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解體主義空間의 構成原理 및 디자인 特性과 造形的 接近方法에 關한 硏究

Title
解體主義空間의 構成原理 및 디자인 特性과 造形的 接近方法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structional Principle of Space,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Formative Approach in Deconstruction : Based on Jacques Derrida's philosophy of Deconstruction
Authors
이지윤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해체주의공간구성원리디자인 특성조형적 접근방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영걸
Abstract
무엇이 우리의 實際性인가? 그것은 매우 중요한 질문이다. 왜냐하면 思考와 槪念의 틀은 이 現實에 根源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우리가 보는 것, 듣는 것, 그리고 느끼는 것이 眞實이라 믿는다. 이것들을 통해서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事件들을 우연히 마주치고, 그것에 관하여 생각한다. 우리의 經驗이 우리의 사고와 개념의 기본위에 있는 정보로 변하기 위해서는 이런 경험적 증거들이 개념적인 眞理 혹은 知識으로 도출되어져야 한다. 다시 말하면 槪念과 思考는 記號(sign)에 의존하기 때문에 우리는 기호의 세계위에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생각은 記號體系(sign system) 혹은 言語體系(language system)에 의해 결정되어지고 이런 기호체계(sign system)는 실제세계를 記號(sign)로 도출한다. 記號와 言語의 限界 때문에 우리는 세상에 대한 우리의 知識과 觀點들에 대한 구체적 觀念들을 형성하지 못하는 것 같다. 實際性과 記號 사이의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 자끄 데리다는 우리들에게 差延, 相互,텍스트性, 不定性의 原理등을 形象的 언어로 전환시키고 있다. 만약 우리가 實際世界를 虛僞로 導出된 思考와 槪念속에서 디자인한다면 이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점이 아닐수 없다. 디자이너의 책임이란 그들의 실제삶의 바탕위에서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記號體系(sign system)와 言語體系(language system) 속으로 거슬러 올라가야만 한다. 그것은 우리의 思考와 槪念이 이에 근거하고 디자인이 우리의 사고와 개념에 바탕을 두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제와 기호간의 불일치성(inconsistency)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던 자끄 데리다의 해체주의는 플라톤 이후 서양철학이 哲學과 文學, 理性的 言語와 隱喩的 言語등의 二分法的 논리에 대항하여 음성중심주의(phonocentricism)를 '解體'하고 있다. 즉 언어는 주어진 言語體系內에서 다른 모든 단어들과의 관계, 특히 差異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고 우리의 지식과 사고의 틀을 한정짓는 언어체계는 관습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언어는 絶對的인 存在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解體主義理論의 학문적 목표는 전통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모든 것을 逆轉시키고 記號와 言語, 텍스트(Text), 컨텍스트(Context), 作者, 讀者, 歷史의 역할, 解擇의 임무, 批評形式등의 旣存의 槪念에 疑問을 提起하는 것이며, 명백히 구분되었던 範疇를 逆轉시킬뿐 아니라 對立項을 가능케 하였던 개념들까지도 解體하고자 한다. 이같은 논리가 建築과 室內디자인에 반영되면서 그 자신의 解體를 위해서 기존의 定義와 槪念들을 解體하고 이들은 旣存의, 秩序, 幾何學, 軸, 機能, 實用, 空間등의 용어에 대응하여 無秩序, 意味의 不確定性, 形態의 歪曲, 軸의 重量, 無目的的인 空間, 誇張된 形態등을 구사한다. 이때 나타나는 停滯는 多數的이며 散發的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논리는 多重的인 構成體系를 형성한다. 즉 해체주의 건축은 構造規則의 파괴, 主體의 消滅등의 논리가 반영되어 極度의 抽象性, 解擇不可能性으로 귀결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解體理論의 相互텍스트性이나 範疇의 擴張 연결되어 지는 多重인 構成體系는 建築의 深層構造의 多元化의 반영이 그 표면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形態論理는 탈장르 현상이나 形態 혹은 意味의 意味등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같이 解體主義建築의 辯別的 특징으로 나타나는 多重構造體系는 건축과 실내디자인에 있어 보다 폭넓은 思考와 領域을 확대시키는 토대를 구축하였으며 劃一的인 形態論理에 억압받지 않고 進步的인 態度로서 자신의 논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觀點에서 본 硏究는 解體主義 理論의 이해를 통해 해체주의 디자인의 特性 및 디자인 原理를 규명하고 실제 디자인을 통해 하나의 예로써 디자인 槪念과 디자인 方法의 틀을 제시하였다. 그 과정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解體主義理論의 形成 背景을 考察하였다. -서양철학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고찰한다. 특히 구조주의의 특성과 원리 糾明을 통해 限界點을 도출하고 구조주의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탈구조주의 理論이 現代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이해하기위해 포스트모더니즘의 개괄적인 내용과 解體主義와 關聯되는 철학적 논의를 살펴본후 탈구조주의의 意義와 特性을 考察한다. 2. 解體主義가 形而上學의 이분법적 사고를 해체하기위해 隨行하는 탈형이상학의 '탈'의 관점을 니체와 데리다를 통해 살펴보고 데리다가 그의 이론에 사용하는 용어들을 분석하였다. 3. 解體主義 建築과 실내디자인에 나타나는 공간구성의 特性을 考察하고 디자인 原理와 形態構成 特徵을 도출하였다. - 디자인 原理로써 기존 作品 分析을 통한 脫構成, 脫中心, 轉位, 變位, 分裂등의 부정성의 원리와 상호텍스트성, 불확정성의 원리, 자연과 형태의 유희를 도출한다. - 形態構成의 特徵으로써 방향성, 불연속, 부조화등을 표현하는 요소인 중첩과 기하학적 형태의 완전성에 대한 부정으로 나타나는 形態의 歪曲과 短篇化, 形象의 크기나 位置는 변해도 기본적인 屬性은 변하지 않는 Scaling의 변환을 고찰한다. 4. 디자인에 있어서의 解體的 어휘가 어떠한 형태로 表出되는지 실제 작가의 理論과 作品分析을 통해 디자인 槪念/形態 特性을 抽出함으로써 해체주의 디자인 사고가 형태로 표현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게하였다. -분석의 틀로써 해체주의 건축적 사고의 유무에 따라 해체주의 건축과 신구성주의 건축을 분류하고 解體主義 建築을내부로부터의 해체와 외부로부터의 해체로 나누어 특징을 考察하고 아이젠만과 츄미의 작품을 분석한다. 5. 이상에서 分析한 解體主義 디자인의 構成原理와 特徵을 바탕으로 解體主義 조형적 접근방법에 대한 하나의 예를 제시하였다. -디자인의 全過程에는 기존 개념의 解體에서부터 出發하여 槪念의 再創出을 시도하여 새로운 意味를 賦與하는 作業의 課程으로써 展開하였으며 근본적인 建築의 本質을 재해석하고 정체하지 않는 조형의 창출을 표현하고자 한다. -그 節次로써 디자인 槪念과 디자인 方法의 틀을 제시, 空間計劃에 適用, 分析, 綜合, 評價의段階를 밟는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 본연구에 있어 디자인은, 디자인의 본질은 정체되지 않고 무한히 발전된다는 견지에서 구체화 되었고 본 디자인은 완성된 개념을 담고있는 표현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발전되어가는 한단계에 있다는데서 본 디자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al design based on jacques Derrida's deconstruction. For the first step, this thesis analyzes several theories and works of some artists in order to clarity the relations among the notion of design, method of design and expression of design. Then, this thesis aim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the creative interior design. To transform our experiences to information, those experiences should be converted into theoratical facts of knowledge. Our thoughts, in fact, are dependent of 'sign' and we live in the world of 'sign'. Our thoughts are defined by 'sign system' or 'language system' and the real world is composed of sign. Owing