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자연을 소재로 한 자수작품에 관한 연구

Title
자연을 소재로 한 자수작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WORK ON NATURE AS THE MATERIAL FOCUSED ON THE WORKS PROCESS THESIE EPITOME : Mainly based on the production of a work
Authors
박은미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자연자수작품작품제작NATUR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숙
Abstract
자연은 인간 각자마다의 의미있는 인생을 투영하여 바라볼 수 있는 세계이다. 인간은 자연을 통하여 내면을 살찌우고, 자연의 생명감을 통하여 자신의 삶에 새로운 힘을 공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자연의 세계는 그것을 관찰하는 사람마다 자신만의 독특한 의식과 생각에 따라 다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존재로 파악되기도 한다. 전통자수에는 우리 민족의 미의식과 정신적 상징의 가치를 지니는 자연주의적 성향을 띤 작품이 많다. 이러한 자연을 표현하기 위해 자수에서는 다양한 표현기법이 개발되어 왔으며 시대에 따라 다른 양식이 형성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세계에서 소외된 자아가 자연을 통해 회복되고 승화되는 계기를 찾고자 우리 민족의 미의식과 감정이 배어있는 자연을 형상화한 작품들을 살펴보고, 자연의 서정적 이미지를 바위와 나무라는 구체적 대상물을 등장시켜 표현함으로써 자수작품에 반영하여 미적 체험과 내면적 표현형식이 조화된 자연의 조형화를 추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국내외의 문헌을 통하여 자수작품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자연에 대한 관심을 미술사적 견지에서 고찰하였다. 또한 자연에 담긴 정신성과 형태, 공간의 개념을 해석함으로써 연구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고, 자연을 형상화하여 제작된 작품을 예로 제시하면서 분석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나무의 형상은 성장의 이미지로, 바위는 확산의 이미지로 의경화(意景化)하여 자연의 형상에서 얻어진 정신성의 표출을 주요과제로 삼아 표현하였다. 이러한 작품제작과 연구과정 결과 자연을 형상화한 자수작품을 제작 분석하여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을 표현대상으로 할 때 자연이미지에 가장 가깝게 부합되는 재료로서 천연재료의 사용이 적절한 효과를 줄 수 있었다. 둘째, 바위와 나무를 소재로 한 자연을 표현한 의도는 조형적 형성 면에서 뿐만 아니라 생성·소멸, 성장·확산의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하는데 적절하였다. 셋째, 바위표현에 있어서 무뚝뚝한 형태를 취하면서도 부드러운 율동적 곡선과 직선을 사용함으로써 강직함과 크고 웅장한 느낌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나무와 바위에 있어서 각각 중첩과 크기의 변화를 줌으로써 깊은 공간감을 얻었고, 주재료인 비단실 사용에 있어서 명암의 극적인 대비를 준 것은 원근감을 주는데 효과가 있었다. 넷째, 부드러움·섬세함·가변성·유연성을 지닌 푼사를 사용한 다양한 꼬임과 굵기의 활용은 바위의 질감(Texture)과 나무의 질감이 각기 다르게 표현되었으며 다양한 색상의 조화로 변화있는 양감의 효과가 있었다. 이렇듯 섬유예술의 독특한 재질을 살리기 충분한 자수작품은 표현재료와 방법의 확대, 또는 표현내용의 독창성을 통해 독자적 영역을 더욱 넓힐 수 있다고 보며, 이를 위해 부단한 연구와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Nature could be reflected in the human nature's thoughtful lifestyle respectively. Human natures not only shall be spiritualized through nature itself but shall get opportunities for strenghtening themselves through the nature's vivacity. Nature State should have been understood philosophically according to the observers respectively upon their specific and thoughtful consciousness. Traditional embroidery have been naturalized by the value of beauty and spirit in our people. As to depicting nature it self on embroidery works. Very different methods in depiction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depictingmanners are currently opinio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human natures, that is suffering agony with isolation between nature and society, with recognizing their identity from humanism.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the naturally descriptive works embedded with our peoples sense about beauty and emotional spirit, and also gives another opportunity to depict natural passions through trees and rocks symbol on the embroidery works for shaping nature itself upon the harmony of beauty and recognition. Theoritically, bibliography at home and sbroad are adapted to review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embroidery works, the concerns about nature is studied on the stand of fine arts' history. moreover, to interpret nature through its spirit, forms and spacious concepts, this study provides with naturally shaped embroidery works to be helpful with the meanings of the study. In the works, tree shape shall be depicted as an image of growth, recks as an image of proliferation to spiritualize nature. As a result of the works, research progress above, there are some epitomes as followings; First, to match with nature's true image, naturally prepared materials are mostly successful in the works. Secondly, the material image of trees and rocks are properly naturalized in the material shaping addivive with the image of generation, exhaustion, growth and proliferation. Thirdly, as for depicting rocks, it is well applicable to ger feeling of magneficence and spritefulness through the rhythmic curve, straight lines with its own rough shape. And overlapping images of tree and rock as well as differntiated sizes can get the feeling of space. Its subjective materia-silks are dffectively materialized to overdraw the prosplect vie in the shade of light and darkness. Fourth, various adaptive methods with different silk floss in its smooth, fineness, ariability and pliability as well as various floss twist in different thicks really differtiated the texture of rock and tree. The great colorful harmony can achieve the effects of voluminous quantity. Embroidery works which are provided with the special materials of textile art can broaden its own genre by the way of expansion in materials and developing its depicting methods or its specific creative imagination. For its purpose, endless efforts on research study must be go 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