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6 Download: 0

한국천연염색을 응용한 현대의상 디자인연구

Title
한국천연염색을 응용한 현대의상 디자인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odern Fashion Design of Applied Korean Dyeing
Authors
정진우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의상디자인전공
Keywords
한국천연염색현대의상디자인Dyeing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자
Abstract
인류가 의복에 채색하기 시작한 것은 자연계의 아름다운 색채를 동경하게 되어 색감있는 흙,돌,식물의 잎,줄기,뿌리,꽃,열매의 즙,동물의 혈액등을 채집하여 그대로 옷에 문지르거나 짜서 착색효과를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작된 자연색채의 이식방법은 인조합성염료가 발달되기 이전까지 동물,식물,광물인 천연염료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지단마다 다른 환경적, 자연적 특성에 따라 종류와 염색법이 다르게 발전되어 왔다. 또한 각 시대, 각 민족마다 서로 다른 역사적조건과 미적감각에 의해 복합적으로 형성된 색채의 생활 감정에 따라서 발달된 종류와 염색법이 달라졌다. 한국의 천연 염료도 우리에 맞게 발달한 다양한 종류와 염색법이 있고, 그 색채에 있어서도 고유한 우리의 색채 감각을 나타내고 있다. 백의를 숭상하는 우리의 색채감각은 백색중심인 담백한 색조의 색상이며 대체적으로 밝은 명도의 색을 선호하는 경향으로서, 음양오행과 태일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 염색의 주제하에,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이르는 우리의 복색을 통하여 천연 염색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천연 염료의 종류와 염색법을 옛 문헌자료와 구전을 통해 알며 보며, 또한 문헌을 통해 알 수 있는 색채명과 그에 따른 색상을 규명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천연염료중 식물성 염료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식물성 염료는 한 염료에서 한 색상만 염색되는 단색성 염료와 한가지 염료라도 다양한 매염제의 사용에 따라 여러가지 색상으로 발색되는 다색성염료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본 논문은 동양의 음양오행사상에 근거한 오방정색과 잡색 그 이외에 자연의 현상으로 부터 연상되는 색명으로 색채를 나타내는 천연염료중 치자, 홍화, 쪽과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수 있는 천연재료인 흑대두와 양파로 염색하였다. 치자와 쪽은 단색성 염료이며 홍화, 흑대두, 양파는 다색성 염료이다. 또한 천연염색한 현대의상의 실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천연염료로 염색한 의상디자인에 있어 효과와 변화를 주기위해 수공예적인 기법을 도입하여 총 8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천연염색을 통한 색상은 깊이 있는 색감과 품격이 있으며, 화려한 색채로부터 은은하고 복합적이며 차분한 색채를 나타낸다. 또한 시각에 자극을 주지않고 바랠수록 단아하고 침착한 또다른 색감의 미를 보여준다. 둘째, 산업의 발달과 기계문명의 발달로 급진적 진보를 하며 이에 따른 비인간화와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더해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합성염료의 유해성과 오염에 비해, 자연이 준 천연염료는 인체에 무해하며 한약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종 질병방지와 치유능력까지 있다. 셋째, 다양화, 다변화, 국제화로 국제적인 보편성과 독자적인 특수성이 융합되는 세계적인 추세속에서 천연염색을 의상에 반영하는 것은 한국의 독특한 미의식과 상품적 가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넷째, 천연염색 자체의 색상을 최대한 살리는 단색위주의 작품과 여기에 한국적인 얽기 기법으로 장식효과를 주어 현대적 감각으로 승화시켜 독특한 색상과 조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섯째, 한국의 색채에 대한 많은 연구와 계승발전은 우리 예술성의 부각이라는 측면에 있어 의미가 있다.;Because of the nature's beautiful color, the human beings became painting their clothes. So they collected soil, rocks, leaves, stems, roots, flowers, juices of fruits and blood of animals. Then they rubbed or squeezed them on their clothings to express the effect of painting. By these ways, the grafting method of natural color had been formed by the natural dyestuffs from a plant, an animal and a mineral before artificial dyestuffs were developed and according to environmental and natural feature, the kinds and methods of dyeing were developed differently, Also, according to the feelings of color complexly formed by the difference of historical backgrounds and sense of beauty, the kinds and methods of dyeing were advanced differently. We also have our own natural dyestuffs in Korea and they represent our unique sense of colors. That sense to adore white clothes shows that we often put on light-color clothes very close to white color and prefer very much. Of course, that color is based on the cosmic dual forces and the Five Elements This study researches on our natural clothings through the ages of the three kingdoms, Koryo and Choson and the exact names and tones of color is examined through the old records. In Korea, the vegetable dyestuffs are more useful. They are classified into monogetic color and polygetic color which dyes the object variable color by many kinds of mordants. In this studying, I dyed with Chiza, Hongwah, Indigo, Onion, and Black bean which are based on the cosmic dual forces and the Five Elements. Chiza and Indigo are monogetic dyestuffs whereas Hongwha, Black bean and Onion are polygetic dyestuffs. Modern clothings dyed by natural dyestuff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this treatise. I made 8 clothings, dyed them by natural dyestuffs and used handicraft. Synthetic results for such a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or tones through naural dyeing and profound color vision is elegant and they show sober, complex and calm color from their sophisticated color. It does not also stimulate our eyes and the more fugitive color the more graceful and calmer color vision is. Second, according to rapid advance due to industrial and mechanical development, inhumanness and pollution are getting serious. However, natural dyestuffs are harmless and even used as medicinal stuffs. Third, clothings dyed with our own natural dyestuffs reflect Korean sense of beauty and value and character as goods in the world. Fourth, monocolor clothings with our own tying and binding method can express the unique color tones and art of modeling. Fifth, it is very significant that study and continuous seccession of our own color reveal our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