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내외 통제성과의 관계

Title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내외 통제성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parent's verval control modes and the childern's self- esteem, internal- externel control
Authors
이순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아동부모언어통제유형자아존중감내외 통제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재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verval control mode of parent's perceived by children,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 external control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nd the relationship of self - esteem between them.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ternal- external control media between patents and children, and the self - esteem of children through demographic variables. To this end, survey was carried out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Package by PC, after surveying 630 subjects consisted of 210 fourth, fifth, sixth student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210 couples of their parents around Seoul, Kyonggi-do, and Kwangwon-d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of parents using internal-external scale of Rotter(1996) and the internal- external control of children using 'A locus of control scale for children,' a Lee Hun-goo(1980)'s modification which was oriented by Nowicki Strkland(1973). And, to assess self-esteem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Rosenberg(1965)'s SEQ and Coopersmith(1967)'s SEI was Also, a survey developed by Bemstain(1971) and Gumperz(1973) was used to estimate the verbal control mode of parents perceived by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urvey was as follows: 1. Children's self-esteem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 of parents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who perceived the verbal control mode of their parents as person-oriented were the highest level of self-esteem than those who perceived parents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were the lowest level of self-esteem. 2. Children's internal-external control appe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 of parents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 who perceived the verbal control mode their parents person-oriented control were more internal than those who perceived parents in imperative control. In addition, the verbal control mode of parents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s. 3. Children's internal-external control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parents. 4. The Self-esteem of parents and that of childre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addition, fathers more than mothers effected to estimate the degree of self-esteem of children, in case of boys. While, in case of girls, mother more than fathers effected to estimate the degree of self-esteem of children.; We know that parents with same sex more than with other sex effect on forming self-esteem of children. 5. children's internal-external control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family income, but there were d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ildren's sex, grade. Girls tents to more internal than boys. Also the higher grade, the more internal. 6. Parents internal-external contro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levels and family income. 7. Children's self-esteem were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family income,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the children's sex and grade.; Girl have the higher self-esteem than boys. Also, as increasing grade, children have the higher self-esteem. 8. Out of socio-economical variable, internal-external control mode, the verbal control mode of parents, mothers' internal -extemal control and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are the most importantly effected on internal-external control mode. The important variable which effects self-esteem of children is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the verbal control mode of father's and out of socio-economical variable, self-esteem of parents, and the parent.' verbal control mode. This study results prove that the verbal control mode of parents effect personalities of children.; The verbal control mode of parents is the most importent variable to form self-esteem, internal-externa control of children. Fther's internal-external control is also influenced to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of children, and mother' internal-external control is influenced to the self-esteem of children.;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통제 유형에 따른 자녀의 내외통제성과 자아존중감을 알아보고, 아동과 부모의 내외통제성의 관계 및 아동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알아 보려했다. 그리고 이에 부가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아동과 부모의 내외통제성을 알아보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내 및 경기도, 강원도에 소재한 3개 국민학교 4, 5, 6 학년 아동 210명과 그들의 부모 210쌍, 총 6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Personal Computer의 SPSS Package을 이용하여 일원 변량 분석(one way anova)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실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내외통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Rotter(1966)의 내외 통제성 척도 (internal-external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내외통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Nowicki와 Strikland(1973)가 제작한 A locus of control sacle for childrend를 기초로 이훈구(1980)가 번안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부모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번안된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질문지(SEQ)와 번안된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질문지(SEI)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모의 언어적 통제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 번안된 Bernstain(1971)와 Gumperz(1973) 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통제 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 아버지의 경우 모두 언어적 통제 유형이 인성 지향적 일때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고, 다음이 지위지향적이며, 명령지향적일 때는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통제 유형에 따른 아동의 내외통제성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 아버지의 경우 모두 언어 통제유형이 인성 지향적일때 아동이 가장 내적통제적이며, 명령지향적 일때는 내적 통제의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부모의 언어적 통제유형은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부모의 내외통제성과 자녀의 내외통제성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자녀의 자아존중감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남아의 경우는,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보다 남아의 자아존중감 정도를 예언하는데 더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아의 경우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아버지의 자아존중감보다 여아의 자아존중감 정도를 예언하는데 더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이성 부모보다 동성의 부모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5. 부모의 교육수준, 수입정도에 따른 아동의 내외통제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아동의 성별, 학년에 따른 아동의 내외통제성은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아보다 여아가 내적 통제성을 지니며,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더 내적 통제성을 지니는 경향이 있었다. 6. 부모의 교육수준, 수입정도에 따른 부모의 내외통제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7. 부모의 교육수준, 수입정도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아동의 성별, 학년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아보다 여아의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 사회경제학적 변인, 부모의 내외통제성, 부모의 언어적 통제 유형의 변인중 아동의 내외통제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언어 통제 유형, 아버지의 언어 통제유형 그리고 어머니의 내외통제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의 자아 존중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아버지의 내외통제성과 아버지의 언어 통제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부모의 언어적 통제유형과 부모의 내외통제성이 자녀의 성격특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모의 언어 통제 유형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내외통제성이 달라지며, 아버지의 내외통제성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고, 어머니의 내외통제성은 아동의 내외통제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