 몸을 해체하고 사회적 고정관념을 전복하고자 하는 시각을 말한다. 그리하여 실험주의적 현대무용가인 마크 모리스(Mark Morris)와 빌 티 존스(Bill T. Jones) 그리고 로이드 뉴슨(Lloyd Newson)의 작품을 중심으로 어떻게 인간주체로서의 몸적 경계규범을 해체하고 몸의 해방적인 시각을 조명하는지 탐색하였다. 동시에 작품 속 권력과 불평등을 생성하는 기제로서의 몸을 진단하며 몸에 관한 위계적 경계를 흩트리고자 하는 안무가들의 의지를 해석하였다. 먼저 몸에 관한 담론을 통해 현재 학계의 동향을 살피고, 몸의 정치적 대상을 성, 인종, 계층으로 구분하여 동성애와 흑인 그리고 장애인들의 몸적 경험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예술작품을 통해 이들을 범주화하고 구별하는 편견된 시각을 점검하고 이에 따르는 정치적 항변을 다루었다. 여기에 1980년대 이후를 컨템포러리로 규정하여 위의 안무가의 대표작으로 칭할 수 있는「디도와 아네아스 Dido & Aeneas」(1989),「엉클 탐스 캐빈 Last Supper in Uncle Tom’s Cabin/The Promised Land 」(1991),「삶의 대가 The Cost of Living 」(2004)의 작품 경향을 점검하여 보았다. 결과적으로 모리스의 작품에서는 섹슈얼리티를 강조하는 작품성향을 통해 다양한 성적 취향을 인정받고 성의 고정관념을 타파하고자 하는 그의 의도를 살필 수 있었다. 존스는 몸의 권력관계와 플랏의 진행을 통해 현실 속에 부유하고 있는 흑인의 정체성과 소외감을 드러내고 이들의 고통과 현실을 전달하여 문화적 이데올로기를 전복하고자 하는 그의 의지를 발견하였다. 뉴슨은 무대 속 개개인의 몸을 통해 우리 옆에 가까이 있는 타인에 관하여 상기시키고 이들과의 조화로운 공존과 관계성에 관하여 노출하며 비장애로서의 테두리를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일상을 점검하여 지배권력의 만행을 드러냄으로 몸이라는 문제를 돌이켜 보게 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작품에서 다음 몇 가지 관점을 공통적으로 추출하여 ‘몸의 정치’적 시도라 칭할 수 있다. 1. 무대 위에 등장하는 몸을 통해 ‘다름을 드러내고 서로의 차이 인정’ 2. 사회 속 ‘타자적 몸이라는 경계규범 해체’ 3. 몸의 경계 흩트리기를 통해 ‘조화로운 몸의 공존 주장’이다. 이러한 관점은 대립적 요소들을 몸에 공존시켜 몸 변형의 가능성을 부각시킨다던지 실재와 일루전(Illusion)의 동시적 재현으로 사회적 경계를 저항하며 한 공간 속 공동체임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다. 또한 제의성을 발현하여 새로운 몸의 탄생을 예고하거나 원작의 변형 및 재창작으로 확정 불가능한 개념의 숙고를 유도하기도 한다. 덧붙여 영상작업을 통해 몸의 정치적 논의 공간을 확대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현은 몸의 정치를 구체화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몸의 정치’로서의 본 논문은 함께하여야 할 책임 있는 모습으로 몸의 문제를 재점검하게하고 춤의 언어화를 통해 정치적 지점에서 몸을 해석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더불어 ‘몸의 정치’를 논의의 중심으로 삼아 무용학의 이론적 준거와 인문학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재현방식과 움직이는 몸을 탐색함으로써 컨템포러리 댄스의 해석에 관한 새로운 인식정립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춤 속 몸의 비중을 지적하고 해방적인 시각으로 이행하는 몸적 의미를 고찰할 수 있었다는 것에 중요성을 둘 수 있다. ‘몸의 정치’란 획일적인 방식의 강제가 아닌 다양한 전략과 방향을 모색하는 잣대로서 춤의 이론화 작업과 치유의 작업으로서, 또한 컨템포러리 시대를 독해하고 실천하는 필수 불가결한 거점으로서 몸의 주체화 노력들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This thesis is aimed to analyze the representation methods of the ‘body politics’ seen in contemporary dance. ‘Body politics’, that is theoretically based on Foucault’s aspect, refers to the view that tries to dismantle the regulated body that is discriminated and pressured by its function and appearance, to overcome the social bias. Thus it explores how the boundary regulations of the body as a human subject is dismantled and how the liberated view of the body is portrayed through the works of experimental modern dancers such as Mark Morris, Bill T. Jones and Lloyd Newson. Moreover, it analyzes the body within the works as the establishment which generates authority and inequality, the dancer’s will to disrupt those hierarchical boundaries of the body. First, it examines the trend of the current academics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the body; then, distinguishes the body’s political objectives by gender, race, and social class, and focuses on the physical experiences of homosexuals, African-Americans and the handicapped. Next, it examines the discriminating and biased views of them through the artworks and deals with the political protest. Here the time after the 1980s is seen as contemporary, and it observes the tendency of the works such as「Dido & Aeneas」(1989),「Last Supper in Uncle Tom’s Cabin/ The Promised Land」(1991),「The Cost of Living」(2004) that are considered to be masterpieces of the dancers mentioned above. In conclusion, in the works of Mark Morris, his intentions to have the idea of diverse sexual features recognized and to abolish the fixed ideas on sex are clearly shown through the tendency of his work which emphasizes sexuality. Bill T. Jones portrayed the identity and alienation of African-Americans, who stay afloat in reality, with the body’s authoritative relationships and the course of the plot. His will to convey their suffering and reality, and overthrow the cultural ideologies can also be observed. Lloyed Newson reminds us of the others right next to us by the individuals’ body on stage and tries to expand the boundaries of the non-handicapped by disclosing the harmonious coexistence and relationships among them. Furthermore, he examines the everyday life to expose the cruelty of the dominant power and leads us to reconsider the issue of the body. Thus to extract the common views of these works, they can be named as the body’s political movement. 1. ‘Portraying the difference and acknowledging the distinction’ through the bodies on stage 2. ‘The dismantlement of the boundary regulations referred to as the other body’ in society 3. ‘Suggesting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the body’ by disrupting the boundaries of the body These views embodies the ways that stress the communal society in the same space by emphasizing the possibility of the body’s transformation while putting conflicting features to coexist, and by resisting the social boundaries through the simultaneous portray of the reality and the illusion. Also, they suggest a proposition on the birth of anew body or induce reconsidering an inconclusive term by transforming or recreating the original. These recreations are a means to specifying the body politic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in reference to ‘Body Politics’ is meaningful in reconsidering the issue of the body with a responsible and cooperating attitude, and providing the framework of interpreting the body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through a linguistically defined dance. On the other hand, its significant is that the study of the body politics provide us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a humanitarian foundation for the academics of dance.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presents a new perceptional thesis on interpreting contemporary dance by exploring the body’s political portrayal in contemporary dance in its own limits, and a liberated and dissolved body. ‘Body Politics’ is the work of putting dance into theory, and healing as the standard of finding diverse strategies and directions not limited by a standardized method. Moreover, it is expected to be an indispensable position of deciphering and executing the contemporary era and thus a new projector on the efforts to establish the body’s subje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