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숙재-
dc.contributor.author안향아-
dc.creator안향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1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2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4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20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환경보전을 위한 행동을 "소비"관점에서 구매. 사용, 처분으로 구분하고 행동상의 특성 및 실태파악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사회심리적 변인, 사회환경적 변인에 따른 환경문제 인식과 환경관리행동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환경보전을 위한 정보원을 체계화하고 기업의 마케팅전략과 정부의 환경정책·환경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명확한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물 위하여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사회심리적 변인, 사회환경적 변인에 따라 환경문제 인식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환경문제 인식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세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사회심리적 변인, 사회환경적 변인, 환경문제 인식 정도에 따라 환경권리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네째, 환경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문제 규명을 위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측정도구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검정하기 위한 실중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조사의 연구대상은 유의적 표본추출방법에 의하여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가정주부 494명을 선정하였고 설문지률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일원분산분석(ANOVA), F 검증, T검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문제 인식정도는 대체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주부의 학력, 주택형태, 내외통제성, 준거집단 영향력. 정보원 접촉빈도 및 관심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력이 놓을수록, 단독주택일수록, 준거집단 영향력이 클수록, 정보원을 많이 접할수록, 정보원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문제 인식정도에 대해서는 준거집단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정보원 접촉빈도, 단독주택, 정보원 관심도, 주부의 타력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환경관리행동에 있어서 구매행동은 평균 35.71점, 사용행동과 처분행동은 각각 34.57점, 36.85점으로 나타났다. 행동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환경보전적 구매행동에서는 연령, 주택형태, 사회활동지향성, 준거집단 영향력, 정보원 접촉 빈도, 정보원 관심도, 환경문제 인식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환경문제 인식정도의 영향력이 가장 컸고 다음은 준거집단 영향력, 정보원 관심도, 사회활동지향성의 순이었다. 구매행동에 대한 제 변인들의 설명력은 53.3%로 사용행동(16.4%), 처분행동(45.1%)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환경보전적 사용행동에서는 연령, 시간제약 지각정도, 준거집단 영향력, 정보원 접촉빈도, 정보원 관심도, 환경문제 인식정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준거집단 영향력. 환경문제 인식정도, 정보원 접촉 빈도, 연령의 순으로 준거집단 영향력의 설명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집단 영향력이 클수록, 환경문제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정보원을 많이 접할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적극적인 환경보전적 사용행동을 나타냈다. 환경보건적 처분행동에서는 학력. 취업유무, 월평균가계소득, 주택형태, 준거집단 영향력, 정보원 접촉빈도. 정보원 관심도. 환경문제 인식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이었다.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처분행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변인은 준거집단 영향력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환경문제 인식정도. 정보원 관심도, 정보원 접촉빈도. 주택유형, 연령순으로 나타났다. 즉, 준거집단의 영향력이 클수록,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정보원에 대한 관심이 클수록, 정보원을 많이 접할수록. 아파트에 거주하고, 연령층이 높을수록 환경보전적인 처분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매개변인인 환경문제 인식정도와 종속변인인 구매행동, 사용행동, 처분 행동에 미치는 사회환경적 변인의 설명력은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사회심리적 변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환경적 변인-준거집단 영향력, 정보원 접촉빈도, 정보원 관심도- 모두는 매개변인과 종속변인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특히 준거집단 영향력은 가장 큰 설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환경적 변인의 중요성이 규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환경보전을 위한 인식이나 행동은 외적환경인 사회환경적 변인에 의해 크게 영향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정보원의 경우에는 접촉빈도나 관심도가 환경문제에 관한 인식이나 실천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환경관련 정보원의 양적, 질적측면의 보강이 요구되었다. 특히 기업이나 정부에서는 높은 관심도를 나타낸 정보원-전문적 환경교육, 상업적(상품판매원, 점원 등)정보원에 촛점을 맞추어 주부들에게 정보접촉 기회를 제공한다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중매체의 보편성 때문에 전문성이 결여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환경관련 전문인을 통한 전문적 환경교육의 활성화도 필요하다. 따라서 환경정책 마련을 담당하는 관련기관에서는 학교를 통해 일반적인 환경관련 정보 보급은 물론 환경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전문인 양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보다 나은 생활환경 조성은 환경보전에 적극적인 준거집단자 그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즉, 준거집단이 환경보전에 적극적이라 함은 곧, 그 사회의 분위기가 환경보전에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이에 준거집단이 환경에 대한 인식과 행동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에 주목하여, 환경보전에 적극적인 준거집단 형성에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준거집단과 앞서 살핀 대중매체는 환경에 대한 관심 및 환경지식수준-인간과 환경관계, 심각한 환경문제 실태 등-과 환경보전을 위한 실천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정과 사회, 기업, 정부가 환경 보전적인 사회적 분위기 조성에 관심을 보이고 적극적으로 행동한다면 질적으로 향상된 생활환경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usewife's awareness of environment problems on environmental management behavior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housewife's environmental management behavior was composed of three activities - buying, using, dispos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composed of socio-demographical, socio-psychological and socio-environmental variable). The research issues were as follows: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ousewife's awareness of environment problem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al, socio-psychological and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2. How much are the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on the awareness of environment problems?