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社會科 文化敎育의 內容分析에 關한 硏究

Title
社會科 文化敎育의 內容分析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Cultural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Authors
朴銀淑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사회과문화교육내용분석사회과 교과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田淑子
Abstract
The emphasis on communitavianism and world nation consciousness has never been more prevalent as it is today in the modem society of openess,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age in preparation for the coming 21st century. Presently we are faced with the task of prot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our culture while concurrently adapting to the international scene. The role education plays in developing the leaders of society has always been great, especially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is a necessary passage of rite for the cultivation of rational and humane citizens participating in a culturally diverse democratic society. This study purport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ol studies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cultural education of social studies taught in Korean schools so far, and to direct cultural education towards adapting to the manisfestation of international modern times to come in the 21st century. A thorough analysis of the sociol studies textbooks utilized since the 1st educational phase until the 5th and present stage encompassing contemporary education in Korea was carried out. For each of the phases, the analysis was verified by x^(2) test(Chi-Square) and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within it's own boun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e volume and content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subject each phase, the dorrelation with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and the explanation of content by objectives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rtion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general social studies is rather small during all 5 phases of the education process. It is follows that in Korea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has been undervalued. Through the x^(2) test, it was found that excepting the first stage of the educational process, that analyses on all 4 educational processes display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tent and proportion of cultural education. Secondly, although the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filter through the cultural anthropological approach and the multicultural and cross-cultural educational, perspectives, the major concepts pertaining to the content is very limited and are not sufficienthy exphained nor adequately addressed in all grade levels. Also the cultural educational content and the proportional attention allotted was not balanced between different grade levels. Thirdly,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 was evaluated as prejudiced and made quate in reflecting the socio-cultural situation of the times for each educational process phase. Fourthly, proportions of explanations on content matter according to objectives showed an absolute dominance of contents concerning knowledge and the thought process. In contrast, functions, attitude and values were seldom represented.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tasks were put forth in order to improve upon the reality of education in Korea and to update the cultural education with in social studies. First, the proportion allotled to 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increased to parallel those of other sections with in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Second, a strategy to educate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must include all grade levels beginning in grade school and dontinning on to highschool, while dealing effectively with the major concepts which appear in cultural education presented by the cultural anthropological approach, multicultural and cross-cultural perspectives. Finally, cultural education must teach functions, attitude and ralues as well as strive to be knowledge-oriented and school education must oe a forum presenting great opportuinties for experieucing varions cultures.;21세기를 눈앞에 둔 현대 사회는 국제화, 개방화, 정보화되어가는 사회로 지구촌 공동체 의식과 세계시민 의식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의 문화적인 특성을 보호하고, 국제적 적응력을 키워나가기 위해 우리는 다가올 시대에 요구되는 안목과 태도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주인공을 양성하는 데는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교육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사회과 교육에서는 이에 발맞춰 점차 상호의존적이고 문화적으로 다양한 민주사회에서 인간적이고 합리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을 기르게 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지금까지 한국의 사회과에서 문화교육을 살펴보는 한편, 오늘날 시대적·국제적 상황과 앞으로 다가올 21세기 사회에 조응하는 바람직한 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현대교육의 시발점인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제5차 교육과정까지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검토해 보았다. 각 교육과정별로 분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x^(2)검정(Chi-Square)을 실시했고, 그 분석한 결과는 교육과정별로 해석하였다. 교육과정기별로 전체 사회과 교육에서 문화교육에 관련된 내용과 비중에 관한 분석, 시대별 사회·문화적 특성과의 관련성, 목표별 내용 서술 비중 등에 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차 교육과정기부터 제5차 교육과정기까지의 문화교육이 전체 일반사회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사회과 교육에서 문화교육이 중요하지 않은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x^(2)검정을 통해 볼 때 제1차 교육과정기를 제외하고는 각 교육 과정기별로 분석에 관련된 변수들간에 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어 각 교육과 정기별로 문화교육에 관한 내용과 비중의 분석이 의미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문화에 대한 내용이 문화인류학적 관점과 다문화교육·이문화이해 교육적 관점에서 대부분 나타나고는 있지만 그 내용에 해당하는 주요개념은 매우 한정적이어서 문화에 대한 주요개념들이 학년간에 골고루 다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또한 학년별로 볼 때 문화교육에 관한 내용과 그 비중이 균형적이지 못했다. 셋째, 문화교육의 내용이 교육과정기별로 그 시기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내용이 편중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네째, 목표별 내용 서술 비중을 볼 때 모든 교육과정에서 지식과 사고과정에 대한 내용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그에 비해 기능이나 태도 및 가치에 대한 내용은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우리 문화교육을 바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가오는 미래사회에 조응하기 위해 문화교육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과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비중이 다른 사회과학적 내용과 비슷한 수준으로 높아져야 한다. 둘째, 문화교육에서 그 내용이 문화인류학적 관점과 다문화교육·이문화 이해교육적 관점에서의 모든 주요개념들이 골고루 다루어지고, 또한 국민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그 내용이 단계적으로 학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기능과 태도 및 가치를 습득할 수 있는 문화교육이 되기위해 지식위주의 문화교육을 지양하고 학교교육에서도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도록 교육방법을 개선해야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