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재성-
dc.contributor.author鄭秀瑛-
dc.creator鄭秀瑛-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7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6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70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멜축이 제안한 의미-텍스트 대응 모형 속에서의 어휘기술을 고찰하는 것이다. 의미-텍스트 모형에서는, 자연언어를 의미와 텍스트간의 다대다 대응으로 가정한다. 의미-텍스트 모형은 그것들의 언어적 표상만을 다루므로, 의미를 위한 의미표상과 텍스트를 위한 음성표상을 고안해낸다. 그런데 의미표상과 음성표상간의 대응이 복잡하기 때문에, 의미-텍스트 모형에서는 그 중간에 다섯 개의 표상 층위가 설정된다. 표상 층위 각각이 자신의 인접 층위와 대응됨에 따라, 그 모형에는 여섯 개의 구성부가 생긴다. 그것들은 의미부, 심층/표층 통사부, 심층/표층 형태부, 그리고 음운부이다. 이렇게 하여 의미-텍스트 모형은 일곱 개의 표상 층위와 여섯 개의 구성부를 가진 성층적 체계가 된다. 이 구성부들이 기능하도록 하려면, 매우 복잡하고 규모가 큰 어휘부가 필요하다. 이 때, 그 구성부의 기능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 바로 결합설명사전이다. 결합설명사전은 한 단어를 그 언어 내의 다른 단어들과의 계열적/통합적 관계 안에서 철저히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결합설명사전은 의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특히 각 표제어에 대한 통사적/어휘적인 제한적 결합관계를 제시하는 것에 강조점을 둔다. 그 사전의 각 항목은 일관성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그것은 정의와, 지배도식, 예문들, 그리고 특히 어휘함수들을 포함한다. 멜축에 따르면, "어휘 함수란 하나의 의존관계 f를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f의 논항 혹은 mot cle'라고 불리는 하나의 어휘 단위 X에다가, f의 함수값인 어휘단위들의 집합 f(X)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각각의 어휘함수는 하나의 아주 일반적인 의미나 심층 통사적인 역할에 해당하는 것"이다. 하나의 똑같은 생각이 여러 가지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조'라는 똑같은 생각을 나타내는 데에, <malade>라는 어휘소에 대해서는<gravement>이라고 하는 한편, <prix>라는 어휘소에 대해서는 <haut>라고 한다. 이렇듯이, 강조라는 생각의 실제 표현은 어떠한 어휘소와 결합하느냐에 달려있는 것이다. 이 '강조'라는 일반적 의미는 결국 Magn이라는 어휘함수에 해당한다. 어휘함수를 이용한 이러한 어휘 기술은 멜축의 독특한 작업으로서, 다음과 같은 잇점을 나타낸다. 첫째, 어휘함수는 제한적 어휘 결합 관계를 철저하고 체계적으로 기술하게 해준다. 둘째, 환언문들을 만들어 내는 환언규칙은 전적으로 어휘함수에 의존하여 형식화될 수 있다. 셋째, 어휘 함수는 심층 통사적 관계이므로 모든 연어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보편성을 갖고 있어서 번역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많은 잇점이 있기는 하지만, 몇몇 세부적인 문제점은 있는 것 같다. 그 중에서도, 어휘함수가 보다 엄격하게 설정되고 구분되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으로 인하여 그 접근 방식 자체가 흔들리는 것은 아니며, 어휘함수의 개념으로써 이전의 문법에서와는 달리 매우 체계적인 방식으로 어휘를 기술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이론인 것이다.;Cette e´tude vise a` examiner la description lexicale faite par I. A. Mel' cˇuk dans le cadre du Mode`le 〈Sens-Texte〉(MST). Dans le MST, la langue naturelle est conside´re´e comme l'application multi-multivoque entre un ensemble de sens et un ensemble de textes(expression ou forms graphique ). Le MST ne s'occupe que de leur repre´sentation linguistique, d'ou` la ne´cessite´ de l'e´laboration de la repre´sentation se´mantique(RSe´m) pour le sens d'une part, et d'autre part de la repre´sentation phone´tique(RPhone´t) pour le texte. Etant donne´ la complexite´ de la correspondance entre RSe´m et Rphone´t, le MST postule cinq niveaux inte´rme´diaires de repre´sentation. La correspondance de chaque paire de repre´sentations voisines est e´tablie par une composante spe´ciale du MST. Le MST posse´de six composantes: la se´mantique, la syntaxe profonde et la syntaxe de surface, la morphologie profonde et la morphologie de surface, et la phonologie. C'est ainsi que le MST est un syste`me stratifie´ avec sept niveavx de repre´sentation et six composantes. Pour faire fonctionner ces composantes, il faut un lexique tre`s complexe et volumnieux. C'est le Dictionnaire Explicatif et Combinatoire( DEC ) qui donne des informations ne´cessaires a` ces composantes. Le DEC a pour but de de´crire