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존재의 표상으로서의 대립적 구성

Title
존재의 표상으로서의 대립적 구성
Other Titles
(The) Opposed Composition as the Representation of Being
Authors
윤인정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존재표상대립구성서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희영
Abstract
The social structure has constrained human being in history, but the more systematized society limits individuals and gives them many kinds of pressure. This pressure from the society leads artists the momentum of paint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human being and to create new forms of art as the representation of being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Now the advanced technology and information form the society differentiated and pluralistic. Therefore it is hard for the contemporary men to adopt themselves to the speedily changing society. At this monent, she/he experiences the opposition between the conflicting society and herself/himself. However the opposition doesn't distinguish the modernistic binary distinction because this concept of opposition is expanded to the postmodernistic experience of conflicting society. So I tried to overcome the narrowness of modernistic opposition and to express the various experience of human in the conflicting and pluralistic society as the expanded oppostion. The confusion of the theory in painting in the 20th century appeared with the decline of the belief in Modernism. At the same time postmodernism appeared as the resistance to the minimalism and pure art. Generally the postmodernism is considered to be a movement against the minimalism and the abstract-expressionism. And many artists criticized the shortcoming of each other. But I accepted both contradictory art forms as the method of expression and the content of my work respectively, then they can be the complementary means for each other. As the explicit and implicit meaning of the work, I accepted the comprehensive attitude and the psychological and internal interest of postmodernism. And as the method of creating work, I explored complexsively the openness of space of the abstract-expressionism and the geometric elements of the minimalism. For the specific methods above mentioned, I made use of the shaped canvas to the sense of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accepted the expressionistic touch and symmetrical forms to emphasize the contrasting elements. In the conclusion, I suggest that the opposed composition as the representation of being is the adequate form to express the contemporary sensibility and self-awareness. To develope this study further, I will continue to explore various methods of painting to represent the experience of human being living in this world.;오늘날의 다양하고 복잡한 예술사조의 생성과 변혁은 예술가들로 하여금 자유로운 창조적 작업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현대를 살아가는 예술가로서 현세계에서 반영되는 인간의 내면적인 감수성을 표현하는 예술활동은 인간존재의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는 의지에 기인한다. 따라서 예술의 존재는 인간의 삶이 현실세계와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간 자신의 실현과 극복을 향한 경험적 요소들을 재료로 하여 예술로 승화되며 상호대립적, 상호조화적인 자기존재의 증명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20세기 추상 회화는 추상표현주의의 서정추상과 기하학적 추상의 대표적인 표현양식의 흐름으로 볼 수 있다. 주관적인 내면세계를 추구하는 전후 추상표현주의와 앙포르멜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난 팝아트, 하드에지, 색면추상, 미니멀 아트에 이어 70년대의 신표현주의에 이르러 '다원주의'라는 문화이념을 여는 포스트모더니즘까지 지속과 변혁의 양상을 띠고 전개되어 왔다. 이와같은 의식전환의 내재적인 원인은 의식의 다변화와 더불어 모더니즘의 폐쇄성과 자각, 주체에 대한 각별한 존재의지로서 본인이 다양한 작업을 모색할 수 있는 원리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인은 어떤 주도되는 사조로 규정되지 않는 자각적인 작업에로의 태도로 삶의 경험 속에 내재하는 독자적인 세계를 발견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추상이라는 방법을 선택하면서 Jackson Pollock(1912∼1959)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무의식적인 dripping과 터치의 표현적이고 본능적인 기법을 본인의 작업과 비교하여 보았고, 미니멀 회화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형태를 부분적으로 도입하여 적극적인 제작방법으로 Frank Stella(1936∼)와 연관하여 변형캔바스 (Shaped Canvas)로의 필연성을 고찰하였으며, Robert Longo (1953∼)의 혼합, 절충적인 화면구성과 내용성을 비교하여 본인의 작품세계의 의미를 찾아보았다. 위와같은 작품제작의 의도와 내용성, 그리고 제작방법을 통해 본인은 인간과 사회의 대립적이면서 상호존립적인 상황속에서의 존재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는 데에 예술적 의의를 두고, 보다 자유롭고 미래지향적인 작업방향으로의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