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高句麗 末 淵氏政權의 性格

Title
高句麗 末 淵氏政權의 性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Yons' Regime of Kokuryo at the 7th century
Authors
李輔惠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고구려말연씨정권연씨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申瀅植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e into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Yons' regime (淵氏政權) which came into the power of Kokuryo (高句麗) in the later part of the 7th century. It has been well-received in academin circle the view that its despotism and the failures of foreign policy facilitated the ruin of Kokuryo. But Yon-gae-so-mun (淵蓋蘇文), who took the helm of Kokuryo has been highly esteemed in terms of his positive policy against Tang (唐). This research will help renew the understanding about Yon-gae-so-mun and promote understanding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final days of Koguryo. The political situation from th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of Kokuryo was led by what is called aristocrats-coalition government (貴族聯立政權). It was politically divided with the conflict between Guk-nae aristocratic group (國內系 貴族勢力) and Pyung-yang aristocratic group (平壤系 貴族勢力). Both of the two powers got imbroglioed in political strife surrounding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from King An-jang (安藏王) to King Yang-won (陽原王), and controlled the political system of King Young-yang (□陽王) and King Young-ryu (榮留王) period. This aristocrats-coalition government was collapsed by the coup of Yon-gae-so-mun in 642. The coup was the consequence of the conflict between the King Young-ryu representing Guk-nae group and Yon-gae-so-mun with the support of Pyung-yang group. Yon-gae-so-mun tried to suppress local counterforces in his regime's early period and strengthen the grip on religious power group and intellectuals that had a hand in the counterforces. After all, he was able to form despotic "Yons' regime" by elevating his sons to important positions and taking office himself as Tae-mak-li-ji (大莫離支), Tae-dae-dae-ro (太大對盧). The emergence of this dictatorial power finally destroyed the established aristocrats-coalition government. And not only Guk-nae group but also Pyung-yang group which had given support to Yon felt alienated from the center of power, and the resulting political conflict was deepened. In the mean time , the straine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kuryo and Tang led to the military alliance of Silla (新羅) and Tang against the alliance of Kokuryo and Paekj ae (百濟). While Yons' regime confronting the impending war crisis stroke out with diplomatic efforts, it took the position as the sole resistant leader against Tang with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that Kokuryo was the most powerful nation in the northeastern Asia. Nevertheless, Yons' regime lacked th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of world order forming in east Asia , neglected to reach the final negotiation with Silla , and failed to estimate the possible alliance between Silla and Tang and to cope with the shifting situation. However, Kokuryo and Paekjae strengthened the cooperation against Silla , but it did not offer substantial defences to each other in the peak of Tang and Silla's aggression. Kokuryo could not avoid the siege state after the fall of Paekjae in 660, which resulted in the separation of local groups (地方勢力) and the disruption of differnt aristocratic classes. Thus one may conclude that Yons' regime sprung from the conflicting power struggles different aristocratic powers and the power-grabbing complications of the involved royal rights , could not overcome those disrupting forces, and showed the limit of maintaining only privileges of his family.;이 논문은 7세기 말 고구려 멸망기의 집권층이었으며, 흔히 무단적인 정치운영과 외교정책의 실패로 인하여 고구려 멸망을 재촉한 것으로 평가되는 淵氏政權의 성격을 고찰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연개소문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하고 고구려 멸망기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6세기∼7세기 초 고구려의 정치상황은 貴族聯立體制였으며, 그 운영의 핵은 國內系 귀족세력과 平壤系 귀족세력간의 대립이었다. 이들은 安藏王∼陽原王으로 이어지는 왕위계승을 둘러싼 政爭에 개입하고 영양왕, 榮留王代에 이르기까지 세력 대결을 벌이면서 고구려말기의 정치운영을 좌우하였다. 이러한 귀족연립체제는 642년의 淵蓋蘇文의 정변에 의해 붕괴되었다. 연개소문의 정변은 왕권의 재확립을 위해 국내계 귀족세력과 손을 잡았던 영류왕과 누대의 특권을 유지하려 한 연개소문 및 평양계 귀족세력과의 대립의 결과였다. 연개소문은 정변 초기에 지방세력의 진압에 힘을 기울이고, 종교 사상계에 대한 통제책을 강화하면서 자신의 독재기반을 다지다가 본격적으로 寶藏王 10년을 전후하여 자신의 아들들을 요직에 등용시키고 보장왕 20년경에는 기존의 관위를 초월한 太莫離支, 太大對盧에 오름으로써 왕권을 허구화시키고 독자적인 '淵氏政權'의 형성에 성공한다. 이와 같은 연씨정권이라는 私的 權力의 등장은 귀족연립정권의 정치기반을 붕괴시키는 것으로, 국내계 귀족세력들마저 권력의 중심부에서 소외되면서 갈등이 더욱 심화되었다. 한편 이 시기 대외관계를 둘러싼 긴장은 더욱 격화되어 이는 羅唐의 연합, 麗濟의 連和라는 대결구도로 좁혀졌다. 연씨정권은 대당관계에 있어서는 전쟁의 위기속에서 외교적 노력을 다하는 한편, 동북아시아의 최강자라는 전통적 인식을 대변하여 대당외교에서 강경하고 당당한 자세를 보여 항전의 지도자로서의 위치를 가졌다. 그러나 동아시아 세계질서의 대변동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갖지 못하고 신라와의 외교교섭을 결렬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나당의 연합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백제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일면 군사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신라를 압박하는데는 성공했으나, 상대국인 당과의 전쟁을 벌일 때에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소극적인 자세를 띠는 한계를 보였다. 결국 660년 백제가 멸망하게 되자 고구려는 외교, 군사상의 고립을 맞게되고 대내적으로는 지방세력의 이탈, 귀족들의 분열속에서 결국 나당전쟁에서 패하게 된 것이다. 결국 연씨정권은 귀족세력 내부의 모순과 왕권과의 갈등에서 출발하여, 끝까지 이러한 분열의 양상을 극복하지 못하고 오히려 자신의 가문의 특권을 계속 유지하는데 치중하는 한계를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