to the limit which the sign and language have, it is not easy to substantiate our knowledge and view points towards the world. To expound the concept of the distance between 'existance' and 'sign'. Derrida adapts the terms such as differance, intertextuality and negative principles, and so on. If a designer creates on art out of the concept of fictitious thoughts, it is not right. A designer should design things based on real life. Then, how could we minimize the gap between our real life and architecture. To answer this question we have to understand the sign system and language system in advance, for our thoughts ore based on them and design is based on our thoughts. J. Derrida presented the metaphysical theory, so called deconstruction which show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gap. This new theory deconstructs the whole occidental philosophy as well as rational among words especially difference and language system which controls the rational world could be differentiated by social custom. After all, language is not reliable. Deconstructionists question the traditional concepts of sign, language, text, context, writer, reader, function of history and role of interpretation. Then, they convert and deconstruct the concepts in the end. Since the deconstruction has been applied to design, the former principles such as order, geometry, function, utility, space, transformed to disorder, unstability of meaning, distortion of form, superimposition and sporadic. That is,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to architecture is extreme abstraction and im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The mult-constructional system which characterizes the deconstructional design enlarges and the thoughts in architecture and provided the progressive and liberal method to i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thesis aims to bring force th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deconstructional design through the understanding on deconstruction and suggest the concept of design and outline of design method as an example through the practical design. The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is thesis examines the formative-period background on deconstruction. - Above all the whole trends in the history of occidental philosophy should be looked over. This thesis brings out the limits from th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constructivism. In order to know the position of de-constructivism at this modern time, this thesis inspects the general contents on Post-Modernism and philosophic aspects related to deconstrution before looking over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2. This thesis examines the view point of 'de'(slough off) on anti-metaphysical philosophy which deconstruction carry out for the purpose of deconstructing the thoughts divided into two from metaphysical philosophy and analyzes the terms that J. Derrida well uses his theory. 3. This thesis suggests, as diverse principles of design, the negative principles, such as decomposition, decentering, dislocate, displace and dissociation, intertextuality, uncertainty and the mischief of diffe´rance and form. This thesis makes researchs the superimposition which expresses a direction, decontinuity and disharmony, as a feature of form construction, the distortion and simplicity of form which is brought out a denial about a completeness of a geometric figure and the switch of scaling whose basical attribute doesn't change as though its scale or position changes. 4. This thesis graspes the process which the deconstructional design thinking is expressed as a form by extracting design concept and form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zing the theory and work of writer to examine that deconstructional words in design are showed how. Moreover, this thesis classifies into deconstruction and new construction building as deconstructional thinking exists for a frame of analysis, and divides deconstruction building into deconstruction from the inner and the outside, examines it charateristics and analyzes works of Peter Eisenman and Bernard Pschumi. 5.This thesis presents one example about deconstruction formative approach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ion principles and charateristics of deconstruction design analyzed in advance. That is, this thesis is unfold as a work course which starts in the deconstruction of exiting concepts, tries to recreate new concepts and endows new meanings to them, and reinterpretes the essence of construction fundamentally, expresses the creation of shape not being stagnant. In conclusion, this thesis presents the frame of a design concept and method and goes through the steps for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assessment in a space planning. Through these processes Researcher's design is emboded on Researcher's deconstructional think in view of essence of design is not stagnated but developing infinitely and this design's meaning is not an expression incorporating completed concept but one of steps developing continuous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