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ousewife's environmental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al, socio-psychological and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and awareness of environment problems? 4. How much are the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on the housewife's environmental management behavior? For these purpose, a theore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by literature review and applied to empirical test.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aire those repondents were 494 housewives in Seoul. It was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ANOVA, F-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follows: 1.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education, type of residenc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frequencies of contacting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interesting in information. Among all of these variables affecting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had the highest effect and the next were frequencies of contacting information, type of residence, the degree of interesting in information, education in order. 2. The buying in aspect of environment preserv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age, type of residence, intention of social-activity,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frequencies of contacting information, the degree of interesting in information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Among at 1 of theses variables affecting the buying in aspect of environment preservation,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as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next were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the degree of interesting in information, intention of social-activity in order. The explainary power of those variable was more influential(53.3%) than using(16.4%) and disposing(45.1%) in aspect of environment preservation. The using in aspect of environment preserv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age, perception of time pressure,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frequencies of contacting information, the degree of interesting in information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Among all of theses variables affecting the using in aspect of environment preservation,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had the highest effect and the next wer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frequencies of contacting information, age in order. The disposing in aspect of environment preserv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education, housewife's employment, household income, type of residence,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frequencies of contacting information, the degree of interesting in information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Among all of these variables affecting the disposing in aspect of environment preservation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had the highest effect and the next wer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degree of interesting information frequencies of contacting information, type of residence, age in order. 3.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housewife's environmental Management behavior, socio-environmental variable was more influential than socio-demographical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 This fact implied that social mood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behavior were best way of welfare progress.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attributed to develop the efficient environmental information, more professional education of environment and the combination of personal-internal effect and social-external policy. In addition, further study of environmental concern is needed for an application of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and research meth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환경문제와 가정 = 5 B. 환경문제 인식 = 6 C. 환경관리행동 = 10 D. 환경문제 인식정도와 환경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14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문제의 설정 = 25 B. 측정도구의 구성 = 26 C. 조사대상 및 자료의 수집 = 32 D. 자료의 분석방법 = 32 Ⅳ. 결과 및 해석 = 34 A. 기초자료의 분석 = 34 B. 연구문제의 분석 = 45 Ⅴ. 결론 및 제언 = 64 참고문헌 = 70 부록 = 82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918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주부-
dc.subject환경문제인식-
dc.subject환경관리행동-
dc.title주부의 환경문제 인식정도가 환경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HOUSEWIFE'S AW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ON ENVIRONMENTAL MANAGEMENT BEHAVIOR-
dc.creator.othernameAhn, Hyang A-
dc.format.pagei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