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일상생활의 행위유형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일상생활의 행위유형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Routine Activity/Lifestyle and Victimization
Authors
강은영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일상생활행위유형범죄피해Routine ActivityLifestyle Theor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동원
Abstract
범죄학 이론의 최근 추세는 많은 범죄학자들이 범죄발생의 사회적, 시·공간적 특성을 설명하는 범죄피해이론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일련의 범죄기회 이론(Routine activities, Lifestyle/Exposure and criminal opportunity Theories of victimization)의 이론적 기저에 깔려있는 '구조적 선택 모델 (Structural-Choice Model)'의 이론적 적합성을 한국의 범죄피해에 관한 연구에 적용하고자 한다. "일상행위/생활양식 이론(Routine Activity/Lifestyle Theory)"에 따르면 범죄율의 추세는 사회 구성원들이 매일매일의 생활 속에서 행하는 일상적인 행위유형에 있어서의 변화로 설명되어질 수 있다. 이 이론이 가정하고 있는 기본적 전제는 어떤 유형의 일상적인 행위유형이나 생활양식, 예를 들어 저녁시간에 자주 외출을 한다거나, 낮 시간에 집밖에서 주로 활동하는 일과 같은 일련의 행위들은 잠재적 범죄자와의 접촉 가능성을 높이고, 범죄 목표물의 가시성(visibility)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범죄행위를 저지할 보호자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다른 행위유형보다 범죄피해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일상행위/생활양식 이론(Routine Activity/Lifestyle Theory)"의 적용을 통하여 '인구학적 변수'와 '일상행위 변수'가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데에 있다. 그 구체적 연구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일상행위/라이프스타일 이론"의 적용을 통하여 1) 범죄피해경험이 사회적으로 차별화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한다. 2) 어떤 일상행위 구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더 높은 범죄피해위험에 처해있는지를 설명한다. 3) 개인의 인구학적, 일상행위 구조적 특성이 범죄유형별로 범죄피해율을 차별화시키는 현상을 분석한다. 4) 범죄피해 연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1991년 2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 의해 실시된 '서울시 범죄피해조사' 결과 얻어진 데이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인구학적 변수'로는 응답자의 성별, 연령, 학력과 조사대상가구의 월평균 가족수입이 사용되어졌으며, '일상행위구조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낮 시간의 주요행위유형, 저녁외출 빈도, 여가 활동, 그리고 범죄예방행위의 4가지 변수가 선택되었다. 종속변수는 조사대상자 또는 조사대상가구가 지난 5년간 재산범죄피해나 폭력범죄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는가 하는 것이다. 재산범죄는 개인 절도, 가구 침입절도, 자동차 절도, 자동차 부품 절도및 손상의 4가지 범죄유형을 포함하고 있고, 폭력범죄에는 폭행/협박, 성폭력, 개인 강도, 가구 강도의 4가지 범죄피해 유형이 포함된다. 본 연구는 분석의 기초적 단계로 이러한 각 인구학적 집단별과 일상행위 유형별로 재산범죄피해와 폭력범죄피해에 나타나는 차별성을 분할표(Chi-square 분석)를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또한 보다 본격적인 분석을 위하여 다변량 로짓 모형(Multivariate Logit Model)과 위계적 대수선형모형(Hierachical Loglinear Model)을 이용하여 일상행위 변인이 인구학적 변인이 범죄피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일상행위 구조에 따라서는 재산 범죄피해와 폭력 범죄피해 모두 유사한 범죄피해유형을 나타냈으며, 일상행위이론과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낮 시간에 집밖에서 주로 활동하는 학생이나 직장인은 재산범죄피해율은 거의 비슷하나 폭력범죄에 있어서는 피해율이 훨씬 높다. 저녁 시간에 외출을 자주하고 집을 비우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 보다 재산, 폭력범죄 피해율이 약 1.5배 높다. 특히 범죄예방 행위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보여지고 있는데 범죄예방행위를 적게 하는 사람은 많이 하는 사람들에 비해 약 3배의 폭력범죄피해를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구학적 변수에 따라서는 재산, 폭력 범죄피해에 따라 다소 상이한 피해율이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성폭력을 제외한 7가지 범죄피해유형 모두에서 남성이 피해율이 높다. 특히 폭행/협박의 경우에는 남성이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폭력범죄의 경우에는 가설에서 설정되어진 바와 같이 30대 미만의 사람들이 30대 이상의 사람들보다 무려 4배 더 많은 범죄피해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산범죄 피해의 경우에는 오히려 연령이 높은 집단이 피해율이 높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소매치기등의 개인절도 범죄피해를 이 연령층이 많이 당하기 때문에 결과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월평균 가족수입이 높은 집단과 학력이 높은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재산범죄, 폭력범죄피해를 많이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들이 범죄대상물로서의 장점(target attractiveness)을 더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여지는데, 특히 상황적인 영향보다는 범죄자의 합리적인 선택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재산범죄의 경우에는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보여지고 있다. 보다 본격적인 분석을 위하여 <표 6-1>에서 제시된 이분화된 독립변수들을 이용한 대수선형모델을 통하여 재산범죄와 폭력범죄의 범죄피해 가능성이 측정되었다. 가설 (3)의 '일상행위의 구조가 인구학적 변인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한다'에서 설정되어진 일상행위 변인의 매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세가지 위계적 대수선형모형(Hiloglinear Analysis)이 사용되었다. 각 분석 단계별로 LRX^(2)(Likelihood ratio chi-square)와 각 변수별로 준거집단에 대한 상대적 승산비(relative odds ratio)가 제시되었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인구학적 변인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만을 측정하였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인구학적 변인과 일상행위 변인 모두가 포함된 모델 분석을 통하여 이들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세번째 단계에서는 두번째 단계를 확대하여 일상행위 변인과 인구학적 변인간의 two-way interaction을 분석함으로서 두 변인들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재산범죄의 경우에는 MODEL Ⅱ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일상행위 요인이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MODEL Ⅲ의 결과를 종합할 때 일상행위요인은 인구학적 변인이 재산범죄피해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황적 조건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폭력범죄의 경우에는 인구학적 변인과 일상행위 변인의 통합효과와 비교하여 볼 때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의 향상을 보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폭력범죄의 경우에는 일상행위 요인이 인구학적 변인에 미치는 매개적 역할이 매우 약하다고 볼 수 있다.;Several Changes in the opportunity structure and activity patterns in Korea have taken place in recent years. There are have been major increase in out-of-home travel, single-person households, college attendance and labour force participation among women (especially married women), and the percent of households left unattended during the day. The market for durable consumer goods (e.g., televisions, stereos/radios. tape recoders) has increased because of changes in the age structure ,and the ri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 portability of these products (through decreasing size and weight) has also increased since the early 1960s. Criminologist have increasingly turned to theories of victimization tp explain the soci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rime, A basic premise underlying routine activities/lifestyle theories is that these changes in activity patterns increase target suitability and decrease guardianship, and therefore affect the soc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victimization. Criminal-opportunuty theory suggests that offenders make rational choices and thus choose targets that offer a high reward with little effort and risk. A large part of this theory