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금-
dc.contributor.author유준호-
dc.creator유준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7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8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80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Dewey와 Froebel의 유아교육론을 살펴보고, Dewey의 관점에서 본 Froebel의 유아교육론을 Froebel의 교육원리를 기반으로 한 실험 학교의 실제를 통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Dewey 유아교육론 및 실험학교의 운영의 실제는 무엇인가? 2. Froebel 유아교육론 및 실험학교의 운영의 실제는 무엇인가? 3. Dewey의 관점에서 본 Froebel 유아교육론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서 Dewey의 저서들과 Dewey의 사상을 다룬 국내외의 연구서와 학위논문 그리고 학술잡지들을 참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Dewey는 유아를 개성적인 존재인 동시에 사회적인 존재로 보았고,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성장하는 존재로 보았다. Dewey의 성장이라는 용어는 어느 단계에 가서 완성되거나 정지되는 것이 아닌 끊임없는 계속적인 성장이다. Dewey는 놀이란 아동의 흥미에 생활과 관련된 자유놀이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Dewey의 교육과정은 경험중심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Dewey에 의하면 교육과정은 아동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어야 한다. Dewey는 교사란 아동이 문제해결을 통해 발달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해주고 유아의 학습을 도와주는 안내자 내지 충고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Dewey가 새로운 교육사상을 과학적이고, 민주적이며, 실험적인 입장에서 확고하게 토대를 닦은 것이 1896년 Chicago 대학 부속국민학교인 실험학교를 설립한데서부터 이루어진 것이다. 이 실험학교는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탄생지로서 세계적으로 교육개혁에 영향을 주었다. 2. Froebel은 유아의 특성을 神性, 自己活動(self-activity)의 원리, 連續발전성의 원리로 나누었고, 유아를 하나의 독립된 존재로 보았다. Froebel은, 인간은 乳兒, 幼兒, 少年, 靑年 및 老年까지 연속적으로 발달한다는 '連續發達論'을 주장한다. 그는 후일의 발달을 저해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단계를 충분히 발달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Froebel은 놀이를 유아의 자발적 활동을 위한 또는 유아의 내적 힘의 발현을 위한 완벽한 수단으로 보았다. Froebel은 놀이의 기능을 유아의 내면 세계를 각성시키는 것으로 보았다. Froebel 유치원 교육과정은 계열성에 기초하여 교사의 지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자에 의해 사전에 계획적으로 고안된 학습자료로 교육과정의 기초는 "은물(gifts)", "작업(occupation)", 그가 작곡한 노래와 교육적인 게임들이다. Froebel은 교육의 역할을 유아의 경험과 활동을 고안하고 이 활동을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질 환경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세우고 준비할 뿐만 아니라 유아의 놀이를 안내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라 하였다. 3. 유아의 본성은 善이라고 본 Froebel의 견해와, 유아의 본성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단지 성장의 가능성만을 지닌 것이라는 Dewey의 견해 사이에는 차이가 있지만, 유아를 독립된 존재로 인정하고 유아기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한 점에 있어서는 공통적이다. Dewey는 Froebel의 발달개념은 연속적인 성장이 아니고, 오직 일정한 목표를 향하여 잠재력을 개화해 가는 것이라고 비평하면서, 성장이란 경험의 끊임없는 재구성이라고 하였다. Dewey는 실험학교내 유아학급에서 교육방법의 기초로 놀이와 게임을 주장하였다. Dewey의 흥미와 자기표현의 법칙은 Froebel의 놀이를 통한 자기활동의 원리와 일치한다. 그러나, 놀이의 내용면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Dewey는 Froebel주의 유치원의 상징적이고 형식적인 놀이는 지양되어야 한다고 하면서 개인의 경험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아동의 흥미에 따르는 자유놀이를 주장했다. Dewey는 Froebel의 교육원리를 정말 되살리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계승되고 유지되어 온 유치원의 놀이기구와 유희에 대하여 '旣成의 편성방식'에 따르는 경향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은물·놀이·작업을 정해진 법칙에 의해 사용하는 것에서 벗어나는 것이 Froebel 교수의 정신으로 돌아가는 것이 된다. 또한 Dewey는 Froebel이 결정한 외부적 제동작을 그대로 숭배하는 것은 결코 Froebel 원리에 충실한 것이 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Dewey는 교육과정이란 유아의 흥미에 기초하여 구성되어야 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잠재력을 개발하는 것이 그 목적으로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반면, Froebel의 교육과정은 계열성에 기초하여 교사의 지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자에 의해 사전에 계획적으로 고안된 학습자료이다. Dewey의 유아학급에서 은물을 사용할 때도 유아의 흥미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Dewey가 Froebel의 기본적 원리를 받아들였지만 은물사용의 계열성은 수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Dewey는 교사를 권위자나 지시자로 보지 않고, 유아가 문제해결을 통해 발달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해주고 안내해주어야 하는 존재로 보았다. Froebel도 교사란 유아의 놀이를 안내하고 방향을 제시해야 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나, 유아들의 활동에 대해 교사가 미리 고안하고 계획을 세운 것에 있어서는 Dewey의 교사의 역할과 차이가 있었다. Dewey는 'Froebel의 교육원리(Froebel's educational principles)'라는 글에서 실험학교의 원리를 밝히면서, 이 실험학교에서 Froebel의 원리를 실천하려고 했음을 명백히 밝혔다. 그러나, Dewey는 Froebel의 교육방법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Froebel의 교육 정신(spirit)을 바탕으로 그 내용만을 살리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Dewey는 Froebel의 참뜻을 잘 이해하고 실천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Dewey의 진보주의 이론은 현대 유아교육 프로그램과 많은 부분에서 관계되어 있다. 총체적 언어접근법, 단원이나 Project 접근법도 Dewey의 진보주의 교육철학에 입각한 경험중심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것이다. 그 밖에도 Bank Street Program이나 Open Education Program에서도 사상의 기초를 제공한 사람으로 Dewey를 말한다. 또한, 레이-도피에라 등은 아동중심 교육과정을 유형 A, B로 구별하고, 진보주의 이데올로기에 기초하고 있으며 교사와 아동 모두가 통제력을 갖는 유형 B의 교육과정을 진정한 의미의 아동중심 교육과정을 보고 있다. 이와같이 Dewey의 교육이론은 현대 유아교육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Dewey의 사상에 대해 유아교육계에서의 연구와 적용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 Dewey's and Froebel'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and to analyze Froebel's ECE from Dewey's point of view through Laboratory School which is based on Froebel's education principles. In terms of the purpose stated above, the problems establish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What is the practice of Dewey's ECE and Laboratory School ? 2. What is the practice of Froebel's ECE and Laboratory School ? 