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종선-
dc.contributor.author방지선-
dc.creator방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9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987-
dc.description.abstractAccording to social learning theory, three general factors have been found to mediate the socialization process: the personal attributes of socializee, the socializaing agents or significant others, and socialization situation. The social learning approach places greater emphasis on the latter two factors because it is believed that cultural contents and social context interact with an individual's personal attribut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al attributes(sex, age, occupational prestige, educational level, income, sport aptitude, and sport attitude), socializaing agents(parents, siblings, spouse, peers, teacher in school year community neibourhood), and socialization situations(opportunity to use of family, school, village, community public and private sport facilities, community sport environment, school sport environment in school year, personal relation to mass sport, and distance to the mass sport facilities from one's house), based on the assumption of social learning theory.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is study consist of fixed-alternative choice response to itemsconstructed to represent the operational definition for each variable. The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five hundred and ninty-two male and female adults. Statistics employed for data analyses were t-test, Chi-square test,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ppear warrented: 1. Personal attributes influencing involvement in mass sport are sex, age, educational level, sport aptitude, and sport attitude. 2. Socializing agents influencing involvement in mass sport are siblings, spouse, peers, teachers in school year, and community neibourhood. 3. Socialization situation influencing involvement in mass sport are opportunity of using in school, villages, community public and private sport organizations, and physical distance to the mass sport facilities from one's house.;본 연구에는 피사회화자의 개인적 속성, 사회화 주관과나 중요타자, 그리고 사회화 상황 등과 같은 세가지 일반적 요인이 특정 개인의 스포츠 참가 결정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사회학습 이론에 기초하여 일차적으로 이들 요인이 생활체육 참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생활체육 참가 과정에 대한 사회학습 이론적 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92년 현재 서울시내 22개 구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생활체육 교실 참가자와 생활체육 참가 경험이 없는 일반성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체계척 유층집락무선 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생활체육 참가자 235명, 비참가자 357명 등 592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활체육 참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학습 이론적 관점에서 측정하기 위하여 임번장 등(1986, 1987), 김종선(1987), 이종영 등(1989,1991), 그리고 김수임(1991)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와 McPherson(1972), Greendorfer(1974), Bohren(1978), Givi(1982)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 내용 중 사회학습 이론과 관련된 설문문항을 기초로 하여 <생활체육 참여 실태 조사>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 초안은 예비검사를 통하여 설문 대용의 적합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다음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이를 수정하여 본조사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 기법은 상관관계 분석과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이었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사회학습 이론적 관점에서 가정하고 있는 요인이 생활체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유도할 수 있었다. 첫째, 생활체육 참가와 관계가 있는 개인적 속성은 성, 연령, 교육수준, 운동 적성, 스포츠 태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생활체육 참가 경험, 빈도, 강도가 높고, 연령이 낮을수록 생활체육 참가 경험과 빈도가 높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을수륵 생활체육 참가 기간이 많으며, 자신의 운동적성을 높게 평가할 수록 생활체육 참가 경험, 빈도, 강도가 높고, 스포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생활체육 참가 경험과 기간이 많다. 둘째, 생활체육 참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 주관자는 배우자, 지역사회의 주민 및 이웃, 친구, 학창시절 교사, 형제 자매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배우자와 지역사회의 주민 및 이웃의 영향이 클수록 생활체육 참가 경험, 빈도, 강도가 높은 반면, 친구의 영향이 클수록 생활체육 참가 경험 및 빈도가 높다. 또한 형제자매의 영향력에 클수록 생활체육 참가 기간이 긴 반면, 학창 시절 교사의 영향력이 클수록 생활체육 참가 강도가 높다. 세째, 생활체육 참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 상황은 사설 체육시설 이용기회, 학교체육 시설 이용기회, 동네 체육시설 이용 기회, 공공체육시설의 이용 기회, 생활체육 시설의 근접성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사설 체육 시설 이용 기회가 많을수록 생활체육 참가 경험, 빈도, 기간, 강도가 높으며, 학교 체육시설 이용 기회가 많을수록 생활체육 참가 경험, 빈도, 강도가 높다. 또한 동네 체육시설 이용기회가 많을수록 생활체육 참가 경험 및 강도가 높으며, 공공체육시설 이용기회가 많을수록 생활체육 참가 강도가 높다. 한편 생활체육 시설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활체육 참가 기간은 많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표목차 = ⅲ 그림목차 = ⅴ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생활체육의 개념 = 4 1. 생활체육의 정의 = 4 2. 생활체육의 의의 = 6 B. 생활체육 참가 이론 = 7 1. 사회학습이론 = 7 2. 사회역할-사회체계 이론 = 9 3. 역할이론 = 11 C. 생활체육 참가 요인에 대한 사회학습이론적 접근 = 13 1. 개인적 속성과 생활체육 참여 = 14 2. 사회화 주관자와 생활체육 참여 = 18 3. 사회화 상황과 생활체육 참여 = 24 Ⅲ. 연구 변인 및 가설 = 27 A. 개인적 속성 = 29 B. 사회화 주관자 = 33 C. 사회화 상황 = 35 Ⅳ. 연구방법 = 39 A. 표집 = 39 B. 도구 = 40 1. 설문지의 구성 = 41 2. 설문지의 타당도 = 45 3. 설문지의 신뢰도 = 50 C.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 53 1. 조사 절차 = 53 2. 자료처리 = 53 Ⅴ. 결과분석 = 54 A. 전체 변인의 생활체육 참여 경험에 따른 기술 통계 = 54 B. 개인적 속성과 생활체육 참여 = 56 C. 사회화 주관자와 생활체육 참여 = 60 D. 사회화 상황과 생활체육 참여 = 64 Ⅵ. 논의 및 결론 = 69 A. 논의 = 69 B. 결론 = 77 참고문헌 = 79 ABSTRACT = 89 부록 = 91 A. 설문지 = 92 B. 설문지 코딩 지침서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238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생활체육-
dc.subject요인-
dc.subject사회학습-
dc.subject이론적 분석-
dc.subject.ddc700-
dc.title생활체육 참여 요인에 관한 사회학습 이론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ocial learning theoretic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mass sport participation-
dc.creator.othernameBang, Jee-Sun-
dc.format.pagev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