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05 Download: 0

마가공동체의 하나님의 아들 기독론

Title
마가공동체의 하나님의 아들 기독론
Other Titles
Markan Community's Son of God Christology
Authors
채승혜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마가공동체하나님의아들기독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상
Abstract
막센(W. Marxen)이 편집비평을 통해 마가복음서 기자의 신학 사상을 이해하려고 시도한 이래 마가복음서 연구에서 기독론 이해는 마가복음서 전체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마가의 사상에 영향을 미친 종교, 사회 문화적인 요인들과 마가복음서라는 문서를 산출해 낸 공동체의 정황에서 마가의 기독론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증가되었다. 위든(T. J. Weeden)은 마가 공동체가 신인 기독론자들과 갈등의 정황에 있었다고 보고 마가복음서의 하나님의 아들 기독론을 신인 기독론적인 이해라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위든의 하나님의 아들에 대한 신인 기독론적인 해석의 타당성을 마가복음서에서 검증하는 가운데, 마가공동체의 하나님의 아들 기독론 이해를 살펴보는 것이다. 위든에 의하면 마가 공동체는 예수를 신인(Divine Man)으로 이해하는 신에서 신인 기독론(Divine Man Christology)자들과 갈등의 정황에 처해 있다. 마가복음에서 신인 기독론적인 이해는 제자 공동체에서 나타나며, 이는 고난의 인자로 예수를 이해하는 마가공동체와 적대적인 관계에 있다. 하나님의 아들은 예수를 신인으로 이해하는 신인기독론적인 공동체의 칭호라 한다. 그러나 마가는 고난의 절정이라 할 수 있는 십자가 처형에서 인자가 아닌 하나님의 아들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마가가 복음서의 표제와 예수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단락에서 하나님의 아들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위든의 주장이 타당한 것인지 의구심을 갖게 했다. 위든의 신인이라는 표상은 마가공동체의 정황에 부합되지 않는다. 또 그는 구체적인 논증 없이 하나님의 아들을 신인 기독론적 칭호로 간주한다. 하나님의 아들은 로마의 통치와 유대전쟁, 예루살렘 멸망 직전의 묵시문학적 종말론적 공동체였던 마가공동체의 정황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가는 성서에 호소하고, 묵시문학적인 언급들 가운데 하나님의 아들을 설정하여 하나님의 아들이 하나님의 계획과 주권을 성취시키기 위한 인물임을 밝히고 있다. 마가공동체의 하나님의 아들은 악의 세력과 투쟁하는 종말론적인 메시야이다. 그리하여 마가공동체는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가 하나님의 아들로서 예수에게서 이미 도래했으므로 현재의 로마 통치가 더 이상 지속될 수 없음을 고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on of God Christology in Mark, inspecting T. J. Weeden′s understanding on Divine Man Christology. The understanding on Christology provides us with sustantial importance, sin ce W. Marxen attempted to explain the theology of Mark with redaction criticism. There was the increasing try to understand Mark with the community of those times under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T. J. Weeden argues theology of Mark, Son of God as Divine Man Christology, focusing that Markan Community was hostile to Divine Man Christologists. Weeden insists that Markan Christianity conflicts with the Divine Man Christologists who interprets Jesus the Divine Man. He said that the Disciple Community has the understnding of Divine Man Christology and hostile to Markan Community regarding Jesus as suffering Son of Man. He believes that Son of God is the title of Divine Man Christology Community. However, Mark uses the title of Son of God not Son of man in the Cross Crucifixion in the depth of suffering. And moreover the fact that Mark used Son of God, in the crucial phrases representing both the them of Gospel and the identification of Jesus brings much sensitive doubts on Weeden. The image of Divine Man was not suitable to the current Markan community situation. Weeden argues that Son of God is the title of Divine Man Christology without clear concrete proof and logic. Son of God should be interpreted under the situation of Markan community that showed apocalyptic eschatological community due to reasons such as Roman Conquest, Jewish War and the Fall of Jerusalem. Mark used the Bible and set up Son of God in the apocalytical motif which are planned to complete and acomplish the will of God and his Sovereignity. In Markan Community, Son of God is the eschatological Messiah who competes against Satan. Therefore Markan Community explains that Jesus allows us to have an eschatological Kingdom of God, therehence, the current Roman rule would collap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