3. What is Froebel's ECE from Dewey's point of view ? The results of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1. Dewey looked upon child as social being as well as individualistic being. The term of Dewey's growth means not the growth completed at certain stage but the continuous growth. Dewey explained that the play should be free play related to child's interest and life. Dewey's curriculum is experince-centered curriculum. Dewey has it that the curriculum must be closely connected with child's life. Dewey stated that a teacher should provide an environment to help child develop through solving problem, and should be a guide and adviser who helps child learn. Dewey built up new educational ideal from a scientic, democratic, experimental point of view, which starts from establishing Laboratory School in an elementary school attached to Chicago University in 1896. Laboratory School had an world-wide effect on reform of educaton as a birthplace of Progressive Educational Movement. 2. Froebel divided child's characteristic with the principle of divinity and self-activity and consecutive development, and viewed child as an independent being. Froebel insisted ' consecutive development' during life cycle. He insisted that each stage should be developed sufficiently in order not to hinder later development. Froebel considered the play as perfect means for child's spontaneous activity or child's revelation of inner power. Froebel viewed the function of the play as awakening child's inner life. Froebel's curriculum of kindergarten is learning materials designed intentionally by educators to be used following teacher's instructions and the basis of his curriculum is 'gift, occupation, song and educational games'. Froebel defined that teacher's role was to design child's experience and activity, and to guide child's play as well as to plan the learning environment concretely. 3.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Froebel's and Dewey's view in that Froebel views child's nature is 'good' and Dewey views child's nature is neither good nor evil but it only has possibility of the growth. But they are common in that they insist the importance of childhood education. Dewey criticized that Froebel's concept of development was not the consecutive growth but the unfolding of latent force toword a goal, and defined the growth as an incessant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Dewey insisted the play and the game as a basis of educational method in sub-primary class in Laboratory School. Dewey's principle of interest and self-expression is in accord with Froebel's principle of self-activity through the play.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erms of the content. Dewey said that the symbolic and formal play of Froebelian kindergarten should not be followed and suggested free play following child's interest closely related to an individual experience. Dewey had it that the play instrument and the play must be released from inclination which followed the method of established organization. Dewey said that the curriculum must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child's interest and be set up a purpose to develop the latent force through a social interaction. While, Froebel's curriculum is on the basis of sequence and it is educational materials designed intentionally by an educator to be used following teacher's instruction. Dewey's subprimary class used 'gift' freely following child's interest and this shows that Dewey accepted Froebel's basic principle but didn't accept the sequence of using gift. Dewey regarded a teacher not as an authority or a director but as a guide who help child develop through solving problem and provide such an environment. Froebel also thought that a teacher must guide the child's play, but his teacher's role had an difference from Dewey's in that a teacher previously designed and planned child's activity. As Dewey explained the principle of Laboratory School in Froebel's educational principles, he made it clear that Laboratory School tried to put Foebel's principle into practice. But Dewey made no bones about the form of Froebel's educational method and only endeavored to make use of the content of Froebel's educational method on the foundation of Froebel's educational spirit. From this point of view, Dewey was the person who understood Froebel's real meaning and practiced it. Progressivism which is based in Dewey's ideals has connection with Modern ECE Programs. 'Whole Language Approach', 'Unit or Project Approach', 'Bank Street Program' and 'Open Education Program' are emphasized on experience-centered educational progress on the basis of Dewey's progressive educational philosophy. Dewey is considered as the person who provided the foundation of the ideal in Bank Street Program or Open Education Program. Lay and Dopyera distinguish child-centered curriculum from type A, B and are based on progressivism and think of type B that both teacher and child have control as the real meaning of child-centered curruculum. Dewey's educational theory has an effect on mordern ECE continuously. The ideals of Dewey must be researched in the field of E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5 C. 연구의 방법 = 5 Ⅱ. Dewey 유아교육론 및 유치원 전개과정 = 6 A. 교육원리 = 6 B. 교육과정 = 15 C. 교사의 역할 = 18 D. 실험학교 = 20 Ⅲ. Froebel 유아교육론 및 유치원의 전개과정 = 31 A. 교육원리 = 31 B. 교육과정 = 36 C. 교사의 역할 = 38 D. Froebel주의 유치원의 전개과정 = 38 Ⅳ. Dewey의 관점에서 본 Froebel의 유아교육론 = 53 A. 교육원리 = 54 B. 교육과정 = 65 C. 교사의 역할 = 68 D. 실험학교와 Froebel주의 유치원 = 70 Ⅴ. 요약 및 결론 = 79 참고문헌 = 85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097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ewey-
dc.subjectfroebel-
dc.subject유아교육론-
dc.subjectEarly Childhood Education-
dc.subject.ddc300-
dc.titleDewey의 관점에서 본 froebel의 유아교육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views of Lohn Dewey'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dc.format.pagev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