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4 Download: 0

신입사서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Title
신입사서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ntry-level Librarians's Job Satisfaction
Authors
김성희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서관학과
Keywords
신입사서직무만족도서관성취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옥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사서들의 직무만족도를 요인별로 알아보고, 성별, 연령, 사서직 총 근무연한, 현 도서관 근무연한, 관종, 근무지, 소속부서 및 사서의 수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이다. 또한 직무만족 요인별로 관종, 성별, 소속부서 및 사서의 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그 결과로써 경영적인 측면에서 신입사서들의 직무만족 현장을 파악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시내 5개 종합대학의 도서관학과 및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한 경력 3년 10개월 이하의 전문직 사서이다. 직무만족도 조사는 질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미네소타대학의 산업관계연구소 (Industrial Relations Center)가 개발한 MSQ(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를 우리나라 도서관의 실정에 맞게 약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우편발송하여 조사대상자 176명 가운데 109명(61.9%)이 응답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응답자의 직무만족도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직무만족의 요인별로는 도덕적 가치, 안전성, 사회적 봉사, 활동성 등의 만족도가 높고 감독-인간관계, 감독-기술적인 면, 도서관 정책과 시행, 승진 등의 만족도가 낮았다. 2. 각 변수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의미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원분산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관종, 현 도서관 근무 연한 및 사서직 총 근무연한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는 의미가 있는 반면, 성별, 연령, 근무지, 소속부서 및 사서의 수에 따른 차이는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관종에 따른 직무만족 요인별 분산분석 결과, 활동성, 도서관 정책과 시행, 보수, 창의성, 독립성, 도덕적 가치, 책임, 사회적 봉사, 감독-인간관계, 감독-기술적인 면 및 작업조건의 면에서 관종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4. 성별에 따른 직무만족 요인별 t-검증 결과, 승진 및 권위의 면에서 남녀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5. 대학 및 공공도서관의 소속부서에 따른 직무만족 요인별 t-검증 결과, 기술봉사부서와 이용자봉사부서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특수도서관에 있어서 사서의 수에 따른 직무만족 요인별 t-검증 결과, 동료, 독립성 및 책임의 면에서 사서 1인인 경우와 2인 이상인 경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본 조사결과로써 제언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진에 관한 것이다. 승진기회의 부족은 자율성, 타인으로부터의 존경 및 새로운 업무를 시도할 기회로 인해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한한다. 둘째, 도서관 정책과 시행에 관한 것이다.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마련하여 최하위의 신입사서들의 의견도 적절히 수렴하고 그들에게 숙지되도록 해야한다. 셋째, 감독에 관한 것이다. 일방적인 상의하달의 통솔방식은 사서들의 직무의욕을 저하시킨다. 감독자는 인간적인 친밀감과 기술적인 합리성을 고루 갖추어야 한다. 넷째, 업무의 다양성에 관한 것이다. 업무의 재조직과 로테이션 등을 통하여 반복적인 작업외의 다양한 도서관 업무에 접해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전문성의 존중에 관한 것이다. 신입사서들은 전문직에 대한 의식이 강한 만큼 그들의 업무에 대한 자율성을 어느 정도 보장해 주어야 한다. 여섯째, 충분한 오리엔테이션과 훈련의 필요성에 관한 것이다. 수행할 업무와 현 조직에 대해 잘 알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degree of entry-level librarians' job satisfaction,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ir general satisfaction by eight variables: sex, age, tenure - total years worked as professional librarian and years worked in the present library, the type of library, service area, department, and one-person library or not. Among the variables, four variables, those are, the type of library, sex, department, and one-person library or not,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ir dimensional satisfaction. The instrument used for collecting the data was the revised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MSQ) which was developed by the Industrial Relations Center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he scoring system was based on a five-point Likert type sca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rofessional librarians that were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of five universities in Seoul, and had less than 3 years and 10 months of professional library experience. The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respondents was a little low. Of the 20 dimensions, Moral Values, Security, Social Service, and Activity were most satisfied, on the other hand Supervision-Human Relations, Supervision-Technical, Library Policies and practices, and Advancement were least satisfied. 2.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between groups to detect difference of general satisfaction by eight variable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the type of library and tenure, on the contrar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sex, age, service area, department, and one-person library or not. 3.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between special librarians, academic librarians, and public librarians to detect difference of dimens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analysis, 11 dimensions emerg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ctivity, Library Policies and Practices, Compensation, creativity, Independence, Moral Values, Responsibility, Social Service, Supervision-Human Relations, Supervision-Technical, and Working Conditions. 4. A t-test was performed between males and females to detect difference of dimensional satisfaction. In result, 2 dimensions emerg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dvancement and Authority. 5. A t-test was performed between technical librarians and public librarians worked in academic and public libraries. But there was no signigicant difference of any dimensional satisfaction. 6. A t-test was performed between special librarians worked in one-person library or not. At the result of this analysis, 3 dimensions emerg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Co-workers, In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