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형대-
dc.contributor.author김효정-
dc.creator김효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8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9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2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978-
dc.description.abstractThe modern paintings developing In plastic forms continuously on these bases come to realize the flatness as for the fundamental question on the plastic elements which In turn resulted from the breakdown of illusionism. Then, the abstract art has succeeded to the so-called heating abstraction in the 1950's, the fixed, non-personalitic abstraction in the 1960's, and at last to the far extreme unartistic patterns such as Minimalism, Monochrome, support/Surface, and so on. Such a trend comes to appear Intensively as the Minimalistic non-personality and the lack of objectified 'humanity' since it saw the existence of the world as properties of matters. From then, the direction of the modern art started to express humanity and require personality-oriented way of art. It Is the 'will to express descriptively' to express the personality of the reality and an autor's on more in his individual, plastic language, suggesting that there is no more new thing on the basis of revolution in contemporary art and that there appears a compromising pattern without only single and fixed pattern. Namely, there does not simply exist any interpretation as C. Greenberg argued that "in a given preiod there should exist only one properly logical pattern." In this study, this author's works are not supposed to go to a certain trend of thoughts from the beginning but to be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works produced with nessary needs during the expression of source of certain life. Namely, as the orders of things and locations 'has seen' the encounter between self and world and the problems of its relation as the accumulation In the stream of contemporary art, they have a variety of appearence like a canvas by the extension of free expression owing to the denial to what should be subject to. Now that they started from canvas(as material), the material of dyes, and, as a result, the two-dimensional things hung on the wall, however, they can be seen as paintings. In this study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canvas modification and object Is led consistently to the plastic forms through the abstract expressionism brushstrokes and dyes. Now in studing the constant of 『what』 and the pattern of 『by what』the connection between existence and original generation are discussed in terms of pattern and also the question of the foundation of the art In the 20th century. Methodologically, the background for the modified canvas to be established and the expression and Its forms by voluntary lines made with brushstroke, gesture, and so on are explores. And finally, the meaning of the author's paintings Is reviewed i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dinary rectangular canvas and the modified canvas so that It can be helpful In producing works in the future.;현대 회화에 있어 가장 뛰어난 특성으로 화면의 평면성(flatness)이 새롭게 인식되어졌다. 이후의 추상미술(abstract art)운동은 20C의 가장 대표적인 표현 양식으로 전개되어 1950년대의 뜨거운 추상과 1960년대의 정형화된 비개성적 추상으로 이어져 마침내 1970년대의 Minimalism, Monochrome, Support/surface 등 극단적인 탈회화적 미술양식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세계의 존재를 물성으로 파악함으로써 minimal적인 비개성과 객관화된 '휴머니티'의 결여로 지각되어 나타나고, 그로부터 오늘날의 현대미술의 향방은 다시 인간 중심의 표현과 개성 위주의 예술 방식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현재의 미술에는 더이상 '혁명'을 근거로 한 새로운 것은 없으며, 꼭 하나의 고정된 양식이 없는 절충적인 양식을 띄고 나타나고 있다. 즉, "주어진 한 시대에는 오로지 하나의 올바른 논리적 양식만이 존재한다"는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 1909-)적인 해석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본인은 하나의 사조로 본인 작업 과정을 유도하지 않았으며, 어떤 생명의 근원성을 표현하려는 과정 중 필연적 욕구에 의한 결과로서의 작품들을 이제 종합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인의 작업은 자아와 세계와의 만남과 그 관계에 대한 문제들로서 그림의 연장으로서의 변형된 캔버스와 오브제(object)들을 추상 표현주의적인 붓질과 물감을 통한 조형적 모습으로 이끌어 나간 것이다. 이제 작품 제작 연구에 있어서 「무엇을」이라는 내용과 「무엇으로써」의 형식을 연구해 봄에 있어 내용적인 면에서는 실존과 근원적 생성간의 연계성을 논해보고, 둘째, 오브제 개념의 확장에 대한 문제를 20세기 미술의 근간을 이루는 입체파(Cubism)에서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작품 제작 연구의 방법적인 면으로는 먼저 본인의 변형캔바스의 성립 배경과 결과를 F. Stella와 E. Murry의 작품들과 비교해 봄으로써 각자 원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해 보겠다. 그리하여 본인 작업의 의미를 기존사각캔바스와 형태결합 캔버스 사이의 차이점으로써 결론부분에서 다루어 보겠다. 또한 추상 표현주의적인 brushstroke와 gesture등에 의한 자발적인 선이 이루어내는 표현과 형상이 본인의 작업에 어떠한 의도와 결과로서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해보자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원 전 과정을 통하여 제작된 본인의 작품의 제시, 분석해 보아 현대 미술의 흐름 속에서 본인의 위치를 인식하고, 앞으로의 작업 방향 모색의 계기를 삼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문제의 진술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3 C. 연구의 방법 = 3 Ⅱ. 본론 = 5 A. 내용적인 연구 = 5 1. 실존에서 비롯된 근원적 생성의 개념 = 5 2. Collage로부터 유출된 오브제 개념의 확장 (image에서 object로) = 9 B. 방법적 연구 = 14 1. 자유로운 형태의 틀 (frame) = 14 2. 자발적인 선에 의한 표현과 그로 인한 형태 = 18 참고작품 = 21 C. 본인의 작품 분석 = 23 Ⅲ. 결론 = 39 참고문헌 = 41 ABSTRACT = 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14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연계적 화면-
dc.subject실존적 공간-
dc.subject서양화-
dc.title연계적 화면에 의한 실존적 공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istential Space with Connecting Screens-
dc.creator.othernameKim, Hyo-jung-
dc.format.pagevi, 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