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연령, 성별, 성역할 정체감 및 상황평가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 Title
- 연령, 성별, 성역할 정체감 및 상황평가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 Other Titles
- (The) Effects of Age, Gender, Sex Role Identity and Situational Appraisal on Coping Behavior
- Authors
- 박유정
- Issue Date
- 1993
- Department/Major
-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 Keywords
- 스트레스; 정체감; 성역할; 연령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김태련
- Abstract
- 본 연구는 연령 증가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평가가 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연구 1),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대처 행동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연구 2).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2-60세의 남,녀 300명으로, 연령범위 1)만 12-18세(청소년), 2)만 24-34세(젊은 성인), 3)만 40-60세(중년 성인)로 분류되었다.
연구 도구는 Folkman & Lazarus(1985)의 The Way of Coping Checklist를 김정희(1987)가 수정, 보완한 척도와 정 진경(1990)의 한국 성역할 검사(KSRI)를 사용하였다.자료는 T-검증, 일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1>
1. 전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문제 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 행동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정서 완화적 대처와 소망적 사고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2. 연령에 관계없이, 상황 평가(상실, 위협, 도전)에 따라서 대처 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3. 연령증가에 따른 대처 행동의 차이가, 상황 평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2>
1.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회적 지지 추구 행동에서는 남,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사회적 지지 추구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2. ① 양성적, 남성적, 여성적인 사람들이 미분화된 사람들보다 문제 중심적 대처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이를 남,녀별로 나누어 보면, 양성적인 남자들이 미분화된 남자들보다, 양성적, 남성적인 여자들이 미분화된 여자들보다 문제 중심적 대처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②정서 완화적 대처에서는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③ 양성적인 사람들이 미분화된 사람들보다 소망적 사고를 더 많이 사용했다. 이를 남,녀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남,녀에게 동일한 양상이 나타났다.
④ 양성적인 사람들이 미분화된 사람들보다 사회적 지지 추구 행동을 더 많이 했다. 이를 남,녀별로 나누어 보면, 남자에게서는 이와 동일한 양상이 나타났으나, 여자의 경우는 양성적, 남성적인 여자들이 미분화된 여자들보다 사회적 지지 추구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age and the individual's appraisal of the given situation has on coping behavior(Study 1); and to examine the different manifested coping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and sex role identity types (Study 2).
The subject of these studios were 300 males and females aged 12 through 60, who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1)adolescents(12-18); 2)young adults(24-34); and 3)middle-aged adults(40-60).
The methodologies used for the research were factor analyses on Folkman and Lazarus' (1985) Ways of Coping Checklist, followed by measurement method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Jung-Hee Kim (1987) and Jin-Kyung Jung's (1990) Korean Sex Role Inventory.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t-test and one-and two-way ANOVAs.
The findings of the above studies are as follows:
< Study 1>
1. In general,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behavior increased with age. However, no statist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regard to emotion-alleviative coping and wishful thinking across age groups.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appraisal of the situation(loss, threat, challenge).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age, given the appraisal of the situation.
1.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regarding problem-focused coping, emotion-alleviative coping, and wishful thinking, but there was suc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seeking behavior. That is females pursued more social support seeking behavior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2. 1) Androgynous, masculine, and feminine subjects showed more problem-focused coping behavior than undifferentiated subjects. A more detailed breakdown by gender showed that androgynous males and androgynous/masculine females did more problem-focused coping than undifferentiated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role identity types in regard to emotion-alleviative coping.
3) Androgynous subjects utilized wishful thinking more so than undifferentiated subjects. Identical tendencies were found for both genders.
4) Androgynous subjects sought more social support than undifferentiated subjects. This held true for males, while for females, masculine types (in addition to androgynous ones) also did more social support seeking than undifferentiated types.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