focuses on how variations in life style or routine activities affect the opportunities for crime. Routine activities are assumed to influence crime rates by affecting the convergence in time and space of the three elements necessary for a crime to occur: motivated offenders, suitable targets, and the absence of capable guardians. Opportunity theory argues that when routine activities are constrained to the home, the home becomes a secure environment. People become guardians of it, of its possessions, and of each other. The dispersion of routine activities away from home provides a suply of suitable targets that lack capable guardians. What makes criminal opportunity theory interesting is that it suggests that we can account for crime wuthout having to focus on why people commit illegal acts or why they are motivated to love conventional lives. Assuming a nonzero level of criminal motivation, variability in crime is explained by variation in structural conditions that create opportunity for its occurence. Crime occur because people or goods are exposed, unguarded, and viewed as attractive to commit crimes, fail to direct people to noncriminal pursuits or provide inadequate socialization experences. Thus criminal opportunity is not a theory of criminal motivation or conformity; rather it is a theory of victimization that explains how variation in social structure allows criminal motivations to be expressed more easily. But traditional theories of criminality emphasize those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control and criminal motiva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key concepts underlying victimization theories( i. e. , exposure, guardianship, target attractiveness). Measures of each concept are developed and evaluated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explain individuals' risks of property and violent crimes, Using data from 2,000 respondents in the 'Seoul Victimization Survey', mixed empirical support is found for the structural choice model underlying current victimization theories. Specially, the demographic variables ( sex, age, family income, and education) and the routine activity variable( daytime activity, nighttime activity, leisure activity and fear of crime)are examined. Given dichotomous dependent variables, a series of logit models was estimated to predict the likelihood of violent and poverty victimization. Specially, three hierarchical loglinear models were estimated for each type of victimization in order to assess the mediational effects of routine activities variables: (1) a model including only the direct effect of the demographic and routine activitues variables (M1): (2) a model in which the direct effects of both routine activities variable are added with demographic variables (M2): and (3) an extention of model 2 that includes all two way interactions among each routine activities variables and each demographic variables (M3). The relative odds and the likelihood ratio chi-square test of the fit of models for each type of victimization are presented.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on the correlates of property victimization, Mode1 1 reveal that the odds of property victimization are higher in persons who are male and relatively have high-income. But the old have higher odds of proverty victimization than young. Inclusion of ,esures of routine activities/lifestyle in the estimated model yielded several results consistent with expectatons (MODEL2) Both activity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dds of property victimization, with those who had nighttime activity and those whose major activity was performed outside the home having relatively greater risks. Second, the overall fit of the model of property victimization was substantially improved when the activity variables were included (LRX^(2) Ⅰ-Ⅱ=116.9, df=14, p<.00l). Third, the net effects of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were reduced in magnitude and significance when the routine activity/lifestyle variables were included. While not significantly improving the fit over Model 2, Model 3 shows several significant interactions among the demographic and activity/lifestyle variables. Specifically, differetial risk of property victimization on the basis of the frequency of nighttime entertainment was great among man than woman , whereas the effects of the location of daily activities was greater among the young than the old. Thus coupled with the results of Model 2, differences in routine activities /lifestyle have notable direct effects and condition the impact of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likelihood of property victimization. Consistent with other studies on correlates of violent victimization , Model 1 reveals that the odds of violent victimization are higher among high-income persons, the young. But woman have higher odds of proverty victimization than male. However this model, which contains only the main effects of demogrphic variables. does not adequeately represent the observed data. Model 2, which includes routine activities/life style variables, improved the fit over Model 1 (LRX^(2) Ⅰ-Ⅱ=46.72, df=4, p<.00l) but did not change the affects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Infact, the odds of violent victimization for each social group remained quite stable across each model. However persons who spend relatively more time engaged in nighttime activity have higher odds of violent victimization than less active person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type of major daily activity. Several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observed when all two-way interactions among each demographic and routine activity/lifestyle variable were included in the model of violent victimization (MODEL 3). However a comparison of Model 2 and 3 reveals that the inclusion of the joint effect of demographic and lifestyle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the overall fit of the model (LRX^(2) Ⅱ-Ⅲ=9.65, df=12, p<.10). Thus both in terms of reducing the direct effect of the demogrphic variables and the lack of strong interactive effects, there is little support for the mediational role of routine activity/lifestyle variables on the demographic correlates of violent victim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