exhaustivement les mots dans ses relations para'digmatique et syntagmatique avec les autres mots d'une langue donne´e. Le DEC contient les informations se´mantiques et met l'accent sur la pre´sentation exhaustive de la combinatoire restreinte- tant syntaxique ainsi que lexicale -de chaque unite´ vedette. Chaque article de DEC a une structure rigide: il comporte une de´finition, un sche´ma de re´gime, des exemples et en particulier des fonctions lexicales. D'apre`s l'auteur, "une fonction lexicale eat une de´pendance f qui associe a` une unite´ lexicle-appele´e le mot cle´ de f-, un ensemble d'unite´s lexicales-appele´es les valeur des cette f. Chaque FL correspond a` un sens tre`s ge´ne´ral et a` un ro^le syntaxique profond." Une me^me ide´e peut s'exprimer de diffe´rentes manie`res. Par exemploie, pour l'intensite´, on emploie 〈gravement〉 pour le lexe´me 〈malade〉, mais 〈haut〉 pour le lexe`me 〈prix〉, etc. Ainsi, l'expression de l'ide´e d'intensite´ de´pend d'un lexe`me spe´cifique. Cette ide´e ge´ne´rale d'intensite´ correspond a` FL Magn. Ce qui est orignal chez Mel'cˇuk dans la construction d'un lexique the´orique, c'est cette description par FL, qui a les avantaaes suivants : - Les FLs permettent de de´crire les coocurrences lexicales restreintes de la fac¸on exhaustive et syste´matique. - La paraphrase s'appuie sur les FLs de fac¸on tout a` fait crucile: les re`glea de paraphrase sont formule´es en termes de FLs. - Les FLs peuvent e^tre. utilise´es pour la traduction, puisqu' elles sont des phe´nome`nes de la syntaxe profonde, at par conse´quent, sont universelles, en ce sens qu'on peut les observer dans toutes les langues. Toutefois, il nous semble que malgre´ ces avantages, la the´orie de Mel'cˇuk iaisse encore a` de´sirer. Surtout, il faudrait cate´goriser des FLs d'une manie`re plus rigoureuse. Mais sa me´thode est tre`s importante en ce que le concept de FL peut rendre la description lexicale beaucoup plus syste´matique et exhaustive que dans le pas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배경 = 1 B. 연구 대상 및 방법 = 3 Ⅱ. 의미-텍스트 대응 모형의 기본 가정과 구성 = 7 A. 기본 가정 = 7 B. 표상 층위 (niveaux de repre´sentation) = 10 1. 의미 표상 (repre´sentation se´mantique: RSe´m) = 10 2. 심층 통사 표상 (Repre´sentation Syntaxique Profonde: RSyntP) = 14 3. 표층 통사 표상 (Repre´sentation Syntaxique de Surface: RSyntS) = 19 C. MST의 구성부 = 20 1. 의미부 (se´mantique) = 21 2. 심층 통사부 (syntaxe profonde; SyntP) = 25 Ⅲ. 결합 설명 사전 = 27 A. DEC의 특징 = 28 1. 이론적 어휘부인 DEC = 28 2. DEC의 사전편찬적 기술 단위 = 30 3. DEC 항목의 구조 = 33 B. DEC 항목의 주요 세 영역 = 35 1. 의미 영역 (zone se´mantique) = 35 2. 통사 영역 zone syntaxique) = 40 3. 어휘 결합 영역 (zone de combinatoire lexicale) = 42 C. MST 내에시의 DEC = 44 1. MST의 표상과 DEC의 관련 = 45 2. MST의 표상 층위들간의 전환과 DEC = 48 Ⅳ. 어휘 함수 = 51 A. 어휘 함수의 정의 = 51 1. 정의 = 51 2. 어휘함수가 되기 위한 네 가지 조건 = 53 3. 어휘함수의 종류 = 55 B. 어휘 함수의 목록 = 59 1. FL목록 제시 순서와 방법에 관한 및 가지 설영 = 59 2. 어휘 함수의 목록 = 61 C. 어휘 함수에 의한 어휘 기술의 의의 = 72 1. 언어학적 의의 = 73 2. MST 내에서의 FL에 의한 어휘 기술의 기능 = 74 3. 번역상의 잇점 = 82 D. 어휘함수의 몇 가지 문제점 = 84 1. 의미 분석 층위의 문제 = 84 2. 잉여성의 문제 = 87 3. FL의 성격의 다양성에 관한 문제 = 89 Ⅴ. 결론 = 98 참고문헌 = 101 부록 = 105 RESUME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785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어휘-
dc.subject텍스트-
dc.subject어휘기술-
dc.subject불문학-
dc.subject.ddc800-
dc.title<의미-텍스트> 대응 모형 속에서의 어휘 기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LA DESCRIPTION LEXICALE DANS LE MODELE <SENS-TEXTE>-
dc.format.pagev,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